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사님들 안녕하세요~
얼음이 얼기전 9월부터 11월까지 향어 유료터를 많이 찾아 다녔습니다..
평소 노지를 선호했던터라 처음간 유료터..그리고 붕어가 아닌 향어의 입질패턴에 적응이 되지 않더라구요..
결국 몇번의 꽝조황을 거쳐 패턴을 익히게 되었죠...
여기서 질문 입니다..
유료터 2만5천원내고 들어가는데 정말 많이 잡아야 두마리 꽝도 많았음..ㅡㅡ; 잡습니다.. 24시간 동안이요..
저수지도 아니고 그냥 2백평 정도되는 연못같은 낚시터 입니다..
더 많이 잡을 수 있는 방법 없을까요?
제 채비에 대하여 이야기를 해본다면 4호줄에 향어13호 바늘을 사용합니다.
찌는 약60정도 되는 장찌에 부력은 약 4~5호 정도...
떡밥은 에코스페셜(어분)...
대편성은 30~40 까지 하구요(낚시터전반적 대길이..)
찌맞춤은 0점찌 맞춤 또는 가벼운 찌맞춤을 합니다.
여러번 가서인지 향어의 입질 패턴은 감이 오는데 일단 입질이 전혀 들어오지 않아요..
보통 24시간 동안 대략 2~3회 정도.. 많아야 그정도 들어오고요, 그중에 입질 파악해 챔질하여 낚을 확률이 1/3정도 됩니다..
이제 해빙기가 되면 낚시의 시작을 유료터에서 하려고 하는데.. 더이상의 꽝은 면하고 싶어요...
많은 조언 부탁드립니다..
추운겨울 여러조사님들 감기 유의하며 낚시하세요~^^
유료터 향어낚시에 대한 질문입니다..^^;
-
- Hit : 5989
- 본문+댓글추천 : 0
- 댓글 9
무엇보다 활성도와 그 저수지,,유료터의 챔질파악 수심,,관상을 알아야 할듯 싶구요.
잉어,향어 같이 풀어논 유료터에서 솔직히 골라 잡을수 있는 방법은 없을것 같구요..
채비는 저랑 흡사하신것 같네요^^..
단지 13호바늘은 활성도가 좋을때고 저수온기에는 그것보다 작은 바늘이 적당할것 같아요..
허접답변이었습니다.
안나오는 자리 열심히 밑밥주고 파봐야 명당 자리 조과 반의 반도 못쫒아 갑니다~
같은곳으로 몇번 출조 하셨다면 일단 자리에 대한 파악은 끝난걸로 보이구요~
다음은 미끼 입니다..같은 어분이라도 그곳 향어가 잘 먹는 어분이 있을 겁니다~
잘잡는 다른분 들은 어떤 어분을 사용하는지 알아보시구요...쥔장에게 물어보는것도 방법중 하나 ...
저같은 경우 양방낚시 주로 다닙니다만 보통 미끼 종류별로 3가지 이상 가지고 다닌 답니다~^^
사용중이신 채비는 대물장에서 보통 쓰이는 채비니 큰 문제 없구요~
글의 내용으로 봐서 입질만 오면 걸어내는데 지장없으신데 입질이 안와서 문제라는것 같아서
입질을 조금이라도 더받을수 있는 방법들을 적어 봅니다~
흠... 솔직히 지금 쓰시는 어분보다는 다른걸 써보시기 바랍니다..
안좋다기보다는 입질이 없다고 하시니 올리는 글 입니다~
제가 많이 쓰는 어분은 쪽지 드립니다~
즐낚 하시길~
다만 어종이 향어 이니 붕어처럼 조금더 조금더 했다가는 꽝이구요~^^
그날의 입질형태를 빨리 파악 하는게 포인트 입니다~
향어는 물돼지라는 별명 답게 입질하다가 멈추는경우는 드뭅니다~
일단 입질이 붙으면 연타도 가능 하지요~입질이 깔짝이던 끌고 내려가던지 간에 진행중 일때 채시기 바랍니다~
미끼는 된거 같구요 향어 이놈은 식탐이 대단한 놈이라 일단 집어제를 써서 던져보시구요(비중이 좀돼서 가라앉는게 좋을듯)
그리고 낚시하시기전 수심체크 하면서 유난히 바닥이 푹꺼진쪽을 골라서 집중공략 하시면 좋은 조과가 있을거 같구요,,,
어분을 물에 불려서 주무르지 마시구 불린상태로 그냥 바늘에 밤톨만하게 해서 살짝 뭉쳐 던져주시며 입질이 깔짝깔짝 일때 바로 챔질 하시구요..
예전 향어는 입질 없다가 낚시터쥔장님이 풀면 5분만에 바로 입질와서 잡던 기억이 나네요..요즘 향어는 가끔 잡혀서 잘모르겟구요 ㅎㅎ
에코스페샬 사용법도 잘 나와있습니다
저도 거기서 낚시법을 읶혔습니다.
그리고 향어낚시 가실때 지렁이를 꼭 챙겨가세요.
제가 다니는 몇군데 양어장이 있는데 향어가 지렁이에 입질을 활발하게 하더군요.
빨래판 향어 많이 하십쇼~~~
제가 생각 못했던 부분들을 일깨워 주셔서 감사하구요,
초봄 향어낚시에 자신감이 생기네요...^^
방류하는지를 알아야합니다. 방류후 초기에 승부를 봐야 하거던요.
고기방류하는곳에서 가까운 좌대에 들어가서 짭은대를 준비해야합니다.
내림낚시 채비로 원줄1호 목줄 0.8호 바늘 붕어5호정도 내림찌3푼정도,
터질까 걱정안해도됩니다,낚시는 낚시대의탄성을이용하여 고기를 제압해야합니다
(향어는 비늘이등지느러미쪽에 조금밖에없고 껍질이질겨서 걸리면 쉽게빠지지않음)
특히 고기를 방류하는곳이 양지쪽이면 바로옆자리에 1칸에서1.5칸정도를 준비하여
주로 어분으로 초기집어를 합니다. 그리고 고기를 방류하고난후에 입질이 들어오면
글루텐으로 승부를 냅니다.또한 수심을 정확히 맞춘후에 바늘을 휙던지며 캐스팅하는것이아니라
그위치에 살짜기 놓습니다.짭은대니까 가능하겠죠.초봄에는 아직 수온이 낮은관계로 향어들이 방류후에
금방 회유를 하거나 하지않고 얕은쪽 수온이 쉽게올라가는곳에서 어느정도 적응후에
(약 2시간정도)회유를 시작하는것 같아요.이때 회유를 시작하기전 초기에 승부를....
특히 밤낚시에는 저수지환경에적응한 향어를 끌어내기란 쉬운일이 아닙니다
도움이 되었는지 모르겠습니다.드실만큼만.... 향어,,육질이 좋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