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압에 따라 부력변화가 올 것이라는 생각은
낚시인이면 누구나 갖는 의문점 중의 하나입니다.
특히 얼마전 천안함 사건 때 방송에서 고무풍선을 들고 수심 5m와 10m에 들어가서
풍선의 팽창도를 눈으로 보여줌으로서
더더욱 수심이 깊어지면 부력변화가 심할 것이다 라는 생각을 가진 분들이 많을 것으로 생각됩니다.
자, 그러면 수심 즉 수압은 부력과 어떤 관계가 있을까요?
결론부터 말씀드리면
낚시에 사용하는 찌의 경우 특별한 경우를 제외하고는 부력변화가 없다...는 것입니다.
유체(액체) 속에서의 부력은 오로지 부피와만 관련이 됩니다.
부력은 부피의 제곱에 비례하며 이것을 우리는 아르키메데스의 원리라 부릅니다.
즉 부피변화가 일어나지 않는다면 절대로 부력변화는 오지 않습니다.
부피를 변하게 하는 요소로는
수압, 수온입니다.
만일 찌소재가(그런 건 없지만) 전혀 수압과 수온에 부피변화가 없는 것이라면
절대로 수심에 따라서 부력변화는 올 수 없습니다.
그러면 우리가 수심이 깊은 곳과 수심이 얕은 곳에서 낚시를 하거나
찌길이가 달라지면 부력변화가 온다고 느끼는 이유는 무엇일까요?
우선 수심이 깊은 곳은 그만큼의 원줄을 필요로 합니다.
따라서 원줄무게가 첨가되고
늘어난 원줄의 무게는 그대로지만 부피는 작아져서
원줄이 갖는 부력은 수심이 낮은 곳보다 떨어져 부력이 더 상실되는 요인이 됩니다.
따라서
동일한 수온일 때는 원줄의 무게와 원줄이 상실한 부력의 크기만큼 수심이 깊어지면 부력이 작아지고
수심이 깊을수록 수온이 높은 겨울철에는 원줄의 부피가 수압보다 늘어나게 되므로 미미한 오차를 보이며
여름철의 경우 수온이 깊은 곳이 차므로 수압과 수온의 영향으로 원줄의 부력이 더 감소하게 됩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원줄이나 봉돌이 기체처럼 압력에 형태변화가 심한 소재가 아니고
압력에 의해 무한정 커졌다 작아졌다 하는 것이 아니라서(팽창계수)
우리가 통상 낚시를 하는 깊이(깊어야 6미터 이내??)에서의 수압에 따른 부력변화는 간과해도 될 만큼입니다.
압력과 온도에 따른 부피의 변화는 기체가 가장 심하고 다음이 액체, 고체의 순서이며
봉돌도 주석함량이 많은가? 아연함량이 많은가에 따라(밀도) 그 폭이 다르고
원줄도 플로팅줄이냐 카본사냐에 따라 달라집니다.
즉 수심이 10미터 깊어졌다 한들 납덩어리의 부피가 줄면 얼마나 줄까요?
부피가 준다면 당연히 무게는 그대로 인데 부피만 줄어들므로 부력이 떨어지는 현상을 나타냅니다.
그러므로
오히려 수심에 따른 부피의 변화에 가장 크게 작용하는 것은
분명 수압이 가장 크지만
찌에 있어서 우리가 낚시하는 깊이에서의 수압 정도는 견디게 되어 있으므로
수온에 따른 부피변화 만큼 무시해도 될 만한 수치입니다.
(수온에 따라 부피변화에 매우 달라지지만 찌의 위치는 항상 수면이므로 수온편차가 커봐야 얼마 안됨)
또한,
찌가 길어봐야 1미터 50 이내입니다.
수심이 10미터인들 20미터인들 찌는 항상 상층부에 케미 하나 내놓고 낚시를 하므로
그 위치는 수심과 상관없이 항상 수면입니다.
수면의 압력으로 찌부력이 변하는 건 아주 미미합니다.
찌 소재가 무른 소재나 고무튜브로 만든 진공찌라면
수압에 의해 찌그러들어 부력이 작아질 수 있습니다.
그러나,
여름철엔 수표면의 온도가 높고 깊은 곳은 물이 찹니다.
겨울철엔 반대로 수표면의 온도가 낮고 깊은 곳이 따뜻합니다.
즉,
수심 50cm에서 찌맞춤을 한 찌를 1미터에 넣었다면
수압에 의해 부피가 작아져 다소간의 부력을 잃어야 하지만
겨울철이라면 수심이 깊어진 만큼 수온이 높아져 반대로 부피의 팽창이 일어나
찌의 부피를 키우게 됩니다.
(속이 비어 안에 기체가 든 진공찌의 경우 수온보다 수압이 더 크게 작용하긴 합니다.)
대부분의 찌는 고체로 되어 있고
경화코팅을 하게 됩니다.
그것은 수온과 수압게 견디는 힘을 어느 정도 지니게 만들었다는 말입니다.
붕어낚시를 수심 10미터 이하에서 하는 이도 없고
찌를 10미터에 넣는 사람도 없으며
아무리 긴 찌라야 1미터 쯤에 찌몸통이 위치해 있으니
수압에 의해 찌부력이 변할 일은 거의 없는 것입니다.
오히려
그 정도 깊이에서 찌부력의 변화를 가져오는 요인으로는
물의 온도입니다.
겨울철에 맞추어놓은 찌를 여름철에 그대로 사용한다면
수온의 편차가 커서
당연히 찌의 부피를 증가시켜
찌부력 상승으로 이어집니다.
부피가 변하지 않는 소재라면
부력변화가 올 수 없는 결정적 이유는 모든 수압은 모든 방향에서 받는 힘입니다.
즉 위에서 아래로만 받는 중력이 아니므로
물 속 깊이 넣은 찌가 받는 수압은 위에서 아래로만이 아니라
전후 좌우에서 고루 받기에
중력만 존재하는 것이 아니고 추력도 동시에 가지고 있습니다.
그때 그 수압의 힘으로 찌가 찌그러드는 부피변화만 없다면
부력은 봉돌이나 원줄이 받은 수압으로 줄어든 부피 만큼의 부력을
논외로 한다면 그대로입니다.
***
수압과 찌의 부력
-
- Hit : 21104
- 본문+댓글추천 : 0
- 댓글 22
그냥 읽었단 의미로 .^^ .
참고로 오동나무, 발사, 공작찌의 수온에 따른 변화는
오동나무 > 발사 > 공작찌입니다.
즉 공작찌가 가장 수온의 변화에 덜 영향을 받는 것입니다.
좋은 글 잘 배웠습니다.
주제넘게 한마디 붙입니다.
<원줄과 봉돌의 부피가 줄었으므로 부력은 상실돼야 하지만 <br/>그 수심만큼 원줄이 길어져서 원줄 무게가 더해졌으므로 큰 차이가 없습니다.>는 말씀은
이상합니다. 원줄과 봉돌의 부피가 줄어 부력도 줄었고 그에 원줄의 무게마저 보태졌으니
차이가 더 나리라 생각합니다..그래서 부력변화가 온다고 생각합니다...
제가 수압과 수심과 찌와 봉돌과의 관계를 평소에 궁금해 했습니다.
결론적으로 수심이 깊어지면 부력은 아주 조금이나마 작아지고(독립꾼님 말씀) 침력이 더해져서(소인배님 말씀)
저수지의 비중이 같다는 조건하에 저수지에 가서 수심 1m에 표준찌맞춤을 한 찌가 저수지 중앙 5m 수심에 던졌을 경우
미세하게나마 가라앉는다가 맞는건가요?
그러면 약간 다른 이야기일수도 있는데..(침력과 부력과의 상관관계)
일반적으로 깊은 수심에서 푼수가 많이 나가는 장찌를 선호하는 이유는 뭘까요?
단지 찌오름 때문일까요?
저는 수압을 이기고 봉돌이 내려가야 하기 때문에 높은 푼수의 장찌를 사용해야하는것으로 잘못(?!) 생각하고 있었습니다.
좋은 글 저에게 많은 도움이 되었습니다.
감사합니다.
글 중간이 생략되어 혼선이 있었습니다.
소인배님 말씀대로 원줄이 길어지고 길어진 원줄만큼 무거워지고
수심이 깊어져 수압이 높아지고 수온이 내려가면(여름철)
그 늘어난 원줄의 무게 + 늘어난 원줄이 상실한 부력만큼
전체 찌부력 상실이 되는 것이 맞습니다.
실제로 그 차이를 느끼기에는 그리 크지 않은 수치지만요.
내용을 정정해 놓았습니다.
***
물이 탄성체이므로 수심에따라 부피가 변하는데 낚시에서 유의할 정도는 아니라고 봅니다.
찌에 있어서 낚시 도중 찌가 가라 안는 이유는 찌나 낚시줄이 물을 먹금께되어 무거워 져서이고, 집에서 찌맞춤을 하였는데 현장
에서 틀려지는 이유는 물의 온도가 달라서(밀도)인 것으로 압니다.
약간의 표현을 정리하자면,
(여기서 유체는 물로 한정하기로 하겠습니다)
1.부력체가 물 속에서 밀어낸 물의 무게네서 부력체의 물 속에서의 무게를 뺀 다음
2.위 1의 값에 상응하는 물 속 무게를 가진 봉돌을 만든 다음,
3.그 봉돌이 물 속에서 차지할 부피만큼의 물의 무게를 뺀 값.
*부력체가 밀어낸 물의 무게 재는 법 = 눈금 비이커에 물을 담아 부력체를 넣고 늘어난 물의 양 x 물의 비중(통상 1)
*부력체의 물 속 무게 재는 법 = 물 속에 저울을 놓고 달 수 있으면 좋겠지만...불가능하므로
부력체가 밀어낸 물의 부피(물은 비중이 1이므로 같음) x 부력체의 비중(찌는 찌톱, 도료, 몸통 등
다양하게 구성되어 있어서 실제로 비중을 측정하기란 곤란함)
이렇게 복잡하게 정의 되며
약간의 차이는 있지만 수압과 수온, 염도, 탁도 등의 요인에도 미세한 부력변동이 지속적으로 일어나므로
정확한 0점(수심한 가운데에서 부력체의 부력중심점을 맞추는 일)의 부력을 찾아낸다는 건 불가능합니다.
따라서 우리는 낚시할 때
실제로 마이너스부력(찌를 수심 중앙에 맞추는 것이 아닌 상층부 표면에 맞추기 때문)으로
낚시를 하게 되는 것입니다.
이런 다양한 요인들에서
다소의 부력오차는 불가분의 관계며 무시해도 될 만큼이라고 생각합니다.
***
수압보다 더 중요한게 몇마디를 내어 놓고 낚시를 하는냐 겠지요?
정확하게 하려면 물밖으로 나와있는 찌톱의 높이를 잘 맞추어야 겠지요~
영점 맞춤을 했다면 좀 덜하겠지만... 무거운 맞춤을 했을 경우 물밖으로 찌톱이 많이 나오게 되면
부력이 많이 달라지고 붕어가 느끼는 이물감도 더 커진다는 거~ 그게 젤 큰 영향을 미치걸 같은데요~
[찌톱은 항상 수중에 있스비니다, 구슬모양의 찌몸통을 가진찌가 아래와 같은 결과를 잘 표현할것입니다]
찌가 수조에서 1센티 뜹니다
봉돌깍습니다 3센티 뜹니다
봉돌깍습니다 6센티 뜹니다
봉돌깍습니다 10센티 뜹니다
이런 과정으로 찌마춤이 이루어지지 않을까요?
수압과 그에따른 물의밀도 변화가 부력변화로 표현된다고 저는 생각합니다
봉돌을 깎아서 찌가 상승하는 것은
수압이 아니고
중력상실로 인한 부력우세로 나타나는 현상입니다.
실제로 나타나기는 어려운 결과입니다
[수압증가=>물의부피감소=물의비중증가=부력증가]<==요게 틀린 가설입니다 제착각이었네요 <br/>
수압에따른 물의 부피변화는 없다고 할순 없지만 0 에 가까습니다
[[수온]]에따른 물의 부피변화=>비중변화=>부력변화로 이어지는게 현실적입니다
첨언 하자면
물의비중은 수온이나 농도에의해 결정됩니다
그런데 대류현상이란걸 가만하더라도
물리규칙상 비중이높은 물은 저수지바닦에 비중이낮은 물은 표층에 위치하겠지요
따라서 [높은 비중의물=부력증가]란 추론도 이론상 가능할것 같습니다
민감한 찌생각에 이런저런 생각과 댓글로 많이 배웠습니다
감사합니다
독립꾼님의 글은 어디까지나 이론인듯 싶습니다
현장에서 낚시를 하다보면 아주미세하나마 수심에 따른 부력변화를 느낄수 있습니다
1M권과 3M이상의 수심에서는 당연 부력차가 있다고 봅니다
제가 물리학적인건 모르겠고 20년가까이 낚수놀이를 하다보니 찌의길이에 대한 부력보다는 수심에따른 봉돌이 전달되는
부력이 더 중요한것 같습니다
취미 생활을 하는데 너무 어려운 과제인듯 합니다
부력에 대한 논리는 찌맞춤과 연관있을것으로 보는데 그냥 현장에 도착하면 현장찌맞춤으로 대체하면 될것같습니다
낚수는 과학일까? 어려운 과제를 주시네요.... 쉽게 살자구요 낚시에 학문까지 도입하면 머리아파 낚시못합니다
낚시란 취미일뿐 학문이 아니지 않습니까? 부력은 부력이고 현장에서 수심에 따른 찌맞춤이나 잘하자고요
머리아픈 조사님들 홧팅하십시요
"늘어난 원줄의 무게는 그대로지만 부피는 작아져서 원줄이 갖는 부력은 수심이 낮은 곳보다 떨어져 부력이 더 상실되는 요인이 됩니다."라는 부분인데요. 왜 늘어난 원줄의 부피는 작아진다고 하신거지요? 수압때문에(측정하기는 곤란하겠지만) 그럴거라는
말씀이신지요?
정답은 없는 거 같아요.
그냥 자기 스타일대로 하세요~
분명이 있습니다 7호봉돌을[6.5g] 투척 했을때 수심1m에 내려가는데 1초가 걸린다면 10m를 내려가는데는 10초가 걸려야
할것 입니다 그러나 1m와 10m는 수압이 틀립니다 깊을수록 수압을 더 받기 때문에 더 천천히 내려갈것 입니다
낚시는 수심이 10m 에서 하는것이 아니기 때문에 그 정도는 무시해도 될것 같습니다
물의 온도와 수압.염도. 탁도에따라 부피의 변화가 있습니다 특히 염도는 많은 부력의 변화를 보입니다
바다물에서 수심4m에서 표준찌 맞춤을 했습니다 그리고 그대로 저수지에서 던져보면은 그대로 가라앉습니다
여름에 수심4m에서 표준찌 맞춤을하고 겨울에 그대로 저수지에 던져 보면은 역시 가라앉습니다
이 또한 온도와 탁도 때문 입니다 그러나 수압과 찌와의 부력 관계는 미미 할것으로 생각 됩니다
월척캠페인:오분만 청소합시다
전 대충 풍덩할랍니다. 힘센 놈이라면 찌가 올라오겠지요 ㅋㅋ
연구하는 자세에 박수 보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