기타지식

    · 기타지식

    [질문/답변] "지" 와 "제" 의 차이

    위조사 / 2011-12-10 20:54 / Hit : 9160 본문+댓글추천 : 0

    허접한 질문하나 올립니다

    위성사진으로 저수지를 찾아보면 저수지이름이 나옵니다
    근데
    어떤 저수지는 "XX지" 또 어떤 저수지는 "XX제" 이렇게 나오더군요
    여기서 "지" 와 "제" 의 차이가 무엇인지요?

    꽝이지 11-12-10 22:21
    제가 알기로는 지는 연못을 뜻하고 제는 제방을 뜻하는 것같은데요.
    자이언트킴 11-12-10 22:42
    池(연못 지) 堤(방죽.둑 제)

    같은뜻인것 같지만 제(堤)는 담수량이 적고 축조가 오래된것 같은 느낌이 드네요(벽골제,의림제등등)

    저도 궁금하던차 다음분께 패스
    오연서아빠 11-12-11 19:05
    제방이 좀 넓은 의미 아닌가요...
    저수지..
    물담아 놓는데..
    제방
    물담아 놓기위한 제방..
    물을 막기위한 제방..
    토사를 막기위한 제방.
    등등..
    찌야찌야 11-12-12 17:42
    제가 알기론
    "제"는 일제시대 이전
    "지"는 일제시대 이후
    이러케 알고 있슴돠~ ^^
    가을풍경 11-12-15 13:52
    헛 저도 이거 무지 궁굼합니다
    윗분 덩보 확실한건가요
    확실한거라면 제만 찾아다녀야 할까봅니다 ㅎㅎ
    백행기 11-12-15 22:21
    찌야찌야님 정보가 맟다면 제는 오래된 저수지~~~
    지는 그이후라는 말씀....
    제.지.예 한수 배우고감니다
    우야든동 11-12-16 04:48
    충정도 위로는 **지가 많고
    경상도는 **지 또는 **못이 많고
    전라도는 **지도 있지만 **제도 많은 듯 한데요.
    넓이 보다는 지역방언 탓이 아닌지요.
    물새17 11-12-16 11:15
    지역별로 조금씩 다른듯ㅎㅎ
    나이스초이 11-12-16 13:15
    인터넷에서 발췌한 내용입니다. 참고하세요.
    00지의 지는 연못 지(池) = 자연적으로 생긴 저수지입니다.
    00제의 제는 방죽 제(堤) = 인공적으로 만든 저수지입니다.
    위 기준대로 불리지 않는 경우는 일제시대에 일본넘들이 저수지를 만들고 "00지"라고 명명해서 그런겁니다.
    하지만 농어촌공사에서 공식적으로 부르는 이름은 00제입니다.
    따라서 우리가 다니는 대부분의 저수지는 인공 저수지니까. 00제로 불리는게 맞겠죠.
    찌야찌야 11-12-16 15:20
    나이스초이님 감사~~^^합니다~
    중핵교때 국어선생님이 해 주신 말씀인디...
    마루아치 11-12-19 02:13
    "제"와"지"..
    규모는 "제"가 크며 고대 근대국가 시기의 명칭이며
    단순히 영농목적만의 물의 저장이 아닌
    영농목적과 정치적 목적등이 함께 있었던 국가적 대규모 공사였으며
    현재도 농어촌공사에서 관리합니다.
    "지"는 근대까지 주로 지방규모로, 소규모는 마을단위로 영농목적으로
    자연적연못이나 논, 웅덩이의 규모를 키워서 사용하였으며
    일제강점기에는 비교적 큰 제방공사에도 "지"로 의미를 낮추어 정치적으로 그의미를 축소하여
    지금의 혼란이 생겼죠. (허긴 도로명도 아직도 혼란이 있는데..)
    소규모인경우는 아직도 다 파악이 안되었고 현재도 마을단위로 관리하는 곳이 많죠.
    현재의 댐방식과 제의 방식은 축조방식 수문방식 흐름등 다르며
    "제"와"지"는 국가적 중요사업이었냐 아니면 지방 차원이었냐
    그리고 정치적, 문화적관점및 규모에 따라서도 다른듯합니다.
    마치 "사찰" 과 일반"절" 차이처럼 그당시의 국가적, 정치 문화적 관점에서
    절이 오래되었다고 사찰이 될수 없듯이 "지"가 오래되었다고 "제"가 되지는 못하겠죠.
    더이상은.. 향토사학자에게 패스..
    마루아치 11-12-19 02:48
    한가지더
    "제"가 많았던 곳은
    그만큼 농지인 평야가 크고 넓어 풍요로웠으며
    상업이 발달하기 전인 조선말까지 중추도시였으며
    쌀이 비교적 많아 인심또한 넉넉하고 여휴가 있었던것 같습니다.
    그래서 음식문화가 발달하고 학문이 융성할수 있었으며 철학및 종교도 타 지역보단 융성하였지만
    그러나 상업이 상대적으로 발달하지 못하여(지역 차별적 요인도 있고)
    지금엔 오히려 낙후된 곳이 많은것 같구요
    한가지 민족적 정신적 뿌리는 아직도 상업보단
    농업과 철학(유학등..)민족종교가 발원했거나 융성한곳이 강한것 같군요.
    이상입니다.



    2024 Mobile Wolchuck