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층낚시가 중층낚시를 의미하는거지요??
수심 가운데에서 낚시하는 기법이요??맞나??
아직까지는 중층낚시에 관심은 별루 없구요..
그저..바닥낚시(일반 떡밥낚시?)나 잘 배우고싶어하는 초보입니다...
하지만...전층낚시 또한.....궁금해서 몇자 적어봅니다..
다름이 아닌...전층낚시용이 있는건가요??
저는 일반 낚시대에 채비만 다르게 하면 될 줄알았는데...
그렇탐.일반 낚시대에 채비는 전층채비로 해서 하면 않돼는건가요??
그리고 전층낚시할때....표준으로 되는 수심층이 있는건가요??
예를들어....최하...몇미터 이상해서 전층낚시를 해야한다는 개념이여...
만약 일반 떡밥낚시에서 하는 얕은 수심1.5미터에서...중간층을 노려...중층낚시를 하면 않돼는건가요....반드시..깊은 수심층에서만...중층낚시가 존재하나요??
만약 존재한다면...중층낚시하기 위해..최소 수심이 몇미터 이상되어야 하는건가요?
.
.
.
.
완전 기초보다 더 기초다운 질문을 했습니다...아직 개념도 없는 상태에서요
남들 말하는거 보면..중층낚시...중층낚시 하는데.......중층낚시에 대해 생각해보니.
이런 생각이 떠 올라서요??
질문이
-
- Hit : 3764
- 본문+댓글추천 : 0
- 댓글 2
흔히들 중충낚시하면 수심의 중간에서 하는 낚시라 생각하는데, 꼭 중간에서만 하는 것이 아니라,
전층을 모두 탐색해가며 고기의 유형층을 찾아가며 하는 낚시가 중충낚시입니다.
일반 바닥낚시는 미끼를 바닥에 붙혀 놓고 고기가 오도록 기다리는데 비해 중충낚시는 전층을 두루 탐색하는 공격적인 낚시죠.
채비을 비교해 보면 낚시대의 경우 바닥낚시에서는 경질이나 연질이나 별차이 없이 사용하지만, 중충낚시에서는 빠른 챔질과 빈번한 떡밥 교환으로 연질보다는 중경질이상의 낚시대가 사용하기에 좋습니다.
낚시줄의 경우는 카본줄과 모노줄이 있는데 중충낚시에서는 카본줄은 사용을 하지않고 있습니다.
카본줄은 물보다 비중이 높아 찌에 부담을 주기 때문입니다. 그리고 줄의 굵기 역시 중충낚시에서는 될 수있는되로 가는줄을 사용합니다. 이유로는 바람이나, 물의 대류 및 입질시 물의 저항을 덜 받도록 하기 위함입니다.
찌를 보면 일반 바닥찌의 경우 찌톱이 대부분 카본톱으로 되어있지만 중충찌의 경우는 튜브톱으로 되어있습니다.
카본의 경우는 자체부력이 없지만 튜부톱의 경우는 튜브안에 공기가 들어있어 그부력으로 떡밥을 바닥에서 띄우는데 도움을 얻을 수 있읍니다.(여기서 내림낚시찌의 설명은 생략하겠습니다)
그다음은 봉돌인데 중충낚시에서는 편납을 많이 사용합니다. 이유로는 부력조절하기가 편한 것을 들수있습니다.
일반 바닥낚시에서는 목줄을 합사를 줄겨 사용하는데 비해 중충낚시에서는 원줄보다 가는 모노줄을 사용합니다.
떡밥의 자연스런 연출을 구연하면서 서로 꼬이는 것을 줄일 수 있기 때문입니다.
바늘은 떠있기 때문에 흡입하기에 좋은 가벼운 바늘을 사용합니다.
중충낚시의 포인트는 꼭 어디라고 이야기 하기에는 무리가 따릅니다.
수심이 얼마이상 되어야 한다던가, 주위에 수초가 있어야 한다든가, 이런 것은 낚시하는 시기에 따라 변하기 때문입니다.
제가 봄철에는 표층에서 50cm노려 많은 재미를 보았는데, 요즘은 여름이라 제방쪽에서 주간에는 대략1m∼2m권을 노리고 야간에는 거의 바닥권(3m∼4m)에서 재미를 보고 있습니다.
봄철이나 산란철, 저수지 전체가 뻘물인데 맑은 새물이 유입될 때, 늦가을에는 상류의 수심이 깊지 않은 곳이 포인트가 되고, 한여름에는 수심이 깊은 직벽지대나 제방쪽에 포인트가 됩니다. 포인트는 그날의 수온과 산소 및 먹이의 분포에 따라 수시로 변화합니다.
간략하게나마 이야기가 되었는지 모르겠습니다.
줄낚하시고, 좋은 하루 되세요.
사람입니다 떡붕어의 주된공략층은 그날의상황에 따라 변합니다
수온.물의탁도.배수상황.등등....,
현제 의성가음지는 표층수심 50~60센치 정도에서 월척급이
낙이고 있는 상황입니다 제가 독수리라 몇자적는데 땀이
중층에 구금함이 있으시면 011-9856-0122로 연락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