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심 측정시 양바늘을 수심측정용 고무(?)에 끼워서 수심을 측정하고 윗바늘(짧은목줄)에 맞추어서 수심 측정을 한 후 윗바늘을 살짝 닿게 채비를 내리면 아래바늘은 느슨하게
각이 기울어서 바늘이 눕듯이 됩니다. 목줄의 길이 즉 단의 차이가 날수록 아래 바늘의
늘어뜨리는 정도를 크게 할 수 있습니다.
아래 바늘에 수심을 맞추어서 살며시 바늘이 닿도록 채비를 투척하면 단차가 큰 채비 형태가 되므로 윗바늘에서 비중이 다소 있는 확산성 집어제인 떡밥을 떡밥 기둥을 형성하도록 풀어주고 아래바늘에 미끼를 달아준다면 집어에 도움이 됩니다. 이렇게 하면 일반적인 내림 낚시가 되는 것이지요?
(윗바늘 확산성 집어제 채비에서는 활성도가 약할수록 단 차는 크게, 활성도가 좋을 수록 단 차는 작게.. 일반적으로 이 방법이 많이 사용되는 것으로 알고있습니다.)
내림 낚시를 하고 계시다니 이미 단차 낚시는 경험해보신 것입니다.
바늘과 바늘 사이의 간격을 단차 라고 합니다.
유료터에서 단차낚시 라고 말하는 것은 단차슬로프 기법을 말하는 것으로
추정됩니다.
겨울철에 예민한 입질을 받아내기 위한 기법이며 목줄을 길게 하여 늘어뜨리는 기법입니다.
수심 측정시 양바늘을 수심측정용 고무(?)에 끼워서 수심을 측정하고 윗바늘(짧은목줄)에 맞추어서 수심 측정을 한 후 윗바늘을 살짝 닿게 채비를 내리면 아래바늘은 느슨하게
각이 기울어서 바늘이 눕듯이 됩니다. 목줄의 길이 즉 단의 차이가 날수록 아래 바늘의
늘어뜨리는 정도를 크게 할 수 있습니다.
아래 바늘에 수심을 맞추어서 살며시 바늘이 닿도록 채비를 투척하면 단차가 큰 채비 형태가 되므로 윗바늘에서 비중이 다소 있는 확산성 집어제인 떡밥을 떡밥 기둥을 형성하도록 풀어주고 아래바늘에 미끼를 달아준다면 집어에 도움이 됩니다. 이렇게 하면 일반적인 내림 낚시가 되는 것이지요?
(윗바늘 확산성 집어제 채비에서는 활성도가 약할수록 단 차는 크게, 활성도가 좋을 수록 단 차는 작게.. 일반적으로 이 방법이 많이 사용되는 것으로 알고있습니다.)
좋은 하루 되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