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검단수로맨님과 추목님 참고가 되시길 바라며
얄팍한 지식 이나마 아는바가 있어서 적는데 수정을 할수가 없어서 메인창에
적어 봅니다 양해 해주시길,,,,
TV중에서도 특히 CRT브라운관을 쓰는 TV는 뒷쪽에 3개의 전자총이 있고
고전압장치가 매우 높은 전압을 브라운관 표면에 전달 합니다
자동차의 점화 플러그에 전달되는 전기와 비슷하죠
TV를 꺼도 잠깐동안은 고전압이 브라운관 표면에 남아 있는데(특히 오래된 TV일수록)
전압이 높아서 왠만한 절연체는 통과 해 버리죠
특히 양말을 벗었거나 얇은 하의를 입고 앉아서 만지면 접지 면적이 크므로 신체를 관통 하며
그 충격이란 말로 표현 못하지만 의외로 타격은 적습니다.
TV를 끌때 "찌리릭" 하는소리가 바로 방전되는 소리 이고
이전기는 전압은 매우 높으나 전류치는 미세한 정전기 성질 이라서
어디 방전 될곳 없나? 하고 기다리다가 지름길이 생기면
삽시간에 지표면으로 흡수 되버리기에 아무런 쓸모 없는 전기죠
그리고 미세한 먼지나 끌어 들여서 지저분하게 만드는데
그 까만 먼지만 제거해도 화상이 달라지죠
정전기 성질을 가진 전기는 전자 제품을 속된말로 떠라이를 만들기도 합니다.
예상 컨데 겨울철 전자제어 자동차 급발진 사고도 이늠 때문 일꺼라 사료 됩니다.
그리고 고압선 가까이서 느끼는 전기는 정확히 유도전기 입니다,
트랜스 (쪽바뤼 말로 도란스) 원리와 같구요
잘 아시겠지만 낚싯대의 소재가 거의 카본 이고
카본 이야말로 고전압에 대해서는 완벽한 도체 이죠
전선과 낚싯대가 평행이고 //대의 길이가 길때//전선과 가까울수록
비례 하여 유도되는 전압도 높아 집니다.
군대 있을때 통신선을 고압선 전주 아래로 약 300m 깔았다가 감전 된적이 있었는데
전압을 측정해보니 약 350 볼트가 걸리고 강력한 스파크까지 튀더군요
전봇대 높이가 약 15m ?쯤 됬지만 부도체인 공기가 있어도 트렌스 처럼 유도된 전기가 생겼을거고
고압선 전주 주변에는 자기장도 엄청 납니다.
아마 나침판도 전주 아래에서는 했갈린 방향 표시를 할거고
전기장판 깔고 잠자면 혈액이 철분 이라서 아침에 개운치 않은 것과 같을 겁니다.
그래서 고압선이 늘어선 마을은 뭔가좀 안좋죠?
이 전기는 흘려 보낼수있는 전류치도 무척 커서 매우 위험 합니다.
최근에 나오는 전자제품이나 사무용기기등은 저전압을 만들때 옛날처럼 양권 트렌스를
쓰지않고 단권 트렌스를 쓰거나 전자소자로 구성 하기 때문에 전원 코드를 뽑지 않은 이상
220V사용기준시 제품의 몸체에 약 100~165 볼트이 전압이 걸려 있습니다.
그래서 심하면 어스또는 접지를 시킬경우 누전차단기가 떨어지기도 하죠
단 세탁기는 예외 입니다.
이전기는 대부분 콘덴서를 통과한 전기라 감전되면 따끔 하고 깜짝 놀라죠
그러나 분명하게 정전기는 아닙니다.
자신이 쓰는 컴퓨터 케이스(철판)에도 약 100~165볼트의 전압이 걸려 있다면 믿으실련지요???
전하를 가진 모든 전자파 또는 전기는 지표면으로 흡수 될려고 하는 성질을 가지고 있고
가장 통하기 쉬운 지름길로 즉 사무실의경우 바닦에 철구조물을 밟고 만지거나 했을때 감전되기 쉽다는걸
염두해 두시고 조심 하시면 될겁니다.
--건조하면 정전기 조심 습하면 동전기 조심---
전기에관한 답변 입니다,(검단수로맨님 추목님)
-
- Hit : 6143
- 본문+댓글추천 : 0
- 댓글 5
명쾌한 답변에 감사드립니다.
그런 원리였군요. 알면 쉬운데, 모르면 복잡하고 어려운 것 같습니다.
아이들에게 설명해 줄 수 있어 기쁘네요.
다시한번 감사의 말씀을 드립니다.
늘 건승하시길 기원드리며.........
추목 배상
좋은정보 잘 배웠습니다..
감사합니다..
알기쉽게 설명 주심 감사합니다.
그냥 낚시대가 전기줄에만 닿지 않으면 되는줄 알았는데....
앞으로는 조심해야 되겠습니다.
올 한해도 건강하시고 날마다 행복하십시요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