네비게이션의 단점이
국도와 지방도를 표시 하기때문에
등록되어있지 않은 도로는 즉 숫자로 표기되어있지않는 농로등은 네비게이션이 길안내를 하지 않습니다
주소가 검색이 있기는하지만 대도시나 어느 중심지 주소는 잘 표기가 됩니다
하지만 국도나 지방도로 등록되어있지않는 농로위 주소검색시
가까운 곳까지만 길안내를 합니다
저의 처가 집이 강원도 춘천시 조양리 XXX번지 인데요
주소 검색해서 가보면 약 30m 전에서 길안내가 끝나버립니다 ^^
즉 작은 산속소류지 등은 길안내 지명검색 등이 되지 않습니다
실제로 인터넷 지도에 나와있는 못의 이름과 네비에 나와있은 못의 이름이 틀린 경우도 있습니다
지방도와 국도 옆에 자리한 저수지는 바로 검색이 잘됩니다
소류지등을 찾아 가실때는 저의 경우는
먼저 인터넷지도 검색을 먼저합니다 어느 위치에 못이 있는지 알아두고
다음으로 아이나비 홈 페이지에 들어가서 커뮤니티에 보면 사용자오류지점 등록툴 이라고 있습니다
이넘 누르면 지도가 나옵니다
여기서 다시 소류지나 제가 이동할곳의 가장 가까운곳 지명 건물등을 찾아서
네비게이션에 검색합니다 ^^
좀 번거럽긴하지만 네비게이션 검색어가 첫번째 글씨가 틀리면 검색하기 힘들기 때문입니다
예를 들어 주촌지라고 검색시 주 자를 모르면 검색할수가 없기때문입니다
뒤에 글씨는 몰라도 주 라는 글씨가 넣으면 주 로 시작하는 모든 명이 다 나오기 때문에 큰문제는 없지만
첫 글자는 꼭 알아야 하기때문에 저 초행길시 꼭 아이나비 홈페이지에서 먼저 검색합니다 ^^
네이게이션 구입시 참고하셔야 할것은
첫번째: 맵의 인지도 입니다 많이 사용하는 맵이 좋은 맵이라 생각하시면 될겁니다
두번째: 업그레이드는 자주하는가 입니다
세번째: 업그레이드는 무료인가 입니다 ^^ 돈 받는곳도 있습니다
네번째: 맵을 돌려줄 기기인데요 요즘 PDP PDA 등 많이있습니다 구입시 이것도 컴퓨터랑 같아서 속도가 중요합니다
요즘 네비게이션은 2G 까지 나옵니다 그래서 용량이 점점 커지고 있어서 매인 CPU의 속도도 빨라야합니다
다음 커뮤니티에 가보시면 네비게이션 카페가 많이 있습니다
가입하셔서 꼼꼼히 잘 따져 보시고 구입하시기 바랍니다 ^^
네비게이션은 gps에서 수신된 현재 장소를 지도의 위치와 매칭 시켜 주는 프로그램입니다.
물론 gps의 기능이 좋아야 하겠지만 현재 나와 있는 gps 기능은 거의 동일합니다.
터널을 지나고 난 뒤에 다시 위치를 잡을때의 속도 등은 네비게이션내에 장착된 cpu의 성능에 따라 달라집니다.
그러고 보면 제일 중요한 것은 지도가 되겠죠. 지도에 얼마나 많은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는냐에 따라서 상세하게 나타낼 수도 있고 중요한 도로만 나타날 수도 있게 됩니다.
현재 국내에 나와 있는 네비게이션 중 가장 좋은 프로그램은 컴퓨터를 이용한 이지윙스라는 프로그램입니다. 컴퓨터에서 사용하게 되므로 엄청난 지도데이터가 저장되어 있고 컴퓨터의 cpu가 작동되므로 새로운 위치 탐색 시간도 1초를 넘지 않습니다.
단점은 이 프로그램을 사용하려면 차에 노트북이나 차량용pc를 설치해야 한다는 것입니다.
4년전쯤 부터 애마에 노트북, 데스크탑, 차량용pc를 번갈아 가면서 달아 봤습니다. 알맵과 이지윙스를 둘다 써 본 결과 아직 알맵의 성능이 이지윙스를 따라가지 못합니다. 업그레이드 속도를 보면 조만간에 알맵이 더 좋은 성능으로 거듭날 것 같은 느낌도 듭니다.
차량용 pc를 설치하면 센터페시아가 좀 산만해 지긴 합니다만 장점이 아주 많습니다.
네비게이션, DVD, DIVX영화, MP3, 데이터 저장, DMB, 무선인터넷등 가정에서 할 수 있는 모든 PC기능을 차량내에서 맛볼 수 있습니다. 물론 아직 무선인터넷은 제약이 많습니다만 3년안에 전국이 무선인터넷 존안에 들어가지 않을까 싶습니다.^^
낚시용으로 사용한다면,
저수지 정보를 워드나 아래아한글로 작성하여 저장해 놓고,
출조예정지를 선정한 후 네비게이션을 돌려 가면서 찾아 가면 됩니다.
겨울에 소류지 탐색후 디지털카메라로 찍고 탐색결과등을 기록해서 저장하고 네비게이션에 저수지 위치를 콕 찍어서 저장해 두면 엄청난 자료가 되겠죠.^^
지도에 길이 나와 있지 않아서 소류지를 못 찾겠다면 구글어스를 실행시켜서 위성사진을 검색하면서 소로를 찾아 가면 됩니다. 꿈같은 이야기지만 가능한 일입니다.
1. 선정하실때 사용지도가 만도맵(맵피,지니), 아이나비맵 셋중에 하나로 고르시는게 좋습니다.
현재 네비지도중 가장 정확하다고 평이 나있는게 위 세게 지도입니다. 가장 선호하는 지도이기도 하고요
위의 세가지 지도 모두 무료업그레이드 가능합니다.
2.위성수신칩이 서프3 칩을 사용하는 제품을 선택하십시요 현재까지 나온 네비 위성수신칩중에 가장 수신률이 좋고 요즘 나오는 대부분 네비가 서프3칩을 사용하나 간혹 자사 수신칩이나 다른수신칩을 사용하는 회사도 있으니 꼭 확인 하십시요 네비에서는 아주 중요한 부분입니다.
3. pda형으로 하실건지 7인치 tv형으로 하실건지 선택하시고요
한번장착후에 다른 차로 거의 옮길일이 없다면 7인치형을 추천합니다. 화면이 커서 운전중에 지도보기가 수월하며 요즘 dmb기능이 자체내장된 제품이 주류를 이루기 때문에 간혹 차에서 쉰다거나 할때 tv시청이 가능하고 영화도 시청가능하니 한번씩 유용히 쓰일때가 있을겁니다.(예전 tv튜너장착되어 시청할수는 있지만 화질 엉망인 tv생각하시면 안됩니다. ^^ 시청가능지역에서는 웬만큼 선명히 나오고 달리는중에도 시청가능합니다)다만 아직 지상파dmb가 서울 경기 부산 등 몇개지역만 시청가능하나 차차 확대되어가고 있고 위성과는 달리 요금이 없습니다.^^
4. 메모리용량이 최소 2기가 이상 호환되는 제품을 선택하십시요
현재 대부분의 지도회사에서 3d 지도를 출시했기때문에 용량이 현재 제가 쓰는 지니맵의 경우 거의 1기가에 육박합니다.
내년초쯤엔 1기가를 넘어설거라 예상되기때문에 최소 2기가 이상호환되는제품을 선택하시고 현재 30~40만원대 제품도
4기가까지 호환되는 제품이 나온걸로 알고 있습니다.
5. 마지막으로 네비기기 선택인데 가격이 7인치형이 30만원대~100만원이상 다양하며 30~40만원대 제품도 좋은제품 많습니다.
고가 네비로 갈수록 달라지는게 cpu속도, 메인보드 lcd판넬(아날로그냐,디지탈이냐) 정도라 보시면 되고 cpu와 메인보드성능이 좋을수록 검색속도 및 길을 잘못 들었을때 재탐색 속도에서 차이를 보이는 것이지 웬만큼만 되면 네비로 사용하시는데는 큰 문제가 없다고 봅니다. 간혹 비슷한 가격대 제품이라도 생산업체에 따라 고객평이 좋은제품도 있고 아주 안좋은제품도 있으니
충분히 알아보시고 결정하시는게 좋을듯합니다. 한번 장만하실려면 적은 금액이 아니며 일단 사면 5~10년은 쓰셔야되니 되도록
인지도가 있는 제품으로 고르시는게 추후 A/S문제나 업글에 대해 안심하실수 있으실거라 생각되네요
제품추천은 하기가 좀...^^;
나름대로 생각한바를 두서없이 적었는데 도움이 되셨으면 합니다.
감기 조심하시고 좋은 하루되세요~ ^^
http://www.wolchuck.co.kr/img/best05.gif>
네비게이션을 사용한지가 약 2년조금 넘은듯합니다 ^^
맵은 아이나비를 사용하고있습니다
네비게이션의 단점이
국도와 지방도를 표시 하기때문에
등록되어있지 않은 도로는 즉 숫자로 표기되어있지않는 농로등은 네비게이션이 길안내를 하지 않습니다
주소가 검색이 있기는하지만 대도시나 어느 중심지 주소는 잘 표기가 됩니다
하지만 국도나 지방도로 등록되어있지않는 농로위 주소검색시
가까운 곳까지만 길안내를 합니다
저의 처가 집이 강원도 춘천시 조양리 XXX번지 인데요
주소 검색해서 가보면 약 30m 전에서 길안내가 끝나버립니다 ^^
즉 작은 산속소류지 등은 길안내 지명검색 등이 되지 않습니다
실제로 인터넷 지도에 나와있는 못의 이름과 네비에 나와있은 못의 이름이 틀린 경우도 있습니다
지방도와 국도 옆에 자리한 저수지는 바로 검색이 잘됩니다
소류지등을 찾아 가실때는 저의 경우는
먼저 인터넷지도 검색을 먼저합니다 어느 위치에 못이 있는지 알아두고
다음으로 아이나비 홈 페이지에 들어가서 커뮤니티에 보면 사용자오류지점 등록툴 이라고 있습니다
이넘 누르면 지도가 나옵니다
여기서 다시 소류지나 제가 이동할곳의 가장 가까운곳 지명 건물등을 찾아서
네비게이션에 검색합니다 ^^
좀 번거럽긴하지만 네비게이션 검색어가 첫번째 글씨가 틀리면 검색하기 힘들기 때문입니다
예를 들어 주촌지라고 검색시 주 자를 모르면 검색할수가 없기때문입니다
뒤에 글씨는 몰라도 주 라는 글씨가 넣으면 주 로 시작하는 모든 명이 다 나오기 때문에 큰문제는 없지만
첫 글자는 꼭 알아야 하기때문에 저 초행길시 꼭 아이나비 홈페이지에서 먼저 검색합니다 ^^
네이게이션 구입시 참고하셔야 할것은
첫번째: 맵의 인지도 입니다 많이 사용하는 맵이 좋은 맵이라 생각하시면 될겁니다
두번째: 업그레이드는 자주하는가 입니다
세번째: 업그레이드는 무료인가 입니다 ^^ 돈 받는곳도 있습니다
네번째: 맵을 돌려줄 기기인데요 요즘 PDP PDA 등 많이있습니다 구입시 이것도 컴퓨터랑 같아서 속도가 중요합니다
요즘 네비게이션은 2G 까지 나옵니다 그래서 용량이 점점 커지고 있어서 매인 CPU의 속도도 빨라야합니다
다음 커뮤니티에 가보시면 네비게이션 카페가 많이 있습니다
가입하셔서 꼼꼼히 잘 따져 보시고 구입하시기 바랍니다 ^^
물론 gps의 기능이 좋아야 하겠지만 현재 나와 있는 gps 기능은 거의 동일합니다.
터널을 지나고 난 뒤에 다시 위치를 잡을때의 속도 등은 네비게이션내에 장착된 cpu의 성능에 따라 달라집니다.
그러고 보면 제일 중요한 것은 지도가 되겠죠. 지도에 얼마나 많은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는냐에 따라서 상세하게 나타낼 수도 있고 중요한 도로만 나타날 수도 있게 됩니다.
현재 국내에 나와 있는 네비게이션 중 가장 좋은 프로그램은 컴퓨터를 이용한 이지윙스라는 프로그램입니다. 컴퓨터에서 사용하게 되므로 엄청난 지도데이터가 저장되어 있고 컴퓨터의 cpu가 작동되므로 새로운 위치 탐색 시간도 1초를 넘지 않습니다.
단점은 이 프로그램을 사용하려면 차에 노트북이나 차량용pc를 설치해야 한다는 것입니다.
4년전쯤 부터 애마에 노트북, 데스크탑, 차량용pc를 번갈아 가면서 달아 봤습니다. 알맵과 이지윙스를 둘다 써 본 결과 아직 알맵의 성능이 이지윙스를 따라가지 못합니다. 업그레이드 속도를 보면 조만간에 알맵이 더 좋은 성능으로 거듭날 것 같은 느낌도 듭니다.
차량용 pc를 설치하면 센터페시아가 좀 산만해 지긴 합니다만 장점이 아주 많습니다.
네비게이션, DVD, DIVX영화, MP3, 데이터 저장, DMB, 무선인터넷등 가정에서 할 수 있는 모든 PC기능을 차량내에서 맛볼 수 있습니다. 물론 아직 무선인터넷은 제약이 많습니다만 3년안에 전국이 무선인터넷 존안에 들어가지 않을까 싶습니다.^^
낚시용으로 사용한다면,
저수지 정보를 워드나 아래아한글로 작성하여 저장해 놓고,
출조예정지를 선정한 후 네비게이션을 돌려 가면서 찾아 가면 됩니다.
겨울에 소류지 탐색후 디지털카메라로 찍고 탐색결과등을 기록해서 저장하고 네비게이션에 저수지 위치를 콕 찍어서 저장해 두면 엄청난 자료가 되겠죠.^^
지도에 길이 나와 있지 않아서 소류지를 못 찾겠다면 구글어스를 실행시켜서 위성사진을 검색하면서 소로를 찾아 가면 됩니다. 꿈같은 이야기지만 가능한 일입니다.
1. 선정하실때 사용지도가 만도맵(맵피,지니), 아이나비맵 셋중에 하나로 고르시는게 좋습니다.
현재 네비지도중 가장 정확하다고 평이 나있는게 위 세게 지도입니다. 가장 선호하는 지도이기도 하고요
위의 세가지 지도 모두 무료업그레이드 가능합니다.
2.위성수신칩이 서프3 칩을 사용하는 제품을 선택하십시요 현재까지 나온 네비 위성수신칩중에 가장 수신률이 좋고 요즘 나오는 대부분 네비가 서프3칩을 사용하나 간혹 자사 수신칩이나 다른수신칩을 사용하는 회사도 있으니 꼭 확인 하십시요 네비에서는 아주 중요한 부분입니다.
3. pda형으로 하실건지 7인치 tv형으로 하실건지 선택하시고요
한번장착후에 다른 차로 거의 옮길일이 없다면 7인치형을 추천합니다. 화면이 커서 운전중에 지도보기가 수월하며 요즘 dmb기능이 자체내장된 제품이 주류를 이루기 때문에 간혹 차에서 쉰다거나 할때 tv시청이 가능하고 영화도 시청가능하니 한번씩 유용히 쓰일때가 있을겁니다.(예전 tv튜너장착되어 시청할수는 있지만 화질 엉망인 tv생각하시면 안됩니다. ^^ 시청가능지역에서는 웬만큼 선명히 나오고 달리는중에도 시청가능합니다)다만 아직 지상파dmb가 서울 경기 부산 등 몇개지역만 시청가능하나 차차 확대되어가고 있고 위성과는 달리 요금이 없습니다.^^
4. 메모리용량이 최소 2기가 이상 호환되는 제품을 선택하십시요
현재 대부분의 지도회사에서 3d 지도를 출시했기때문에 용량이 현재 제가 쓰는 지니맵의 경우 거의 1기가에 육박합니다.
내년초쯤엔 1기가를 넘어설거라 예상되기때문에 최소 2기가 이상호환되는제품을 선택하시고 현재 30~40만원대 제품도
4기가까지 호환되는 제품이 나온걸로 알고 있습니다.
5. 마지막으로 네비기기 선택인데 가격이 7인치형이 30만원대~100만원이상 다양하며 30~40만원대 제품도 좋은제품 많습니다.
고가 네비로 갈수록 달라지는게 cpu속도, 메인보드 lcd판넬(아날로그냐,디지탈이냐) 정도라 보시면 되고 cpu와 메인보드성능이 좋을수록 검색속도 및 길을 잘못 들었을때 재탐색 속도에서 차이를 보이는 것이지 웬만큼만 되면 네비로 사용하시는데는 큰 문제가 없다고 봅니다. 간혹 비슷한 가격대 제품이라도 생산업체에 따라 고객평이 좋은제품도 있고 아주 안좋은제품도 있으니
충분히 알아보시고 결정하시는게 좋을듯합니다. 한번 장만하실려면 적은 금액이 아니며 일단 사면 5~10년은 쓰셔야되니 되도록
인지도가 있는 제품으로 고르시는게 추후 A/S문제나 업글에 대해 안심하실수 있으실거라 생각되네요
제품추천은 하기가 좀...^^;
나름대로 생각한바를 두서없이 적었는데 도움이 되셨으면 합니다.
감기 조심하시고 좋은 하루되세요~ ^^
추가적으로 자체 배터리를 지원하는 제품을 선택하시면 시동을 꺼도 네비는 계속 동작합니다.(주유소 등..)
조금 활용하시면 차는 주차하신뒤 네비를 들고 걸어가면서도 GPS를 활용하실 수 있습니다.(탈착식)
가격을 비교 해 보시고 활용도에 따라 PMP도 고려해 보시는 것도 괜찮을 듯 하지만,
고가의 컨버젼스 제품보다 네비 본연의 기능에 충실한 제품을 구매하시길 권해 드립니다.
좋은 제품 고르세요~ ^^
기기는 워낙가격대별 종류가 많습니다
현재 맵데이타들이 커져서 메모리는 2G로 구입하십시요
국내 사이트중 인지도가 있는곳입니다
참고하십시요
http://www.todaysppc.com" target="_blank"> 투데이피피시
노바거만 안쓰시면 됩니다. 맵 업글을 1년에 2번정도 해야하는데 영 어려운게 아닙니다
포탈에서 지식인 검색해보셔두 자료많이있습니다
전 시골구석구석 돌아 다니는 일이 많아(참고로 여긴 충청도 입니다) 번지수가 정확한 네비를 중요시하는데요..
맵피가 젤로 양호한걸로 알고있습니다(제가 사용하는 맵은 맵피이지만 아이나비도 괜찮다고하더라구요)
용량은 아직 1기가이나 조만간 1기가를 넘어설것 같아요
그리고 화면이 너무크면 오히려 운전하는데 방해가 되기도 한답니다.
야간운전 많이 하시는 분이라면 네비화면밝기때문에 눈이 쉽게 피로 해질수도 있구요.
그리고 소류지 약도라는것이 현재 나와있는 맵으로는 그냥 푸른 점정도(확대하면 푸른반점정도 되겠네요 ^^;)밖에 안보이죠.
가끔 시간날때 근처 푸른점 찾으러 다니기도 하는데요
정말 좋은 곳도 찾아봤고 넘 작아서 그냥 연못같은 곳도 많구요
그래서 제 내비에는 가본 소류지는 크기별로 이름이 다 붙어있지요(물론 하나하나 입력해야하는 번거로움에 직접 방문했던곳들만
알수 있다는 단점이 있지만요)
일단 네비를 첨 사용하시는 분이라면 사용법을 먼저 익히셔야 합니다. 작은 소로길은 안나와 있으니 큰길에서 50미터 떨어졌다고
해서 큰길 바로 옆이 아니고 산하나 넘어가야 될수도 있구요. 아니면 소류지로 들어가는 입구가 한 100미터 이상 떨어져 있을수도
있구요...
등등....
이상은 제 내비에 사용감 이었습니다
그리고 마지막으로 네비에 나오는 정보를 다 믿지는 마세요 간혹 임도(산길)를 안내하거나(큰길로 10분이면 가는길을 산하나 넘
어간적도 있지요 ㅠㅠ), 엉뚱한 곳을 가리킨적도 있구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