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타지식

· 기타지식

단파 라디오에대해 아시는 분 도와주세요.

여러분들도 많이 경험하셨겠지만 저수지에서 FM이나 AM을 들으려고 할 경우에 대부분의 곳에서는 전파가 잘 잡히지 않아서 듣기가 아주 어렵습니다. 저 개인적으로는 가는 전선으로 길게 안테나를 만들어서 사용하고 있지만 여전히 한계가 있더군요. 손에서 놓으면 잡음이 많아지고...... 그래서 제가 생각한 것이 단파라디오 입니다. 그런데 전 단파라디오에 대해서 아는게 아무것도 없거든요. 일반 라디오가 잘 안오는 곳에서 과연 단파라디오는 잘 나올지? 한국어 음악방송(음악만 혹은 음악과 이야기가 있는)은 있는지? 밤새도록 들을 수 있는지? 혹시 추천할 만한 단파라디오는 ? 여러분들의 도움을 바랍니다. [이 게시물은 운영자님에 의해 2006-09-12 22:52:57 구입기/사용기/팁에서 이동 되었습니다]

단파라디오; 단파라디오를 소유하기 위해서는 먼저 라디오의 다이얼 구성을 알아야 만이 단파라디오가 어떤 것인지를 이해할 수가 있습니다 단파라디오는 일반 라디오와 외형적으로는 별 차이는 없지만 가장 중요한 것은 단파를 수신할 수 있느냐가 첫째 조건입니다 아래에 나타난 다이얼 판을 눈여겨 보자면 단파라디오는 일반 라디오와는 달리 단파방송을 수신할 수 있는 SW 라는 표시가 나타나 있습니다 이 SW 는 -short wave-의 약칭으로서 파장이 짧은 전파 즉. 단파를 수신할 수 있는 라디오라는 것을 알 수가 있습니다 그러므로 현재 자신이 소유한 라디오나 새로 구입할 라디오의 다이얼 판에 SW가 또렷이 표시가 되어 있다면 그것은 바로 단파방송을 청취할 수 있는 기종인 것입니다.
FM -mhz-- 88................92................94..............96.............98............100...........104...........106......108

MW -khz- 530............600..............700.............800.............1000.............1200..............1400.............1600

SW1 -khz- 2300.......................3000.......................4000....................5000..................6000..............7000

SW2 -khz- 7000..................8000................10000................12000............15000.............2000...........23000

라디오 다루기; 단파라디오도 기능 면에서는 일반 중파(medium wave MW) 또는 FM 라디오와 하나도 다를 바가 없지만 그러나 단파는 매우 예민한 전파의 특성과 또한 이와 더불어 지구 대기층 상공에 형성된 전리층이라는 이온 층 때문에 전파가 오락가락 하여 수신에 다소 어려움이 따르기 마련입니다 단파방송을 청취하기 위해서는 먼저 라디오의 전환 스위치를 SW 위치에 놓고 안테나를 최대로 길게 느리면서 다이얼을 회전합니다 이 때에는 다소 느린 동작으로 주파수를 맞추는 것이 좋은데 그 이유는 단파는 다이얼 눈금의 폭이 매우 좁으므로 바늘이 약간만 이동하여도 방송 선택을 놓칠 우려가 있기 때문입니다 단파방송을 수신하는 데에는 방송국의 주파수를 먼저 알아야 하지만 우연히 다이얼을 돌리다가 발견할 수도 있습니다 여기서 주파수라는 것은 방송국에서 내 보내는 전파의 진동수를 말하는 것으로 다이얼 눈금에 새겨진 숫자가 바로 주파수의 자리를 나타내고 있는 것입니다 얘를 들어서 어느 방송의 주파수가 12000킬로헬즈 라고 할 때에 그 방송을 수신하려면 다이얼 판에서 12000 위치에 지침을 고정하면 되는 것입니다 이는 중파인 MW 나 FM 방송을 선택할 경우와도 동일합니다 그러나 단파라디오의 따라서는 그 기능상 다소 오차의 한계 치가 있을 가능성 때문에 정확히 선택되지 않을 수도 있습니다 그러므로 다이얼의 지침은 12000킬로헬즈를 중심으로 해서 좌. 우로 다소의 간격을 두고 이동을 하면 방송을 선택할 수가 있습니다.

국제 표준시; 세계에는 국제적으로 표준시간(UTC 또는 GMT)이라는 것이 있습니다 지구는 둥글기 때문에 태양 빛이 각 나라들마다 와 닿는 시간의 차이가 발생하기 때문에 나름대로 자국내의 시간들이 따로 정해져 있습니다 그래서 이러한 혼동을 피하기 위하여 각 나라들의 시간과는 관계없이 국제적으로 통용되는 절대적 표준시라는 것을 설정한 것입니다 이 표준시는 영국의 그리니치 천문대를 태양이 통과하는 시점을 기준을 삼은 것인데 그러니까 표준시라는 것은 결국 영국 본토의 시간을 의미하는 것입니다 전 세계에서 발생한 모든 사건들은 우선 표준시로 발표를 하면 그 소식을 받은 다른 나라들은 다시 자신의 나라의 시간대로 환산을 하는 것입니다 우리나라의 시간은 표준시보다는 항상 9시간을 먼저 앞서가고 있는데 예를 들어서 표준시가 24시이면 한국에서는 오전 9시가 되고 국제표준시 13시는 우리 시간으로 밤 10시가 되는 것입니다 단파는 어디까지나 국제방송용이므로 국제 표준시를 철저히 이행하고 있습니다 그러므로 단파방송을 애청하는 청취자들에게 있어서는 언제든지 국제 표준시라는 개념을 항상 머릿속에 지녀야 하는 것입니다.

수신 안테나; 다른 여타 수신기도 그렇지만 단파방송을 수신하기 위해서는 무엇보다 안테나가 가장 중요한 핵심적 요소입니다 즉. 라디오의 수신상태는 어디까지나 안테나에 달려 있다는 뜻입니다 보통 일반 주거지역에서는 특별한 안테나가 없이도 라디오 자체 안테나만으로도 수신이 가능하지만 주위에 높은 건물이나 아파트와 같이 철근 구조물이 있는 실내에서는 전파의 효율성이 매우 떨어지게 됩니다 따라서 아파트와 같은 빌딩 내에서는 수신이 매우 불가능하므로 결국은 안테나의 보완이 절대 필요하게 마련입니다 그렇다면 안테나 설치를 어떻게 하는 것이 적합한가 이에 대하여는 우선 피복이 씌어져 있는 전선을 건물 옥상 위에 최소한 10~15미터 정도를 수평으로 -자 형으로 길게 늘이고 전선 한쪽 끝은 실내로 들여와 둥글게 다발로 엮어서 라디오 부근에 고정시키거나 라디오에 따라서는 뒷면에 안테나 단자에 연결을 합니다 그런데 이 방법은 단독주택의 경우는 그런 대로 가능하지만 아파트는 다가구 공동 건물이므로 그리 쉬운 일은 아닐 것입니다 이런 경우에는 역시 10m정도의 피복전선을 창문 아래로 길게 I 수직방향으로 내리고 역시 다발로 엮어 라디오에 고정하면 됩니다. 물론 이웃의 피해를 주지 않는 범위에서 가능할 것입니다

이 단파라디오는 아날로그형으로서 다이얼을 직접 손으로 돌려 가면서 방송을 선택하는 기종이며 가격이 저렴하며 초보형으로 매우 적합합니다.
이 라디오는 다이얼과 모든 기능을 수동으로 하는 것이 아니라 방송 주파수만 알고 있으면 미리 입력을 해 두는 디지털형의 단파라디오입니다.

단파 라디오 방송시간 및 주파수 통보
방송시간 및 주파수

KBS 국제방송 (KBS WORLD Radio)은 유럽, 북미, 남미, 동남아시아, 중동 아프리카, 중국, 일본등 전 세계를 대상으로 하루 93시간 26개 주파수를 통해 11개 언어 프로그램을 제작, 방송하고 있습니다.
유럽
언어 방송시간 (UTC) 주파수 (kHz)
09:00 ~ 11:00 9640
우리말 1 16:00 ~ 18:00 7275
17:00 ~ 19:00 9515
우리말 2 07:00 ~ 08:00 9535 (Skelton)
09:00 ~ 10:00 15210
북미
우리말 2 01:00 ~ 02:00 15575
14:00 ~ 15:00 9650 (Sackville)
남미
우리말 2 03:00~04:00 11810
동남아시아
우리말 1 09:00 ~ 11:00 9570
중동 아프리카
우리말 1 16:00 ~ 18:00 15575
17:00 ~ 19:00 7150
무지향
우리말 1 09:00 ~ 11:00 5975, 7275
17:00 ~ 19:00 5975
21:00 ~ 23:00 5975
우리말 2 10:00 ~ 11:00 1170 (MW)
12:00 ~ 13:00 7275

- 한국어 단파방송국

* RKI (라디오 한국) : http://rki.kbs.co.kr/k_index.asp

* VOA(미국의 소리) : http://www.voanews.com/korean

* RFA(자유아시아방송) : http://www.rfa.org/korean

* NHK (라디오 일본) : http://www.nhk.or.jp/korean

* CRI (중국국제방송) :http://kr.chinabroadcast.cn/

* CNR (중앙인민방송) : http://www.cnradio.com/folk/index.html

* PBS (흑룡강 인민방송) : http://www.873k.com/

* RTI (라디오 타이완) : http://www.rti.org.tw/korean

* VOR (러시아의 소리) : http://www.vor.ru/korean.html

* GTRK (사할린 우리말 방송) : http://www.609studio.com/html/broadcasting/urimal.html

* AWR (희망의 소리) : http://www.awr.or.kr

* TWR (북방선교방송) : http://www.twrk.or.kr

* WYFR (패밀리 라디오) : http://worldwide.familyradio.org:8083/


- 국내 BCL관련 개인 및 단체 홈페이지, 블로그

* 한국단파클럽 : http://cafe.daum.net/danpa

* 단파월드(이대규 선생님) : http://home.megapass.co.kr/~jsamen

* 이갑재 선생님 홈페이지 : http://hompy.dreamwiz.com/leeg3333

* 디지털 별곡 (재일한국인 BCLer 운영) : http://homepage2.nifty.com/kuwahara/kr-main.htm

* 안경민 선생님 블로그 : http://blog.naver.com/soagga

* 이창민님 블로그 : http://blog.naver.com/kkikkakko

* 박진욱님 블로그 : http://blog.naver.com/rdman929

* PRO L/C : http://www.prolc.co.kr


여기 저기서 발췌 해봤습니다 정리가 어렵네요

여러 홈페이지 적어 놨으니까 찾아 가셔서 읽어 보세요
꽝을 면하자님
님의 성의에 감사를 드립니다.
단파방송에 대해서 조금은 알겠습니다.
열심히 공부해 보겠습니다.
정말 감사합니다.



2025 Mobile Wolchuck