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요번주 드뎌 손풀이 하러 갑니다
가기전에 회원님들께 한가지 질문을 드릴까 합니다
바늘 제질이 궁금해서 인데요
지금까지 호수로만 구입하다가
다른방향으로 바늘을 구입해 볼려고 문의 올립니다
보통 사용하는 바늘 제질이 블랙니켈인가 그런거 같은데
월척특급에 나오는 분들 보면 연한 핑크색 바늘을 사용하던데
제질 중에 가장 튼튼하고 잘 안휘어지는 제질이 어떤건지
어떤제질이 대물낚시에 가장 좋을지 여쭤 봅니다
참고로 전 낚시방에 묶어서 판매하는 바늘 사용하고 있습니다
낼이면 ㄷㄷㄷㄷ 병고치러 갑니다
[이 게시물은 운영자님에 의해 2008-02-22 06:36:15 대물낚시 Q&A에서 이동 되었습니다]
붕어바늘 어떤제질이 가장 좋을까요?
-
- Hit : 4256
- 본문+댓글추천 : 0
- 댓글 4
대물 미끼의 대표 격인 새우. 많은 분들이 새우낚시를 즐기고 있습니다 그러나 감성돔 6~9호 바늘을 사용한다면 고개를 설레설레 흔드는 사람들이 많은것 같습니다 아예 '고래라도 잡을 거나?' 며 코웃음을 치는 사람들도 있습니다. 그러나 이는 '바늘 크기' 에 대한 잘못된 생각인거 같습니다 . 물론 이 정도 크기의 바늘로 떡밥낚시를 한다면 잘못된 선택이겠지만. 적어도 새우낚시를 한다면 매우 적당한 크기인거 같습니다 . 감성돔 7호 바늘은 2~3치 붕어의 주둥이에도 정확히 꽂혀 나오는걸 제가 확인했습니다 대물낙시할때 그렇게 사용합니다 저는 그리고 혹시 수족관이 있다면 붕어와 새우를 넣어두고 관찰해 보세요
붕어와 새우를 함께 넣어둔 수족관을 관찰해 보면, 붕어의 먹이습성을 알수있습니다 . 붕어가 새우를 먹잇감으로 정하고 먹이 사냥에 나서면 매우 과감해지는데, 단숨에 입에 넣어 우물거리는것을 볼수 있을것입니다 . 설사 붕어 씨알이 잘아 자기 머리만한 크기의 새우라 하더라도 비슷한 행동을 할겁니다 .
붕어는 자바라 같이 팽창되는 주둥이가 있어 입이 크게 벌려 진다고 합니다 .
바늘에 대해 자세하게 나온거 같아 퍼와 봤습니다 도움이 되셨으면 합니다
" 품 넓고 허리 짧은 바늘이 좋아 "
붕어가 미끼를 흡입하게 되면 바늘 끝이 위로 향하면서 주둥이에 꽂히게 되어 있다. 바늘 구조를 살펴보면 허리는 무겁게, 끝은 가볍게 만들어져 있다. 바늘의 중심을 허리에 두어 물고기의 흡입 시 바늘 끝이 자연스레 상향(上向)이 되게 하는 것이다. 때문에 어느 각도로 흡입을 하든 바늘 끝이 위로 향하게 되어 있다.
바늘의 구조가 챔질에 미치는 영향은 크다. 허리가 짧으면 상향성이 약해지고, 길면 그 힘이 강하다. 챔질의 정확도가 중요시 되지 않는 던질낚시용 바늘은 이러한 이유로 긴허리바늘을 쓴다. 하지만 짧으면 입걸림이 잘 돈다. 때문에 새우낚시용 바늘은 허리가 짧아야 한다. 한편. 품은 대상 어종의 입 크기와 관련이 있는데 품이 넓으면 옆으로 비틀어져 있어야 역시 입걸림 확률이 높다. 하지만 비늘림이 크면 장애물에 잘 걸린다는 단점이 있다. 이럴 땐 상황에 따라 바늘의 강도를 달리해 사용하면 효과를 볼 수 있다. 바늘의 강도는H(Hardness-숫자가 클수록 강도가 높다)로 표기되며, 강도가 낮은 제품은 비틀림 조절이 가능하다. 여밭을 주로 노리는 볼락. 학공치낚시에 많이 활용된다.
수몰나무나 바닥 비형이 험한 곳에선 낮은 H, 즉 강도가 낮은 바늘으 쓰면 효과를 볼 수 있다. 밑걸림에도 지긋이 당기면 빼낼 수 있기 때문이다. 바늘이 펴졌다면 니퍼를 이용해 원상태로 조절만 해주면 된다. 필자는 평소에 H가 3님 제품을 쓰다가도 밑걸림이 있는 낚시터에선 H가 하나뿐인 바늘을 쓴다. 때문에 챔질이 잘 되는 바늘은 품이 넓고 허리가 짧은 제품으로서, 상황에 따라 강도를 조절할 수 있어야 한다.
" 가늘고 강도 높은 백침이 상품(上品) "
시판되는 바늘 제품을 보면 바늘 색깔이 다른 것을 알 수 있다. 백침(白針). 흑침(黑針). 금침(金針) 정도가 꾼들이 접하는 색깔 종류인데. 새우낚시용으로는 백침이 알맞다. 같은 크기라도 두께가 가늘며 탄력이 있다는 특징이 있다. 바다 대물낚시에 쓰이는 흑침은 강도는 높으나 두꺼워 새우 꿰기에 적당치 않고, 금침은 도장(塗裝)에 의해 너무 두거워져 역시 새우를 꿸때 불편함이 따르며, 번쩍이는 색깔 역시 붕어의 경계심을 자극할 수도 있다.
한편, 바늘을 제대로 쓰려면 크기에 따라 미끼 꿰기를 달리 해야 한다. 감성돔 7호 이상의 바늘은 꼬리 꿰기를 하면 몸체가 바늘을 감싼 형태로 바늘 끝만 드러나게 된다. 반면 감성돔3~4호 바늘은 등꿰기가 적당하다. 같은 크기의 새우라면 바늘이 클수록 흡입과 함께 입걸림이 잘 되는데, 어디서 흡입을 하든 바늘은 돌아서 위로 향하게 되므로 품이 넓은(작은 홋수의 바늘 보다)바늘이 더 걸림 속도가 빠른 것이다. 작은 크기의 바늘을 사용해 챔질을 해보면 이미 입 속 깊이 들어간 경우가 많으면 고기 또한 상하게 된다. 정확하게 표현한다면 이는 낚아낸 것이 아니라 주운 것이라 할 수 있다.
새우낚시를 즐기는 한 사람으로, 새우 미끼 전용 바늘이 생산이 됐으면 하는 바램이다. '폭이 크며 허리가 짧고 두께는 가는 바늘' 이 생산되면 큰 새우를 꿰기도 좋고, 새우를 꿸 때 붕개지지 않아 투측 시 새우가 바늘에서 이탈 되지 않을 것이다.
^^
허리가 짧고 품이 넓은 바늘... 바다낚시에서 사용되는 벵애돔 바늘을 말하는 것 같습니다.
이를 표본으로 한 행*의 이세형바늘이 비슷하다고 하겠습니다.
그런데 굵기가 굵다는 것은 다른 형태로 보이네요.
이세형 바늘은 유명해서 아는 사람은 아는 바늘이지요.
저는 이전까지 감성돔 바늘을 사용하다가, 올해부터 이세형 바늘을 사용하려고 채비를 교체했습니다.
호수별로 30여 개씩 묶어둔 상태인데...
바늘 두께가 굵어서 새우 꿰기가 적당치 않다는 말씀에는 크게 동의할 수 없겠습니다.
물론 새우의 등껍질을 섬세하게 뚫고 걸어놓는다는 의미에서 가늘수록 좋겠습니다만, 이세형 바늘 형태로 봐서
큰 무리는 없겠다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그리고 너무 가늘다면 뻗음이나 부러짐에 대한 경계심을 늦출수도 없지요. 튼튼하다는 다이치도 뻗어버린 경우가 있었거든요.
한번 그러고 나니 그 바늘에 대한 믿음이 사라져버렸습니다. 물론 불량품일 가능성이 높았지만서도...
암튼 이래 저래 살펴보시고, 자신에게 최적화된 제품을 찾으시길 바랍니다.
그때까지 여러 제품 살펴보시길... ^^ 즐거운 나날 되세요. ^^
어찌나 굵고 튼실하든지 막말로 고래도 잡을수 있을거 같더라구요.
그래도 13호 바늘 달고 낚시해보니 7~8치 붕어들도 먹고 나오더라구요.ㅎㅎㅎ
하지만 모두 버렸습니다. 내가 생각해도 너무 무식 해서리...
그후로 이세형바늘 9~10호만 씁니다. ""이것도 무식한가요???""
""(새우낚시를 즐기는 한 사람으로, 새우 미끼 전용 바늘이 생산이 됐으면 하는 바램이다. '폭이 크며 허리가 짧고 두께는 가는 바늘' 이 생산되면 큰 새우를 꿰기도 좋고, 새우를 꿸 때 붕개지지 않아 투측 시 새우가 바늘에서 이탈 되지 않을 것이다. )""
여기에 어울리는 바늘이 이세형 9~10호 정도가 괞찮겠습니다. 굵기가 조금 굵지만 ......
이상 허접 조사의 골때리는 생각입니다.ㄳㄳ
""순수""님 제가 추천 한방 꾸욱 눌려드립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