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타지식

· 기타지식

외래종인 왕우렁이 이대로 두고 보아야 하는가??

안녕하세요....다름이 아니오라 왕우렁이를 토종우렁이로 착가 하시는분이 계신것 같아 이글을올립니다. 참고 하시기 바랍니다. 아랫글은 조선일보 박은호기자글을 퍼온것입니다. 올겨울, 강원도 철원과 평창, 홍천 등지의 농경지에서 예전에 없던 현상이 나타났다. 한파가 몰아 닥쳤는데도 논 주변 개울 곳곳에서 탁구공(지름 4㎝) 크기만한 왕우렁이(Golden Apple Snail)들이 여전히 산 채 발견된 것이다. 꽁꽁 언 얼음장을 깨고 개울 바닥에서 건져낸 왕우렁이도 마찬가지였다. 남미 아열대 지역이 원산지로 1983년 국내에 도입된 이 외래종은, 지난 25년간 강추위가 닥치면 대부분 동사(凍死)하는 것으로 알려져 왔다. 그러나 올해, 이변이 발생한 것이다. 2008032400029_0.jpg ▲ 탁구공 크기(지름 4㎝)만한 왕우렁이 성체의 모습. 왕우렁이 한 마리는 한 번에 200~600개씩, 연간 최대 3000여개 알을 낳는다./국립환경과학원 제공 ◆5번째 생태계 교란종 되나 이런 사실은 작년 한 해 동안 환경부 산하 국립환경과학원이 전국의 왕우렁이 서식 실태를 조사한 결과 나타났다. 환경과학원은 23일 "왕우렁이가 국내에서 가장 추운 지역인 철원에서도 살아남는 등 전국 각지에서 월동(越冬)에 속속 성공하고 있다"고 했다. 2000년대 초까지만 해도 남해안 일부 지방에 국한됐던 왕우렁이의 월동선이 수년 새 강원도 북부지방까지 치고 올라와 왕우렁이의 서식지가 전국으로 확대됐다는 것이다. 환경과학원측은 "정확한 이유는 아직 규명되지 않았다"고 했다. 왕우렁이는 세계자연보전연맹(IUCN)이 선정한 '세계 최악의 100대 외래종' 목록에 포함될 만큼 왕성한 번식력으로 '악명'이 높다. 환경과학원 김종민 박사는 "연간 최대 3000여개의 알을 낳을 정도로 번식력이 좋은 데다 각종 연한 풀과 수초(水草), 채소 같은 거의 모든 식물을 먹어 치울 만큼 식성이 왕성하기 때문"이라고 했다. 황소개구리나 붉은귀거북 등 기존 생태계 교란종과 비슷한 성격을 갖고 있는 셈이다. 이 때문에 외래종 관리 주무부처인 환경부는 왕우렁이를 '법정 생태계 교란종'으로 지정하는 방안을 추진 중이다. 정부 관계자는 "현재까지의 상황에 비춰 교란종 지정이 불가피할 것으로 보인다"고 했다. 이렇게 되면 왕우렁이는 2001년 12월 붉은귀거북에 이어 7년 만에 국내 다섯 번째 생태계 교란종으로 지정된다. ◆"작년 한 해만 5억마리 생태계 유입" 왕우렁이는 당초 식용(食用) 목적으로 수입됐다. 대만과 필리핀, 일본 등 우리보다 앞서 왕우렁이를 도입한 나라도 마찬가지였다. 하지만 맛이 떨어진다는 이유로 대부분 시장화에는 실패한 편이다. 농업과학기술원 박형만 농업해충과장은 "우리나라는 그래도 사정이 나은 편"이라며 "현재 시중에 팔리는 '우렁된장'의 경우 대부분 왕우렁이가 쓰이는 것으로 알고 있다"고 말했다. 국내에 유입된 왕우렁이들은 1990년대 초반부터 '친환경 왕우렁이 농법'에 활용돼왔다. 이 농법은 어린 벼를 심은 뒤 논에 왕우렁이를 흩어 놓아 이리저리 옮겨 다니며 잡초를 뜯어먹도록 하는 방식을 쓴다. 이렇게 하면, 수질과 토양오염을 일으키는 제초제 없이도 농사를 지을 수 있기 때문이다. 2003년 3900㏊이던 왕우렁이 농법 재배 면적은 2005년 8000㏊, 작년엔 5만1000㏊로 늘었다. 박형만 농업해충과장은 "보통 논 1㎡당 왕우렁이 한 마리가 투입되기 때문에 작년 한 해만 전국의 논에 5억 마리 가량이 풀렸다"고 말했다. 일부 농가의 경우, 모내기 철에 활용이 끝난 왕우렁이들을 그대로 방치해 수로 등을 통해 왕우렁이가 자연생태계로 빠져나가거나, 홍수에 휩쓸려 한꺼번에 대량 유출되는 사태도 빚어지고 있다. ==================================================================== 강,수로,또는 저수지에서 흔히 볼수있는붉은색의 알은 모두 외래종인 수입우렁이 알입니다.우리나라 토종인 논우렁이는 알을 낳지 않고 새끼를 낳습니다. 번식 방법이 다르죠.. 아직까진 생태교란종으로 분류 되진 않았지만 환경부에서 조사및 위험 부분에 대해 조사 하고있는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보는 족족 없에야된다는 말을 하기엔 아직 으르지만 저는보는 족족 없에 버립니다. <외래종인 왕우렁이와 산란> 137A11194A44070A87005D%BF%EC%B7%B7%C0%CC.jpg 먹이습성에서도 차이가 납니다. 우리나라 논우렁이는 물석에 유기물만 걸러 먹지만 외래종인 왕우렁이는 펄및 수중 식물을 닥치는데로 먹어 치웁니다. 자세히 보시면 왕우렁이와 논이렁이 모습도 확연히 다릅니다. 참고 하시길 바랍니다.

저도 낚시방송에서 우렁이 알이라고 방송하는걸 본적이 있습니다..

그때는 그런가 했는데..

형수님흥분데요 님의 글을 읽고 확실히 알았습니다.

저도 와촌 신한지에서 우렁이 큰놈으로 3마리 잡아와서 집에서 키우고있는데

어느날 보니 우렁이 새끼가 엄청 생겨더라고요...

분명히 큰놈만 3마리 잡아왔느데...의아해 한적 있습니다..

우리 우렁이는 새끼를 낳는다 사실이네요...

좋은정보 감사합니다...

아이디가 재미 있으시네요..

놀부자지개자지(놀부도 자고 놀부집 개도 잔다는 뜻)

흥부새끼씹새끼(흥부는 자식이 10명)와 비슷한 류 인것 같은데요.^^*
좋은글 올려 주셨습니다. ^.^
왕우렁이 kbs 환경다큐에서 한번 다룬적이 있는걸로 기억 됩니다.

배스, 블루길, 청거북, 왕우렁이, 뉴트리아 이제는 방법이 없는듯 합니다.
에효..................
저거 시골가면 친환경 농법이다 해서 논에다 알을 일부러 붙여놓던데여
그럼 우렁이가 잡풀이랑 다 먹는다고...
좋은정보 감사합니다
대호만 지류권에 왕우렁이알이 잇었는데 출조해서 있으면 불로 지지겟습니다
괜실히 외래어종은 모두다 싫습니다
베스, 블루길, 황소개구리, 붉은귀거북, 뉴트리아도 골치 아픈데

이제 왕우렁이까지! 또 뭐가 나타날지 모르겠네요
토종과 외래종이 모두 알을 낳는줄 알았는데...

토종은 새끼를 낳는군요;

집 근처 회야강 물가에 알을 가득 뿌려두었던데요.

알과...우렁이 새끼들이 너무 많이 있더군요.

주변 흙은 우렁이로 인해 전부 썩었습니다. 물속뿐만 아니라 물밖도 마찬가지...

좋은정보를 알았으니...가만 둘수 없는 녀석들이네요.

일부러 시간을 내어서라도 알을 없애러 가야겠네요.

가만 생각해보니...이녀석들의 사체가 수질오염의 아주 큰 주범이기도 한것 같습니다.

너무도 많은 녀석들이 썩어서 물의 정화기능을 넘어선듯 합니다.

울산 덕신교 근처 회야강 수로에 100년 이상된 소나무 있는곳 아십니까?

그곳에 가면 왕우렁이 알이 널리 크게 있습니다.

논에서 흘러나온것인지는 잘 모르겠지만...

수가 너무 많아서...물은 썩은내로 진동하고 흙도 많이 썩어있습니다.

지나가시는분들 계시면 꼭 없애주시길 바랍니다.
언젠가 인적없는 자그마한 둠벙을갔는데 .

발앞에 우렁이가 엄청많아 아버지 가져다 드리려고

양파자루에 하나가득 잡아서 기분좋게갔는데 !!

아버지가 이건먹는게 아니라구하더라구요 ..

토종보다 맛대가리없다구 ~~ 그놈이 저놈들입니다 !!

빨간알보시면 보이는족족 라이타로 지져주세요 !!
못꼴부리는 초장에....
아침부터 쇠주생각납니다

수입종은 퇴치대상 1호입니다
엄청난 번식력을 자랑하는 놈입니다
혹시 낚시하시다가 보이면 초전박살내 주십시요

행복하고 건강한 출조 되십시요
라이터로 하지않고 발로 으개어 버리세요.

살짝만 건들여도 깨어지기 때문에 발로 밟으면 됩니다
뜰채들 필히 준비하시고 한번씩 긁어보세요 많이나옵니다
토종우렁이 집에 가져왔더니 나중에 자그마한 우렁이가 몇마리 더있었고,

저 왕우렁이는 큰것도 까보면 내용물은 조그맣구요, 지금까지 본것이 다 식용우렁이 알이군요.

내 키만한 갈대 꼭대기에도 붙어있던데....

전남 신안 안좌도 수로에서 밤낚시했을때 징그럽게 깔짝대던 저 왕우렁이 입질때문에 철수...
요리로 개발하면 좋을것 같은데 그렇게 맛이 없는지 궁굼합니다.

그리고 윗분말씀데로 아이디가 제미있으시네요.

언뜻 잘못보면 오해하기 쉽겠습니다.^^

여튼 외로종때문에 우리 생태계가 더이상 옛날모습이 아닌것 같아 걱정이네요.

자손들에게 예전 어려서 보던 그런모습의 자연을 물려줘야 되는데 .....



2024 Mobile Wolchuck