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물낚시

· 생미끼 붕어 대물낚시에 대한 문답, 또는 정보의 제공이 이루어지는 곳입니다,
· 게시물 성격에 따라 적합한 게시판으로 이동될 수 있습니다.

너무궁금합니다.....

평소하던대로... 집에서찌맞춤을케미달고수면에평행하게맞춘상태에서........ 저수지에가낚시를하는데..... 떡밥을개기전에.........케미만수면에나오게던져놓았습니다.... 떡밥을달아던지니찌가물속으로3-4마디정도가라앉네여..... 왜차이가있는겁니까조사님들...... 낚시대3대가같은찌입니다........군계일학찌로길이는50cm정도입니다.... 3대모두그러드라구여...... 잉어낚시를즐기는편이라서여... 원줄은시가그랜드맥스4호구여....목줄은케블라합사4호입니다..... 바늘은감성돔3호입니다... 바닦에침수수초나장애물이있는줄알고자리를옴ㄹ겨도증상이똑같습니다.... 예전엔이런적이없었는데..왜이런차이가나는겁니까.... 제발아시는조사님있으시면부탁좀드리겠습니다.......

찌맞춤은 현장맞춤이 필수입니다.
수온과 물의 점성이 달라서 비중이 변하여 현장에서 다시 해야할듯
찌맞춤은 낚시하는데서 다시 해보세요
찌맞춤이 제대로 되지 않아서 그런것 같습니다.
안녕하세요,ijijjj님,rainy님.붕어보다 그 입질의 폭이 작은 편인 대물급 잉어를
대낚으로 낚기 위해서는,rainy님 말씀 처럼 물의 흐름이 다소 있는 곳이 아니라면
현장 찌맞춤은 상당히 중요한 부분 중 하나인 것은 분명한 듯 합니다

집에서 수조 맞춤을 할적에,케미가 케미 꽂이에 꽂힌 채로 봉돌만 달고 맞추셨는지
아니면 케브러합사 4호 목줄을 셋팅한 감성돔바늘 3호를 같이 셋팅하여
찌맞춤을 하셨는지,내용에는 없어서 생략하고
그냥 봉돌만 달아서 케미가 꽂힌 찌 끝과 수면에서 일치하게 맞췄다 가정하겠습니다

군계일학의 찌는,저도 몇 제품 사용해봤지만 떡밥찌로써는 예민하고
감도가 좋은 것 들이 많습니다

이만큼 미미한 납조각 하나 깍음에 그 예민성이 더 짙은 찌 인데요
비중이 다소 큰 카본사인 시가 그렌드맥스 4호 원줄에
케브러합사 4호 목줄과 감성돔바늘 3호를 셋팅한체 쓰시는 것 이라면
집에선 수평 찌맞춤을 하셨더래도
현장에서는 거진 더 무거운 맞춤으로 변해버리기 일수입니다


★집에서 찌와<케미 꽂이에 케미 꽂힌 채로 맞춘 것 포함>봉돌만 달고
수평 찌맞춤을 하였는데,현장에서는 더 무거운 맞춤이 된 이유 간단히 두 가지

1. 집에서는 수평맞춤을 하거나 좀 더 가벼운 한 두 마디
찌톱이 수면 위로 나오는 맞춤을 하더래도
현장 수중 속 떠도는 부여물과 플라크톤 등 비중이 있는 것 들이
찌의 상당부에 무게감을 미미하게 주게되어
찌의 부력은 하강으로 좀 더 변하기 마련이기 때문입니다
<수심층이 깊거나,물색의 탁도가 짙을 수록 더 합니다>

2. 원줄의 비중과 목줄의 비중입니다.원줄이 비중이 있는 카본사이고
더더욱 굵은 카본사인 4호 원줄에 케브러 4합사 목줄과
감성돔바늘 3호의 사용이라면
이것들의 비중만으로도 무거운 맞춤이 되버리기 때문이며
수심이 깊을 수록 찌 아래 원줄 여분이 늘어나니 더 심해진답니다


이러한 이유 때문에,현장에서 떡밥을 바늘에 달기 전 케미 길이 만큼만 수면에서
내놓았다면,분명 물 밖 케미의 무게감과 위 이유들의 이유로
무거운 찌맞춤 상태가 되어버리는 것 이고

분명 수심 채크를 케미 길이만 수면에서 내놓게 맞추었다 하시더래도
잉어 낚시시 붕어낚시보다 더 크고 비중이 있는 떡밥을 달아 투척하게되면
물 바닥은 통상적으로 더 갈 수록 조금이라 깊은 상황이 더 잦기에
떡밥의 비중으로 바닥 안착되어 조금 더 먼 지점 깊은 곳에
떡밥이 안착되어서,그 깊이 만큼 케미가 찌가 잠긴 것 일 수도 있으며

그 다음으로는 원줄의 사선 문제인 듯 한데요
채비 투척을 하시고,찌맞춤때보다 떡밥의 무게감으로 좀 더 먼 곳 에
채비가 안착되게되면
원줄에 사선이 생겨서,찌는 잠기는 현상이 일어나고
수중 속 원줄은 거의 똑바른 모양이 아닌,비스듬한 것 이 됩니다

중층이나 내림낚시를 하듯이,채비 투척 후 대 끝을 물에 잠궜다가
받침대에 올려주시는 것이 잉어 떡밥낚시 비롯하여
예민성이 짙은 유료터 바닥낚시를 할 적에도 상당히 중요한데요
원줄의 사선을 없애기 위함이랍니다
<초리쪽을 잠구게되면,더 멀리 안착되려던 채비도 <br/>초리가 앞으로 당겨지는만큼 앞쪽에 안착되니까요>

저의 생각으로는 이러한 이유들 때문에 낚싯대 3대 모두 그러한 현상이 나타난 듯 하며
전에는 그러한 현상이 없었다고 하셨는데
이번 낚시를 하시던 곳의 수심층은 깊은 편이 아니었는지요?
<수심이 상당히 깊으면,원줄의 사선이 오히려 그리 없어지가나 <br/>바닥에 채비가 안착되지못해 덧줄을 달아야하는 댐낚시 같은 현상이 생기며
수심대가 2m권 남짓이라면 원줄의 사선이 쉬이 생기지요>

그리고,바늘과 목줄과 함께 다같이 셋팅하여,집에서 수평맞춤을 하신 것 이면
떡밥의 무게감 때문에 발생한 부분일 수도 있으나
이유는 위 제가 설명드려본 것 들 어느정도 다 포함해서 그러한 현상이
생기는 듯 합니다

그럼,다음번 출조시에는 무엇보다 원줄의 사선을 없애주는
정교한 잉어 대낚시를 구사해보시구요
현장의 물 흐름이 없는 곳 이고,좀 더 예민한 잉어의 입질을 받아내시고싶으심
현장에서 채비 다 단 체로,수심충에 근접하게 얼추 맞춘 후
찌 톱이 수면 위로 1-마디 올라오게 맞추시면 상당히 좋습니다
<이렇게 하기 전에 수심층에 근접하게 미리 설정해놓고 <br/>맞추시는 부분은 상당히 중요하답니다
채비의 비중을 줄여주기 위함이지요>

그럼,즐거운 하루 되세요
rainy님,달비4짜님께서말씀해주신고견으로....
궁금증이해소되었습니다....정말감사합니다.....
한가지또궁금한것은저위채비상태에서....
생미끼대물낚시는가능합니까.....

도움 되셨다니,저 역시 보람되어 기분 좋습니다

저 상태 그대로 생미끼 대물붕어낚시 충분히 가능하나
얕은 수초대에서 이뤄지는 낚시일 경우에는
좀 짧은찌가 더 좋겠으며
<수심 있는 곳 이면 저 찌도 좋은 것 입니다>
생미끼 자체가 너무 예민한 찌올림은 헛챔질이 잦으니
봉돌만 달고 찌를 천천히 바닥에 가라앉게하거나
좀 더 무겁게 하시는 것이 더 현명하실 듯 하며
봉돌의 부력이 더 나간다해서
새우/참붕어/지렁이/등등 을 붕어가 먹이로 생각할적에는
그리 입질이나 삼킴에 영향을 주지 않는 듯 하답니다

그리고,원줄과 목줄의 밸런스가 너무 일치하는 것도
부들이나 억센 초밭에서 채비가 걸렸을시 좋지만은 않은데요
촘촘하고 견고한 올의 좀 더 낮은 호수의 케브러합사를 선택하시는 것도
좋은 방법이겠습니다
<참붕어만 미끼로 하실적에는,모노필라멘트나 카본사 2.5-3호를 목줄로 <br/>주는 것도 목줄 엉킴에 도움 되며,새우를 같이 쓰셔도 좋고
수초낚시와 손맛 보는 잉어낚시는,어느정도 채비 달리해주심 더 좋겠지요 ^ ^ >

그럼,즐거운 하루 되세요
감사합니다....달비4짜님......
올해좋은어복있으시고 건강도챙기세요.....^^
시가 그랜드 맥스라면 혹시 카본라인이 아닌지요
카본줄을 쓰시면 카본줄의 무게로 인해 던진후 줄의 무게로 인해(줄이 물속에서 가라앉음) 찌가 끌려내려 갑니다
쓰신줄이 카본줄이 맞다면 줄을 모노필라멘트사로 바꾸어 쓰시면 해결될 것입니다
찌는 저부력의 떡밥찌이고 채비는 좀 강한듯한 채비이군요.
그래도 잉어 낚시 위주라하시니 이정도는 해줘도 상관없겠죠?
달비님께서 말씀하셨듯, 제가 보기엔 가장 큰 문제는
원줄의 비중과 찌와 봉돌과의 수직이 아닌 떡밥으로 인해 수직선상에서 많이 벗어나서 수심차이가 난것으로 보여지고 있다고 봅니다.



2025 Mobile Wolchuck