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금은 960cm짜리인 청*도를 사용하고 있지만, 예전에 10m짜리 수초제거기를 사용해본 경험을 알려드리겠습니다.
1.수심 1m권 및 연안과 물의 경계지점에 받침틀 설치할 경우
가.물에 들어가지 않고 연안에서 수초작업시 - 평균 3.0칸
나.장화를 신고 물에 들어(연안에서 약 50cm - 1m)가서 수초작업시 - 평균 3.2칸
수심, 신체 사이즈, 수초제거시 팔의 뻗고 안 뻗고의 차이, 원줄의 길이등 변수가 있으니 참조만 하시길 바랍니다.
예전에 10m짜리 수초제거기 사용을 많이하다 무게의 압박감으로 인해 팔의 엘보현상으로 고생을 많이 해서 몇년 전에
가벼운 청*도로 바꾸었습니다.
농약님께서 생미끼 대어낚시를 위주로 하신다면 연안을 주로 노리는 낚시형태라서 특별한 경우외엔 그렇게 멀리까지 수초작업을 하지 않으셔도 된다고 생각이 드는군요!
질문에 도움이 되셨나요?
즐낚하시길...
얃은수심대 3.2칸은 조금 무리더군요..
1.수심 1m권 및 연안과 물의 경계지점에 받침틀 설치할 경우
가.물에 들어가지 않고 연안에서 수초작업시 - 평균 3.0칸
나.장화를 신고 물에 들어(연안에서 약 50cm - 1m)가서 수초작업시 - 평균 3.2칸
수심, 신체 사이즈, 수초제거시 팔의 뻗고 안 뻗고의 차이, 원줄의 길이등 변수가 있으니 참조만 하시길 바랍니다.
예전에 10m짜리 수초제거기 사용을 많이하다 무게의 압박감으로 인해 팔의 엘보현상으로 고생을 많이 해서 몇년 전에
가벼운 청*도로 바꾸었습니다.
농약님께서 생미끼 대어낚시를 위주로 하신다면 연안을 주로 노리는 낚시형태라서 특별한 경우외엔 그렇게 멀리까지 수초작업을 하지 않으셔도 된다고 생각이 드는군요!
질문에 도움이 되셨나요?
즐낚하시길...
한가지더 보텐다면 가슴장화가 있음 조금더 멀리 치실수 있으시겠져! ㅋㅋ
넉넉히 3.0칸으로 보면 돼겠군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