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타지식

· 기타지식

"동의" 하시는지요.

초보낚시인의 허접한 질문입니다. "봄" 저수지. "가을" 수로라는데... 同意하십니까?? 만약 그렇다면 그 이유는요?? 하루가 다르게 기온이 곤두박질합니다. 출조시 "보온"에.."감기"에 각별히 신경을 쓰십시요...씨-__^익

제가 출조하면서 느꼈던 허접한 답변 드려봅니다.

겨울동안 식어있던 대지가 쉽게 따뜻해지지 않습니다.
따라서 봄에는 흐르는 물이 햇볓을 받는다고 해도
쉽게 수온이 오르지 않더군요..
때문에 봄철에는 고여있는 저수지권이 유리할듯 싶습니다.

조금이라도 더 따뜻한 깊은곳에 있던 물고기들이
수온이 빨리 오르는 물가로 나오는것은 당연하겠지요.
여기에 산란철까지 겹치면 말할것도 없이
물가 수초가 있는곳에서 대박칠 확률이 높겠지요.

가을철은 아무래도 저수지는 여름내내 따뜻했던 대지가
쉽게 차가워지지 않습니다.
때문에 사람이 생각하는 것보다 더디게 식어가겠지요.
사람들은 추워서 낚시하기 힘들어지지만 물고기들에겐
오히려 그때가 활동하기 쉬워지는 계절이 될 가능성이 높습니다.

그러나 수로는 외부 온도,햇빛에 민감하게 수온이 반응합니다.
수로에서의 낚시도 사람의 낚시시기보다 더뎌 추워져야 활성도가 높은것이 사실입니다.
하지만 저수지보다는 빠르게 찾아오는것이 사실입니다.

이런 이유로 사람들이 봄 저수지 가을 수로라고 하는것이 아닐까 생각합니다.

이상 허접한 답변이었습니다.
자세한 답변은 고수님들께 패스하겠습니다.^^
봄 도다리, 가을 전어 는 들어 보았어도
봄 저수지,가을 수로는 금시초문 입니다 ..


ㅎㅎ 농담 이구요

쉽게 생각 하면
수 십년 세월이 흐르며 얻어진 꾼 들의 경험치라고 봅니다

대표적으로 동풍 이나 보름달도 거기에 포함 되어 진다고 보여 집니다

아시다 시피

봄저수지,가을 수로의 호황이나
동풍,보름달 등의 저조황이 일반적 현상이지 절대적 현상은 아닌것처럼

저의 경험으로도

초봄에 강낚시가 잘되는곳도 있고

저수지도 산란철인 봄 보다도 늧가을에 큰 씨알을 보여 주는곳도 많더군요

어찌됬든

봄에는 수로나 강계 보다는 저수지가 무난하고 찾는이도 많고

가을에는 수로나 강계의 붕어가 먹성이 좋아 지는것은 사실 입니다

그런 원인으로 몇가지 떠오르는건

각각의 계절에 맞는 적정한 수온과 산란환경,지방보충의 시기,가 다르고

남쪽의 수로의 경우에는 {강계제외)

이른 봄이나 겨울에 많이들 찾지만

조황이 좋아서 찾는다기 보다는 그 시기에 저수지 조황 보다는 좋기 떄문에 찾는 이유가 타당 하다고 보여 집니다..


수로의 경우,

안가서 그렇지,여름철 조황도 좋은데 모기 떄문에 기피 하거나

밤낚시가 않되서 안찾거나 수로낚시를 선호 하지 않거나 등의 이유도 크게 작용 한다고 생각 되어 집니다

결론적으로 수로는 사철 낚시가 잘되고

강계는 저수지 배수 시기에 찾거나 추석 전후로 피크를 이루고

여름 시기에는 큰 물진후 안정기에 좋고 겨울철 낚시는 거의 않되는 편 입니다

저수지는 봄에 잘되는 것은 부정할수 없는 일반적 상황 이구요...

그 밖에

피리,블루길이 설치는 곳은 조금 시기를 당겨 빠르게 출조 하거나

배스 가 있는곳은 늧봄 이후나 큰 비이후 찾는것도 좋은 방법이라 여겨 집니다

즐거운 주말 되시길 바람니다

아참,,,
어찌됬든 결론은 동의쪽에 가깝게 되버렸네요 ㅎㅎ
흠...고급정보네요.

수로쪽으로 발길을 돌려야하나...

심히 망설여집니다.ㅎㅎㅎ
동의 못합니다.
저는 겨울에 주로 수로를 찾거든요.
수로는추석전부터겨울까지라고봐야죠.12월중순까지수로낚시합니다.수심은좀있어야되겠죠!다들안출하세요
계절별 그렇게 출조하신 분들은 그렇게 생각하실수 있겠지만 그 반대로 다니신분들은 반대로 생각 하실 수도
있을것 같네요.
하지만 계절 특성상 배수기때의 경우를 생각해 본다면 그럴법도 한것 같네요.
개인적으로 저수지는 물이 빠져도 도전해 보지만 수로는 물빠지면 아예 갈생각을 안합니다.
가을엔 소류지나 저수지가 대물이 더 많이 나오지 않나요? 그래서 가을엔 저수지나 소류지만 고집합니다.



2025 Mobile Wolchuck