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물낚시

· 생미끼 붕어 대물낚시에 대한 문답, 또는 정보의 제공이 이루어지는 곳입니다,
· 게시물 성격에 따라 적합한 게시판으로 이동될 수 있습니다.

고수님들께 바늘에 대해 문의 드립니다.

몇년간 대물낚시를 해오면서 수없이 꽝쳤지만 요즈음 제대로 된 입질이 오는데도 걸어내지 못해 혼자서 한참을 고민해보다가 문의글 남깁니다. 조그만 평지형 소류지 새우와 참붕어 옥수수 다써봤는데 참붕어에 거의 입질이 들어옵니다. 7~8치만되도 5~6센티짜리 참붕어를 물고 올라오는곳이죠 정확한 원인을 알려면 제 채비를 먼저 설명드려야겠네요 구레바늘이라고 이세형바늘과 비슷한 형태의 바늘을 사용하고 있습니다. 크기도 비슷한것 같습니다. 이세형바늘을 구할수 없어 낚시점에서 비슷한 형태의 바늘로 간신히 구한건데요 8치정도까지는 잘 잡혀 나오는데 2주전에 35이상되는 놈을 걸었다가 뗏장밭에 떨구는 바람에 다시가서 해봤는데 다시 8치정도 한수하고 참붕어를 끝까지 올리는 입질에 챔질을 했는데 한번 힘을쓰고는 바로 팅 ... 생각해보니 이바늘 쓰고나서 큰놈 잡은 기억이 없습니다. 7~8치급들도 가끔보면 바늘귀와 바늘부분이 동시에 입속에 막혀 있기도 합니다. 초봄에 지렁이 미끼를 쓰느라 작은 바늘로 해서 그런것 같기도 하고 .. 아니면 목이 짧다보니 흡입이 쉬워 두 부분이 동시에 걸리면서 바늘이 제대로 후킹되지 않는것인지 .. 아 제가 최근 썻던건 구레바늘 9호와 10호였습니다. 고수님들의 조언 부탁드립니다. 안전하고 편안한 출조 되시길 ....

안녕하세요,바람의흔적님.내용 글 잘 읽어보았습니다
바늘 하나에도 챔질이 보다 더 잘되고 잘 되진 않더래도 한 번 걸면
잘 빠지지 않거나,잘 펴지지 않는 등 각 어종과 각 미끼에 알맞게
기능성 바늘이 많이 출시되어왔고,출시되고있습니다

구레바늘의 특성을 먼저 알아본다면,바다낚시시 벵에돔 전용으로
출시된 제품이며,벵에돔이라는 녀석은 타 동급 어종에 비하여 입이 작다보니
바늘이 길쭉한 형태가 아닌 동그란 모양이며
입은 작아도 그 대상어의 순간적임 힘이나 씨알이 중 대형급 어종이기에
바늘이 두툼한 편의 굵은 편입니다

물론,바늘을 놓고 봤을때 느껴지는 제 개인적인 의견이구요
벵에돔 특급 미끼인 파래새우는 상당히 작습니다
이 미끼를 꽤기에도 좋게 작은 호수의 바늘도 많이 튼튼하게 나와있지요
<미끼는 작은데,씨알의 힘은 좋으니>

이렇 듯,감성돔바늘 아니라 망상어바늘로 벵에돔 못낚는 것은 아니지만
각 어종의 힘과 미끼 꽤는 특성에 알맞는 것을 이것저것 사용하다보심
대물붕어수초낚시 여러 현장 여건과 미끼에따라
자신만의 바늘 하나 쯤은 생기실 듯 한데요
바람의 흔적님 께서 현재 구레바늘을 연구하고 계시는 단계이신 듯 합니다 ^ ^

굵은 참붕어미끼에 그만큼 입질이 붙는 곳 이면,참붕어미끼의 적응성이 좋은
곳 인 듯 하며,구레바늘로 바꾸고서 큰녀석 못걸어보셨다 느끼시는 것은
어디까지나 새로운 바늘을 접하시는 단계에서 느껴지는
믿음이 안가서일 수도 있지만
평소 자신이 즐겨쓰던 그 바늘과 자신의 장비와 소품 하나하나에서
익숙해졌던 무언가 중 하나가 부족하여
챔질 타이밍을 못맞추어 이러나는 것 일 수도 있습니다

예를들자면,가볍고 챔질 잘 되는 다이치 붕어바늘을 떡밥낚시에서 주로 쓰시던 분
께서,돌돔바늘 같은 사이즈로 그 현장 그대로 떡밥낚시시 즐겨보신다 가정하면
알게모르게 챔질 실패율도 있으실 듯 하고
<약은 입질에도 붕어바늘 사용했을적에 채면,곧잘 걸리는데 <br/>돌돔바늘은 동일 입질에서 조금 못하더라 등등>
시간이 흐름에따라 그 바늘 하나에도 익숙해지실 듯 한데요
단,돌돔바늘은 튼튼하다는 잇점이 있지요
이것이 같은 이치인 듯 합니다

저의경우,털털하지못하고 좀 까탈스러운 성격도 있지만
이보다도 더 정교하고 대마다의 확실한 챔질의 확율을 높히기위해
대물붕어수초낚시시 다대편성을 할 적에 항시 기준을 두는 것이 있는데요

그 날 사용할 낚시시,찌는 최대한 다 동일한 것을 사용하고
부력도 최대한 다 동일하게하며
원줄과 목줄의 길이 등,심지어 외바늘이지만 바늘 하나도
돌돔바늘이면 돌돔바늘,감성돔바늘이면 감성돔바늘 이렇게 동일하게 사용합니다

이유는,앞서 설명해드렸 듯 입질과 챔질시 보다 더 정교함을 주기 위함이며
같은 소류지라도 날마다 입질 패턴이 틀릴 때가 잦은데
그 날의 사용한 미끼로 입질 읽기와 챔질하기에
각 대마다 빠른 적응을 할 수가 있지요

저 역시도,후지쿠 이세형 돌돔바늘 11호를 접했을때는
그 앞전 감성돔바늘 6호까지 써왔기에
그 크기에서 놀래진 않고,왜이렇게 굵고 투박할까 하며
낚시한 그 날의 조황이 부진하거나,입질시 챔질율도 낮음
상당히 바늘 탓으로 돌렸는데,자신의 것 으로 만드니
꼭 이럴때에는 이 바늘이 최고더라 하는 믿음이 생기더라구요

평소 바늘 끝 무딤 정도도 잘 관리해주시는 것도 중요하구요
<저의경우 수시로 바늘 교체합니다>
어떠한 바늘을 어떠한 미끼와 어떠한 상황에서 보다 더 자신있게 쓰실 수 있는
연구도 더 필요하신 듯 합니다
물론,저도 마찮가지로 바늘 하나에도 연구할 부분이 많습니다
<낚시는 과학이라는 말이 점점 실감됩니다 ^ ^ >

그럼,즐거운하루되세요
달비사짜님의 자세한 답변 감사합니다.
아무래도 당분간은 낚시다니기가 힘들듯하여 이번주에 다시 마지막으로 도전해보려 합니다.
전에쓰던 감성돔 5호바늘로 다시 도전해보고 다음에 결과 말씀드리겠습니다.

다시한번 자세한 답변 감사드리고
항상 안전하고 즐거운 출조되시길 ...



2025 Mobile Wolchuck