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가아는지식이해가는부분이여기까지입니다
먼저 솔리드찌의 수심측정법입니다 (내림낚시 가정)
찌맞춤을 7목에 했다고 가정합니다..
그럼 윗바늘 아랫바늘을 지우개나 수심측정고무 하나에 두바늘을 끼웁니다..
그리곤 찌톱끝부분과 수면과 일치하게 맞춥니다..
절대여기서 주의하실부분은 일치가 되지 않았음에도 불구하고 대충가정하에
수심을 제버리는데 아주큰 오산입니다..
예를 들어 찌톱한마디가 물밖으로 나왔는데 거길 수심으로 잡아버리면
실제수심과는 적어도 지톱 두세마디 정도 차이가 나버립니다..
찌톱이 수면과 일치하도록 여러번에 좌우로 던져보며 바닥상황을 읽으세요..
그리곤 일치하게 됐다면 수심측정고무를 찌톱 맨끝에 맞추시고..
찌를 첨 찌맞춤한 일곱목까지 찌를 올립니다.. 그럼 수심측정고무엔 7목과 일치가 되겠죠..
그럼 여기가 0점이 되는것입니다.. 여기서 초릿대방향으로 올리면 슬로프가 되는것이고
편납방향으로 내리면 마이너스가 되는것입니다.. 아랫분의 질문에 대답한내용이고요
이다음부터 부과설명좀부탁드립니다
언제든상관없으니 동행출조부탁드립니다 아님 댓글이라도 달아주세용
낚시터에서보면 커피한잔 거하게대접하겠습니다
슬로프기법에대해알고싶습니다
-
- Hit : 5780
- 본문+댓글추천 : 0
- 댓글 4
윗바늘 수심을 측정한다면 윗바늘에 미끼를달고 던져 윗바늘이 바닥에 살짝 닿고 찌톱 이 수면과 일치하면 수심측정이
끝나는데 여기서 찌를 위로 올리면 물속으로 줄이 많이 잠기므로 목줄이 누우면서 슬로프가 생기겠죠
몇목을 내놓고 하느냐 하는것은 그날의 활성도와 여러가지 고려해서 하면 되는거구요 미끼가 다 녹으면 찌 맞춤한 목수가
나오는데 여기서도 바늘이 한개또는두개다 바닥에 닿아있다면 바늘무게만큼 목수가 더나오겟죠.
수심측정이 중요한것은 5목을 내놓고 낚시를할때 일정하게 5목이 나와야 미끼가 녹는시간과 찌의 올라오는 시간
이것이 일정해야 입질파악이 빠르고 미약한입질도 놓치지 않는것 같습니다 .. 내림초보가....
일단 슬러프낚시는 자기가 기점으로 삼고자하는 바늘이 있을겁니다. 그바늘기준으로 수심을 측정한후 그위로 몇cm올리냐에따라 슬러프가 그만큼 지는것이죠. 기본적인 1:1낚시도 아랫바늘은 살짝누어있고 부하가 없는상태인것입니다. 그래서 아랫바늘에 입질을 받아내는거죠. 나머지는 응용방법에따라 이름이 바뀌며 모든것은 낚시하는사람이 어떻게 응용하냐에 따라 달라진다고 볼수있습니다.
동시활영 영상을본후 더이상 웹사이트 여기저기 돌아다니며 정보를 얻지 않습니다 눈으로 직접 보는것과 경험과 실패를 한것만 믿게 되더군요... 그나마 짧은시간 해오며 남긴것은 슬로프를 줄시 예민 하지는 않지만 찌내림폭은 커진다는것과 대단차 를 주면 찌내림폭이(한바늘 뜬것과 두바늘 닿을때의 내림폭)더욱커진다는것 두가지를 얻었습니다 그리고 1~2목 슬로프는 슬로프가 아니다? 라는 생각도 하게 되었습니다 내림4개월에 접어들지만 제가 느낀것들입니다...
읽어보니 참 어렵군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