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목 무바늘맞춤에 바늘달면 약 1목 혹은 2목의 빈바늘 찌맞춤이 나오겠죠
수심측정기억(면사매듭, 스토퍼)표에 찌를 5목 맞춤하셧다면 이론적으로 이때부터 슬러프가 이루어집니다
그러나 사선이나 착지오류등으로인해 실질적으로 밥을 달고 투척하면 3목전후의 목수가 나올것입니다
두바늘이 바닥에 누워있는건 확실하지만 그렇다고 완전히 누워있는건 아닙니다 더 찌를 올려(+) 안정적인 슬러프를 주어야
일정한 패턴을 만들어갈수 있습니다
그리고 찌맞춤이 너무 무거워 대류의 영향(붕순이 물쌀, 브로와 기포상승, 물순환등등)에 의해 찌가 늘어지거나 않보일때까지 주저앉아 입질표현을 보여주지 않을거 같습니다
입질이 들어온다면..
입질은 찌의 소재, 톱, 다리에 따라 다르겠지만 일반적인 찌에 비추어 본다면 입질형태 대중없을것 같습니다
젤많이 들어오는 표현은 2~3마디 혹은 한번에 찌가 주저앉는 즉 먹고 째는 표현이 들어올거 같구요
두번째로 어쩌나 잉어같이 흡입력이 좋은 넘이 입질하여 한마디 딱끈는 표현이 들어올거 같습니다
* 추천 슬러프낚시
찌맞춤은 빈바늘 6~5목(바늘달고), 찌에 따라 다르지만 일반적으로 10목이라면 4~5목정도의 비율, 단차 3~5cm 정도
찌는 저부력 대나무다리, 갈대, 공작, 글라스무크톱
떡밥은 페레글루 스페샬 양콩알당고, 우동셋트, 우동 마부시
빈바늘이 6목이면 무바늘은 약 9~10목정도입니다(솔리드톱) 그러나 정확한건 빈바늘 6목에 떡밥을 달아 투척하여
잔존부력목수를 지나 원래의 맞춤선(6목)이 나올때까지 찌를 아주 조금씩 올려주면서 해야합니다
다시말해 수심측정고무를 약 10목에 맞추었다해도 사실상 투척하고보면 8목전후로 나와있을겁니다 이론적으로 슬러프가 이루어져 6목이 나와야하지만 목내림, 착지오차등으로인해 잔존부력목수가 나옵니다(7~9목) 여기서 조금씩 11목 다음 찌탑,몸통경계선 다음 찌몸통 어깨 으런식으로 수심측정기억을 기준 찌를 올려주어 갑자기 6목이 나오고 혹은 계속 투척하여도 6목이 나오는 시점을 잡아야 합니다 여기서 슬러프가 이루어지며 안정적입니다 이시점에서 가장 표현력도 좋습니다
그러나 상황에 따라 슬러프를 더주어 몸통걸림이 안나올시점까지 혹은 입질표현이 나올만큼 슬러프를 주는것이 좋습니다
그러면 바늘을 달면(4-5호) 하나당 약1목으로 가정해도.. 채비다 달고 3목마춤이 되겠네요?
질문에 대한 답변은..
1.안착된 채비의상태
윗바늘 살짝닿기로 수심을 측정 했다고 보고요(거의 직립에가깝게측정) 미끼를 달아서(중간비중)
투척후 생기는 미끼의물속 부하와 비중에의해(나지미) 찌의기준인 3목이 안착후1-1.5목으로 형성되고
미끼가 녹으면서 찌의복원으로 3목에서 다시5.6목으로 복원이 서서히 이루어 집니다.
그러므로 님께서 미끼달고 5목으로 낚시하도록 수심을 조정하셨다는 얘긴데요..
바늘의 상태는 두바늘 모두 완전히 누워있고 목줄또한 어느정도 슬로프를 가진형태 입니다.
역 발상적 찌마춤이기는 하나 자연히 슬로프낚시를 하시고 계시는것 입니다.
단 여기서 문제는 채비의 투척과 미끼의균일한 크기와 비중인데요. 이모두가 한결같은 기준으로 운영
을 한다는 기준하에서 입니다.
일반적으로 솔리드톱의 4-5푼대 찌라면 빈바늘 찌마춤으로는 7-8목 정도는 되야 내림낚시의 매카니
즘이 정상적으로 이루어지고 입질또한 비교적 깔끔히 받을수 있습니다.
찌마춤의 시작은 나의찌가 빈바늘마춤에서 담구었다 복원될때 거기까지 복원이 되어야 되니까요.
2. 입질의 형태
입질의 형태는 단순히 찌마춤으로 결정 되지는 않는 복합적 요소가 많습니다.
예컨대, 찌톱의종류,복원되는 찌마춤,미끼의종류와크기,요즘철엔꼬시기동작,바늘의크기 등등
찌의목수로만 기준을 둔다면....
전자에 말씀드린 기준에 의하면 님의찌마춤적 입질형태는 짧게끊기는 듯한 것 보다는 스르르 끄는
식의 입질이 많이 나오고 채비의 정열도 느리게 진행되겠군요. 미동의느낌도 챔질로 이어지는 낚시를
하셔야 하고 입질과 몸질 건드림을 그것으로는 명확히 감지하시기에 다소 무리인것으로 보입니다.
5목 무바늘맞춤에 바늘달면 약 1목 혹은 2목의 빈바늘 찌맞춤이 나오겠죠
수심측정기억(면사매듭, 스토퍼)표에 찌를 5목 맞춤하셧다면 이론적으로 이때부터 슬러프가 이루어집니다
그러나 사선이나 착지오류등으로인해 실질적으로 밥을 달고 투척하면 3목전후의 목수가 나올것입니다
두바늘이 바닥에 누워있는건 확실하지만 그렇다고 완전히 누워있는건 아닙니다 더 찌를 올려(+) 안정적인 슬러프를 주어야
일정한 패턴을 만들어갈수 있습니다
그리고 찌맞춤이 너무 무거워 대류의 영향(붕순이 물쌀, 브로와 기포상승, 물순환등등)에 의해 찌가 늘어지거나 않보일때까지 주저앉아 입질표현을 보여주지 않을거 같습니다
입질이 들어온다면..
입질은 찌의 소재, 톱, 다리에 따라 다르겠지만 일반적인 찌에 비추어 본다면 입질형태 대중없을것 같습니다
젤많이 들어오는 표현은 2~3마디 혹은 한번에 찌가 주저앉는 즉 먹고 째는 표현이 들어올거 같구요
두번째로 어쩌나 잉어같이 흡입력이 좋은 넘이 입질하여 한마디 딱끈는 표현이 들어올거 같습니다
* 추천 슬러프낚시
찌맞춤은 빈바늘 6~5목(바늘달고), 찌에 따라 다르지만 일반적으로 10목이라면 4~5목정도의 비율, 단차 3~5cm 정도
찌는 저부력 대나무다리, 갈대, 공작, 글라스무크톱
떡밥은 페레글루 스페샬 양콩알당고, 우동셋트, 우동 마부시
빈바늘이 6목이면 무바늘은 약 9~10목정도입니다(솔리드톱) 그러나 정확한건 빈바늘 6목에 떡밥을 달아 투척하여
잔존부력목수를 지나 원래의 맞춤선(6목)이 나올때까지 찌를 아주 조금씩 올려주면서 해야합니다
다시말해 수심측정고무를 약 10목에 맞추었다해도 사실상 투척하고보면 8목전후로 나와있을겁니다 이론적으로 슬러프가 이루어져 6목이 나와야하지만 목내림, 착지오차등으로인해 잔존부력목수가 나옵니다(7~9목) 여기서 조금씩 11목 다음 찌탑,몸통경계선 다음 찌몸통 어깨 으런식으로 수심측정기억을 기준 찌를 올려주어 갑자기 6목이 나오고 혹은 계속 투척하여도 6목이 나오는 시점을 잡아야 합니다 여기서 슬러프가 이루어지며 안정적입니다 이시점에서 가장 표현력도 좋습니다
그러나 상황에 따라 슬러프를 더주어 몸통걸림이 안나올시점까지 혹은 입질표현이 나올만큼 슬러프를 주는것이 좋습니다
질문에 대한 답변은..
1.안착된 채비의상태
윗바늘 살짝닿기로 수심을 측정 했다고 보고요(거의 직립에가깝게측정) 미끼를 달아서(중간비중)
투척후 생기는 미끼의물속 부하와 비중에의해(나지미) 찌의기준인 3목이 안착후1-1.5목으로 형성되고
미끼가 녹으면서 찌의복원으로 3목에서 다시5.6목으로 복원이 서서히 이루어 집니다.
그러므로 님께서 미끼달고 5목으로 낚시하도록 수심을 조정하셨다는 얘긴데요..
바늘의 상태는 두바늘 모두 완전히 누워있고 목줄또한 어느정도 슬로프를 가진형태 입니다.
역 발상적 찌마춤이기는 하나 자연히 슬로프낚시를 하시고 계시는것 입니다.
단 여기서 문제는 채비의 투척과 미끼의균일한 크기와 비중인데요. 이모두가 한결같은 기준으로 운영
을 한다는 기준하에서 입니다.
일반적으로 솔리드톱의 4-5푼대 찌라면 빈바늘 찌마춤으로는 7-8목 정도는 되야 내림낚시의 매카니
즘이 정상적으로 이루어지고 입질또한 비교적 깔끔히 받을수 있습니다.
찌마춤의 시작은 나의찌가 빈바늘마춤에서 담구었다 복원될때 거기까지 복원이 되어야 되니까요.
2. 입질의 형태
입질의 형태는 단순히 찌마춤으로 결정 되지는 않는 복합적 요소가 많습니다.
예컨대, 찌톱의종류,복원되는 찌마춤,미끼의종류와크기,요즘철엔꼬시기동작,바늘의크기 등등
찌의목수로만 기준을 둔다면....
전자에 말씀드린 기준에 의하면 님의찌마춤적 입질형태는 짧게끊기는 듯한 것 보다는 스르르 끄는
식의 입질이 많이 나오고 채비의 정열도 느리게 진행되겠군요. 미동의느낌도 챔질로 이어지는 낚시를
하셔야 하고 입질과 몸질 건드림을 그것으로는 명확히 감지하시기에 다소 무리인것으로 보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