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가 처음 전층낚시를 시작할때는 찌 하나로 바닥까지 닿게 하는
내림낚시와 그러다 안되면 1미터 이상까지도 찌를 올려서 하는
중층낚시도 함께 하고 했는데 문제는 찌 하나로 다해서 무리없이 얼추 걸어 냈거든여.
그런데 자꾸 그렇게 하다 보니까 내림찌와 중층찌의 차이점이 무엇인지 어떤 차이가
있는것인지 뭔가 차이가 있긴 있는거 같은데 과연 어떤 차이가
있는 것인지 저로선 아직 구별이 잘 안되거든여...ㅜㅜㅜ
그래서 아직도 그냥 찌는 무거운찌와 가벼운찌로 분류만해서 쓰는데
과연 어떤 차이가 있는것인지 알고게시는데로 조언좀 해주셨으면 감사하겟습니다.
아시는데로 좀 조언좀 해주시지여...
내림찌와 중층찌의 차이점에 대해서 질문여...
-
- Hit : 10659
- 본문+댓글추천 : 0
- 댓글 7
혹 낚시 중 실잠자리가 찌끝에 앉은적 없었습니까?
내림은 봉돌은 떳고 가는 목줄에 바늘만 닿았기에 부력성없는 가는 찌톱이기에 실잠자리 엄청난 무게를 느껴
가라앉음이 그만큼 읽기 쉬움이고 또한 솔리드를 카본 보다 유용함은 빛의 투과로 가는 찌톱을 잘보이게 함이고,
튜브 굵기에 따라 채비와 먹이까지 지면에서 띄워야 하기에 비중이 가벼운 떡밥과 공기가 존재하는 튜브찌톱으로
그나마 지탱함이고, 튜브라도 내림에 응용됨은 시력이 덜한 사람의 장점과 솔리드의 긴 입질에 비해 짧지만 순간적으로
끊는 입질이 연출도 되고......등등(찾아 보셔요^^)
님처럼 해도 무관하나 원시적이기에 빠져들어 보셔요.
이론이 겸비됨은 묘미가 배배(?)가 됨이니.....몸통에 의지함이 아니고 업되면 찌마디로 낚시하니까요.^^이해될런지...
중층찌는 주로 튜브톱인데 말그대로 찌톱안에 공기가 들어있어 뜨려는 힘이 있는거죠. 중층은 물속에 떠있는 떡밥을 잡아줘야하는 역활을 해야하기 때문에 튜브찌를 사용하는것 같습니다
올마이티찌는 저도 어려워서ㅎㅎ
띄우냐 찍냐~ 는 찌가 떡밥을 잡아주냐 못잡아 주냐로 구분됩니다
내림찌는 떡밥을 잡지 않고 스스로의 부력으로 떠서 어신을 기다리는 형태입니다. 바닥권은 중층에 비해 어신이 작습니다
이때문에 글라스 솔리드소재와 날렵한 몸통모양을 기본으로 합니다 또한 바닥권의 경우 학습된 대형어 이물감을(저항) 최소화하고자 저부력을 사용합니다
중층찌의 경우 떡밥의 무게를 온몸으로 받습니다 또한 목내림의 폭, 속도, 복원력의 속도등에 따라 또 달라집니다(기법)
제등낚시에서 산갈대소재의 찌를 쓰는 이유가 따로 있을까요^^
하나 하나의 의견들을 참고로 해서 이제부턴 좀더 세밀한
낚수에 임해 보겄습니다.
근게 요것이 안 잡혀주면 진작부터 연구를 할텐데 어쨰거나
걍 잡혀주기에...ㅎㅎㅎ 하지만 정확한 기법에 맞는 찌선택은
가장 중요한 기본중의 기본이라구 생각합니다.
의견주신님들 감사하고여 날이 고르지가 못한데 무엇보다 건강하신
출조이시기를 기원 드립니다.
찌의 규격은 두 가지가 있습니다.
생산자가 임의대로 찌몸통에 표시한 규격(호수)가 있고,
표준규격이라는 것이 있습니다.
1. 생산자가 찌 몸통에 기록한 호수
모든 찌 생산자는 찌몸통에다가 호수를 기록합니다.
단일모델로 제작된 제품에는 따로 호수를 기록할 필요가 없지만,
세트로 제작된 찌에는 모두 일정한 호수가 기록됩니다.
대개 부력이 낮은 찌부터 0호, 1호, 2호......5호....10호 등으로 기록하죠.
굳이 '호'라고 적혀 있지는 않고, 그냥 숫자만 적혀 있습니다.
제대로 만들어 진 찌는 대개 낮은 호수일수록 더 저부력입니다.
간혹 대충 제작된 싸구려 세트찌들이 있는데, 이런 찌들은 높은 숫자가 오히려 낮은 숫자보다
더 저부력인 경우도 많습니다.
예를 들어서 2호찌가 1호찌보다 더 봉돌이 덜 먹는 경우지요.
그래서 찌를 구입하실 때는 - 특히 3만원 이상가는 비싼 찌일수록 - 낚시점에서 수조통을 이용해서 찌다리에 편납을 감아서 맞춰보면서 각 호수가 정상적인 비율로 부력조정이 되어 있는 지 검사해 보고 구입하시는 것이 좋습니다.
찌를 고를 때 이런 귀찮은 사전검사를 해 보겠다고 소비자가 요구했을 때 불편한 심기를 내 보이는 낚시점주가 있다면 그건 점주가 이상한 것입니다.
소비자로서 비싼 세트찌를 구입하는데, 각 호수별로 부력조정이 제대로 되어 있는 지 검사해보고 구입하려는 의사는 당연히 존중받아야 하거든요.
이러한 부력조정이 각 호수별로 일정한 규격대로 제작된 세트찌가 제대로 만들어 진 세트찌입니다. 당연히 비싼 값을 받을만하지요.
2. 표준규격
찌에는 표준규격이라는 것이 있습니다.
표준규격을 말하는 개념은 푼, 호, 자중, 자부력 등이 있습니다.
찌의 표준규격의 가장 작고 낮으며 기본이 되는 개념이 '푼'입니다.
아시다시피 푼은 무게의 단위지요.
1푼은 0.375g입니다.
2푼은 0.75g이죠.
10푼은 1호라고 합니다.
그래서 1호는 3.75g이죠.
2호는 7.5g이고요.
어떠한 찌가 몇 푼의 찌인지 알아보려면 일단 찌다리에 편납을 감습니다.
이 편납을 조금씩 잘라내면서 찌톱이 수면과 일치하게 합니다.
찌톱이 수면과 일치한 순간의 편납의 무게가 바로 그 찌의 푼을 결정합니다.
그 편납을 떼어내서 정밀한 전자저울에 달았을 때 0.375g이라면,
그 찌는 1푼찌가 되는 것입니다.
아시겠죠?
정확한 구분은 없지만 대개 3푼 이하의 찌를 저부력 찌라고 합니다.
4푼 이상의 찌는 고부력 찌라고 하지요.
하지만 이 구분은 어디까지나 임의적인 것이고,
누군가가 6푼이 저부력이라고 주장한다면 그 소리도 맞는 소립니다.
저부력인지 고부력인지의 개념은 마음 속에 있는 것이니까요.
생뚱맞죠?
또한 찌에는 자중이라는 개념이 있습니다.
찌 그 자체를 정밀한 전자저울에 달았을 때 몇 그램이나 나오는가....
그 무게가 바로 그 찌의 자중입니다.
대개의 찌 광고에 표기된 찌규격에는 이러한 자중이 기록되어 있습니다.
주의할 점은 이러한 자중과 찌 호수를 혼동하지 말하는 것입니다.
예를 들어서 자중이 0.375g이라고 표기되어 있다고 해서 그 찌가 1푼찌라는 소리가
절대 아니라는 뜻입니다.
찌의 호수, 즉 그 찌가 몇 푼 찌냐를 결정하는 것은 그 찌에 매달리는 봉돌의 무게이지,
결코 그 찌의 자중이 아니기 때문입니다.
또한 찌에는 자부력이라는 개념이 있습니다.
흔히 자중과 자부력을 혼용해서 똑같은 의미로 사용하는 경우도 많은데,
뭐 굳이 상관은 없습니다.
의미한 통하면 되니까요.
자부력은 <찌 자중 대비 봉돌의 무게>입니다.
계산방법은 역시 위와 같습니다.
찌다리에 편납을 감아서 찌톱이 수면과 일치할 때까지 잘라냅니다.
이 상태에서 편납의 무게와 찌의 자중이 자부력이 됩니다.
계산공식은 <편납의 무게 나누기 찌의 자중 곱하기 100%>입니다.
서로 다른 제작자가 제작한 두 개의 같은 호수의 찌가 있다고 가정해 봅시다.
서로 다른 두 찌가 호수가 같다는 말의 의미는 똑같은 무게의 봉돌이 매달린다는 뜻이죠.
하지만 두 찌는 자중이 서로 다르겠죠?
자중까지 똑같을 수는 거의 없습니다.
이 경우에 자중이 틀리니까 자부력도 틀려지겠죠?
자부력이 높은 찌가 좋은 찌입니다.
다시 말해서 자중은 가벼우면서 봉돌은 무거운 것이 매달리는 찌.
즉, 자중은 가벼우면서 높은 호수의 찌가 좋은 찌입니다.
일반적으로 그렇죠.
특정한 몇몇 기법을 구사할 때는 오히려 자부력이 덜 좋은 찌가 더 유리할 때도 있습니다.
이 이론에 이의를 제기하지 마십시오.
그냥 일반적으로는 자부력이 높은 찌가 좋은 찌이지만,
무조건적으로 그렇다는 뜻은 아니다. 때로는 자부력이 낮은 찌가 유리한 상황도 있다.
뭐 이런 식으로만 이해해 주십시오.
말을 돌려서....
우리가 흔히 어떤 찌를 놓고서...
"이 찌는 생긴 모양을 봐서는 봉돌을 많이 먹게 생겼는데, 실제로 봉돌을 깍아보니까,
의외로 봉돌이 조금 달리네."
혹은
"이 찌는 그냥 봐서는 봉돌이 조금 먹게 생긴 저부력 같은데, 실제로 봉돌을 달아 보니까,
무진장 무거운 봉돌이 달리네."라고 표현하지요?
전자는 자부력이 낮은 경우이고,
후자는 자부력이 높은 경우입니다.
자부력을 높이기 위해서
즉, 찌 자체는 가볍게, 봉돌은 무겁게 달리게 만들기 위해서 찌몸통 재료를 태워서 숯찌를 만들거나,
찌몸통 속을 비우게 깍아 내거나 하는 찌들을 많이 봅니다만....
이 모두는 자부력을 높이기 위한 방편들입니다.
이건 좀 다른 얘기지만 몸통이 빈 찌는 좋은 찌가 아닙니다.
전통바닥낚시에서라면 모르겠지만, 적어도 내림이나 중층찌의 경우에는 찌 속이 꽉 차있으면서도 자부력이 좋은 찌가 좋은 찌입니다.
카본으로 속이 비게 제작된 전자찌나, 누드찌, 플라스틱으로 몸통이 비게 만든 찌들이 둔한 이유가 바로 이것이죠.
다시 본론으로 돌아가서....
낚시점에 가서 찌를 고르실 때는 다음 사항을 꼭 검토/검사해 보고 구입하세요.
첫째. 자부력이 높은 찌인가?
둘째. 찌몸통에 제작자가 기록해 놓은 숫자와 상관없이 실제로 그 찌가 몇 그램의 봉돌이 매달리는 표준규격상으로 몇 호의 찌인가?
셋째. 세트찌일 경우에 각 호수의 무게 비율이 적당한 비율로 제작된 찌인가?
세트찌의 무게 비율이 적정한 지 어떻게 검사하냐고요?
자. 이렇게 하시면 됩니다.
2호찌를 잡고서 찌톱이 수면과 일치하게 편납을 자릅니다.
이렇게 잘라낸 편납을 1호찌에 감습니다.
이제 다시 1호찌의 찌톱이 수면과 일치하게 잘라냅니다.
이 잘라낸 편납이 1호찌와 2호찌의 부력차이죠.
이제 2호찌와 3호찌도 1호찌와 2호찌의 부력차이와 동일한 지 검사해야죠.
잘라낸 부분(1호찌와 2호찌의 부력차이)만큼 또 다른 편납을 준비합니다.
이제 이 세 조각의 편납(1호찌에 감겼던 편납 + 1호찌와 2호찌의 부력차이를 나타내는 편납 + 1호찌와 2호찌의 부력차이를 나타내는 편납과 동일한 크기의 편납)을 3호찌에 감아서 3호찌의 찌톱이 수면과 일치하는 정도라면, 1, 2, 3호찌는 적정한 비율로 부력조정이 된 것이죠.
4호, 5호찌도 같은 방법으로 검사하면 됩니다.
좀 귀찮지만 비싼 세트찌를 구입하는만큼 나중에 후회하지 않으시려면
이런 검사를 꼭 거치고 나서 구입하세요.
아. 힘들다.
이제 채비의 밸런스에 대해서는 간단한 개념만 말씀 드리죠.
피곤하기도 하고 또 긴 글이 될 것 같애서요.
이해 안 되시면 나중에 다시 물어 보세요.
채비 밸런스 개념의 핵심은 봉돌 무게로 채비의 수직정렬을 이룰 수 있는가입니다.
다시 말해서 모든 물속에는 작거나 크거나 모두 대류가 있다고 생각하는거죠.
아무리 수면이 잔잔해도 물 속에는 대류가 무조건 발생하고 있습니다.
대류가 클 수도 있고 작을 수도 있지요.
어쨋든.....
물 속의 방해물(대류)를 극복하고 원줄을 확실히 수직정렬 시킬 수 있는가?
이게 채비의 밸런스입니다.
아무래도 원줄이 가늘면 가늘수록 물의 저항을 덜 받습니다.
물론 과학적으로 설명하기는 이 자리서는 힘들겠지만....
시판 중인 원줄과 목줄을 중심으로 경험논리를 포함시켜 설명드리면....
1푼찌에는 적어도 0.6호 이하의 원줄을 사용해야 합니다.
원줄과 목줄의 표준비율은 항상 2:1이니까,
0.6호 원줄에는 가능한 0.3호 이하의 목줄을 사용해야죠.
1푼찌를 사용하면서 0.8호 이상의 원줄을 사용하면 봉돌 무게로 채비의 수직정렬을
이루기 힘듭니다. 즉, 봉돌이 물의 저항을 극복하고 원줄 0.8호 이상을 물속에서 수직정렬
시키기 어려다는 뜻이죠.
2푼찌 이상이면 원줄을 0.8호 이하 정도를 사용해도 됩니다.
3푼찌 이상이면 원줄을 1.0호 이하 정도를 사용해도 됩니다.
4푼찌 이상이면 원줄을 1.2호 이하 정도를 사용해도 됩니다.
다시 말해서 일반적으로 저푼찌를 사용하면서 굵은 원줄을 사용하면 안 된다는 뜻이죠.
우리 까페 에서 펌 해온겁니다....... 도움이 되었으면 합니다..............(태경 매니아)
너무 체계적인 이론인거 같아 정신차리고 읽어보기두 힘이 드네여..ㅎㅎ
차차 시간을 두고 하나하나 익혀 간다는 마음으로 임할라고 합니다...
그나저나 요즘은 틈틈이 시간이 나는데 이넘의 비가 언제까지 올려나
도통 협조를 안해주네여. 오늘도 비가 부슬부슬 나리는데 아이고 죽겄구만여.
나만 그러나...ㅎㅎ
원하는 붕어의 입질을 수면에 나와 있는 부분으로 어떻게 잘 파악하고 선별할 수 있느냐지요.
저수온기 입벌려 살짝 넣고 아물아물하고 뱉는 입질을 잡아내는,
고수온기 피라미등의 잡어를 피하고, 수심 각층별로 노는 녀석들을 어떻게 파악/감지하여 잡아내고,
또한 대물만 선별해 잡아내고...
다 찌가 다르지요.
내림(내림,중층),올림(바닥), 혼합형, 대물형, ...
연구하면 할수록 찌를 갖는 수가 많아지더라구요. 저의 경우 버리고 사고 해서 60여개 (대물 20개, 떡 20, 내림/중층 20여개)
즐낚하십시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