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물낚시

    · 생미끼 붕어 대물낚시에 대한 문답, 또는 정보의 제공이 이루어지는 곳입니다,
    · 게시물 성격에 따라 적합한 게시판으로 이동될 수 있습니다.

    [질문/답변] 찌다리 절단

    불루길조사 / 2021-03-28 15:48 / Hit : 5398 본문+댓글추천 : 4

    찌다리가 길어서 3cm 정도 짤라서 사용할려구 하는데

    괜찬을까요 예민한찌맞춤이 아니라 천천히 내려가는 찌맞춤

    생각중입니다 고수님들 조언부탁드려요 39cm짜리찌입니다

    e5e86955-4f15-4a2b-b7f2-10b4d01ce333.jpg

     


    월하정인 21-03-28 16:49
    저도 너무 길경우 절단해서 사용합니다만.

    질문하신 내용을 볼때 찌다리가 길어 찌다리만 절단하면
    괜찮을까하는 질문이신거로 해석되는데
    자칫 다리만 절단할경우 찌중심이 깨지면서
    찌가 입수시 사선입수할 가능성이 매우높습니다.


    가장좋기는 몸통을 중심으로 그비율에 맞게 다리와 톱을
    같이 절단해주는게 좋습니다.
    안젤로11 21-03-28 18:50
    찌다리가 짤쁜것이 저도 편하게 사용합니다.
    부처핸섬 21-03-28 19:51
    그정도 부력에 3센치절단은
    사선입수 안됩니다
    편하게 자르셔도 됩니다
    유동촉 작업해주시면 더좋구요
    불루길조사 21-03-29 02:07
    답변주신세분감사드려요
    산여울 21-03-29 08:06
    한쪽 어느정도 짤라서 사용했는대 별 무리는 없는듯합니다
    전설의초짜 21-03-29 13:35
    절단하시면 찌중심이 깨지요
    대안은 절단후 유동촉 작업을 해주시면 괜찮습니다.
    왼발잡이 21-03-30 11:04
    찌ㅡ는 저마다의 특성있고 그 특성을 이해하고 맞게 사용하시는 것 또한 꾼의 몫 입니다.
    정직한 입수와 올림을 위해선 적절한 비율이 중요합니다.
    부력중심점이 뚜렸할수로 그 비율 지켜야 하며....

    님이 제시한 찌는 부력 중심점이 분산된 찌(막대형)는 약간(?) 잘라 사용해도 무방하지만
    그 크기가 허용 범위를 넘어서면 문제가 생길수 있습니다.

    굳이 잘라 쓰고 싶다면 몸통의 중심을 기준으로 좌우의 무게 비율(손가락 위에 올려) 만큼만 잘라 쓰시고
    혹 지나침 자름이 느껴지면 유동촉으로 커버하시고
    유동촉으로도 커버가 되지 안으면 찌톱의 길이를 조절 하셔야 합니다.
    왼발잡이 21-03-30 11:07
    몸통의 크기에 비해 찌톱이나 다리가 짧아지면 찌의 놀림이 촐랑 됩니다 !
    추억일기 21-03-30 21:35
    맘에드는 저렴한찌가 52센티라
    다리와 찌톱을 비율에맞추어 자르고
    40센티에 사용하고 있습니다
    유동촉을 장착해서 사용중이구요
    입질시 찌도잘올려주네요
    각씨붕어 21-03-31 01:32
    유동촉 대신 편납살짝 감고 본드칠은 안될까요? 유동촉도 비싸기만하고..
    물가에선나무 21-03-31 12:08
    막대형 찌는 찌몸통의 중앙에 무게중심을 두는 게 좋습니다.
    지금 찌 형태로 봐서는 비율상 다리가 그리 길지 않아 보이는데
    그래도 자르고 싶다면
    자른 다음 몸통 중앙에 무게중심이 오도록
    찌다리에 유동촉을 끼우거나
    가급적 찌다리 아랫쪽에 편납을 감아서 중심을 맞춰주시면 됩니다.
    중심 맞출때는 주간케미나 야간케미 끼우고
    커터칼 날 위에 올려서 확인 하면서 하면 됩니다.
    손가락 위에 올리는 것은 정확하지 않아서 비추입니다.
    찌중심을 맞추는 것과 그렇지 않은 것은
    찌놀림에 영향을 줍니다.
    왼발잡이 21-03-31 14:38
    물가에선 나무님께 질문 드립니다!

    부력중심점이 정확하지 않은 막대형찌의 몸통 어디의 위치를 커터날 위에 올리는게 맞나요 ?
    이방법은 정확 한가요 ?
    화무 21-03-31 14:45
    풀대찌를 만들어 쓰고 있습니다.
    찌를 만들 때 (몸통 상부를 보이는) 수직입수에 가장 신경쓰게 됩니다.
    수직입수에 필요한 조건은 무게중심도 부력중심도 아닌, 경험에서 나오는 데이터입니다.
    찌 제작에서 가장 기본적인 제원은 찌톱 길이=몸통+찌다리 길이입니다.
    찌톱이 20cm라면 몸통과 찌다리의 합이 20cm이면 무난합니다.
    그런데 여기서 변수는 찌부력 대비 전체 길이와 몸통의 형태입니다.
    같은 길이라면 부력이 클수록, 몸통이 둥글수록 수직입수에 도움이 됩니다.
    위에 말씀하신 찌의 경우 찌톱이 그 이하 길이보다 3cm 길게 나왔네요.
    여기서 3cm를 잘라내면 총 6cm의 차이가 나겠네요.
    전장이 짧고 부력이 5.3g으로 비교적 크기에 현재의 상태라면 수직입수에 문제가 없어 보입니다만,
    3cm를 잘라내면 어찌 될지 장담할 수 없겠네요.
    잘라도 사선입수는 없을 것입니다. 하지만 몸통을 보이지 않고 찌톱의 어느 지점에서 기립해 입수할 가능성이 있어요.
    입수 모양에 신경쓰지 않고 붕어만 잘 잡으면 된다 생각하시면 자르셔도 됩니다.
    말씀드린 찌톱과 그 이하의 비율은 수직입수에 관련된 것이지, 찌의 기능성엔 아무 문제가 되지 않습니다.

    암튼 낚시는 손맛 못지않게 눈맛도 있기에 저라면 자르기보다 차라리 36cm짜리를 구입하겠습니다.
    그래도 자르고 싶다면 일단 하나 잘라봐서 맘에 들면 나머지 찌도 자르시면 되겠습니다.

    위의 찌에서 찌톱을 자르는 것은 비추입니다.
    찌톱 상부가 잘려나가면 시인성이나 미적인 부분에서도 그닥 좋아 보이지 않습니다.
    왼발잡이 21-03-31 15:56
    통상적으로 막대형찌는 찌다리 길이 + 몸통길이 = 찌톱의 길이로 제작하며, 무난한 비율입니다.
    이는 화무님께서도 짚어주신 말씀이 통상적 입니다.

    전체길이 찌톱길이 = 몸통길이 + 찌다리 부력 *위에서 제시한 비율 중 숨은 길이
    360 19.5cm 9cm 8cm 5.2 2.5cm
    390 21cm 9cm 9cm 5.7 3cm
    420 23cm 9cM 11cm 5.7 3cm
    내용은 질문자님이 제시한 찌의 제원 입니다.

    제원의 내용중 " 찌톱의 길이는 몸통의길이 + 짜다리의길이의 비율이 통상적 제작 기준이라고 했는데 260에서는 2.5cm,
    390과 420에서는 각각 3cm 찌톱이 길죠.
    "이는 찌다리가 약 3cm 몸통에 삽입 되었기 때문 입니다. "

    통상적으로 전체 길이의 비율을 정할때 "찌다리의 일부"가 몸통에 삽입된 부분까지 그 길이로 치죠.
    찌톱의 경우는 반대로 몸통에 삽입된 길이를 제외 합니다 !
    이는 개인적으로 명확한 이해는 없으나, 예상하자면 찌의 자립성 때문이 아닌가 정도로 이해 합니다 !

    따라서 윗글의 내용중 찌톱이 3cm 길다고 하심은 통상적 방법에서 벗어나 있습니다.
    질문자님이 제시한 찌의 비율을 일반적 개념으로 볼 때 아주 이상적인 비율의 찌 입니다 !
    따라서 3cm 정도 찌다리를 자르면 6cm 정도 찌톱이 길어지는 것은 아님니다. 3cm가 길어지는거죠.
    정확한 이해가 필요한 부분이라 두서 없이 몇자 남깁니다 !
    왼발잡이 21-03-31 16:05
    위 내용 중 제원표가(?) 등록하니 한 쪽으로 몰렸네요.
    360(전체길이)
    19.5cm(찌톱길이)
    9cm(몸통길이)
    8cm(찌다리 길이)
    2.5cm(*위에서 제시한 비율중 숨은 길이)

    ㄲ ㅂ ~~
    화무 21-03-31 16:15
    왼발잡이님, 몸통에 삽입된 부분까지 찌다리의 길이로 친다는 말씀의 근거가 궁금합니다.
    찌톱과 찌다리가 일체형으로 몸통에 관통된 막대형 찌의 경우는 어떻게 생각해야 하며, 찌다리가 몸통에 5cm 삽입돼 있다면 찌다리를 5cm 짧게 제작해도 문제가 없다는 말씀인지요?
    그리고 막대찌를 만들어 보셨는지 모르겠습니다만, 옥내림찌처럼 긴 막대형의 경우 찌톱=몸통+찌다리의 비율로 제작하면 몸통을 보이는 입수가 어려운 경우가 많습니다. 실제론 찌톱 비율을 더 줄여야 합니다.
    찌라는 게 아주 간단한 원리로 움직입니다만, 이것을 공식이나 데이터로 만들어내기는 어렵습니다.
    찌의 형태와 제원에 따라 천차만별로 달라지기 때문입니다. 결국 많이 만들어보거나 사용하면서 축적된 데이터로 비슷했던 경우에 대입하는 수밖에는 없습니다.
    부처핸섬 21-03-31 17:11
    왼발잡이님
    찌다리40
    찌톱 120
    1600이상 장찌 ..
    빼박이용이라 찌다리 짧게 주문해 쓰는데
    입질이 촐랑대지는 않습니다
    몇번 멈칫 멈칫하다 끝까지 다올려요
    왼발잡이 21-03-31 19:38
    화무님
    제가 아는 통상의 비율과 님께서 아시는 비율의 인식 차이인것 같고
    또한 원글 질문자가 제시한 제원표상의 찌의 비율이 통상적 개념의 반증이 아닐런지요 ?

    부처핸섬님
    님께서 사용하시는 장찌가 어떤 형태인지는 모르나
    통상적으로 장찌는 부력중심점이 뚜렸한 다루마 형태의 찌가 대다수이며 순부력이 높은 찌 일것이라 사료 됩니다 !

    즐낚하세요 !
    화무 21-03-31 20:10
    글쎄요.... 통상적 개념이라...
    저도 수백개의 찌를 만들어 나누며 사용했고, 주변에 수제찌로 일가견 있는 분들이 상당한데 처음 듣는 얘기를 하시니 의아해서 여쭌 것입니다.
    제 생각이 틀렸을 수도 있겠죠. 한번 생각해 보겠습니다.
    즐낚하세요.
    부처핸섬 21-03-31 20:16
    왼발잡이님
    저도 찌는 만들줄은 아나
    수제찌공방찌만 주문제작해 쓰네요
    순부력 높은 나노찌들은 편대와 궁합좋으며
    강선류들은 발사같은 천연소재와
    궁합이 좋았던거 같습니다
    찌들만 수백개 가지고
    경험했으니..맞을거같네요
    제가쓰는 장찌들은 천연 소재이며 순부력은 별로입니다
    즐낚하십시요



    2024 Mobile Wolchuck