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물낚시에 어떤 바늘을 사용 하시나요? 감성돔바늘이 좋다고 들었는데 어떤 사람은 감성돔바늘은 잘 뻗는다고도 하고... 그리고 굵은 바늘은 붕어가 이물감을 느끼지는 않나요?
검색목록 목록 이전 다음 수정 삭제 대물낚시 어떤 바늘을 쓰나요? 초보04-12-22Hit : 3930 본문+댓글추천 : 0댓글 2 공유 인쇄 신고 네이버 밴드 트위터 페이스북 카카오톡 https://www.wolchuck.co.kr/월척지식/대물낚시/대물낚시-어떤-바늘을-쓰나요 URL 복사 대물낚시에 어떤 바늘을 사용 하시나요? 감성돔바늘이 좋다고 들었는데 어떤 사람은 감성돔바늘은 잘 뻗는다고도 하고... 그리고 굵은 바늘은 붕어가 이물감을 느끼지는 않나요? 추천 0 바람돌이백호 04-12-22 14:00 초보님 안녕하세요 저도 대물낚시를 본격적으로 시작한지는 얼마되지 않지만 이세바늘을 주로 사용하구요 강성돔바늘도 사용하는데 참붕어를 미끼로 사용할때는 강성돔 바늘을 사용하구요 새우를 사용할때는 이세바늘을 사용합니다 참고로 월척 쇼핑몰에 두바늘 다있구요 비교해보시고 사용하세요 이세형 바늘이 튼튼해서 애착이더가더군요 즐낚하세요 추천 0 신고 초보님 안녕하세요 저도 대물낚시를 본격적으로 시작한지는 얼마되지 않지만 이세바늘을 주로 사용하구요 강성돔바늘도 사용하는데 참붕어를 미끼로 사용할때는 강성돔 바늘을 사용하구요 새우를 사용할때는 이세바늘을 사용합니다 참고로 월척 쇼핑몰에 두바늘 다있구요 비교해보시고 사용하세요 이세형 바늘이 튼튼해서 애착이더가더군요 즐낚하세요 어우심공 04-12-22 14:51 초보님 안녕하세요. 조사님들이 대체적으로 쓰시는바늘에 대해서 몇가지만 말씀드리겠습니다. 우리가 일반적으로 붕어을 낚을때 쓰는바늘은 붕어바늘7호나 8호를 가장 많이 쓰는걸로 알고있습니다. 그러나 대물낚시의 기본은 튼튼한 채비에서 절반의 성공을 볼수있다고 보아야 합니다. 대물낚시를 하다보면 수초에 걸림이 하루에도 몇번씩 빈번하므로 바늘이 펴지거나 부러지지 않아야 합니다. 하여 붕어바늘 기준하여 13호정도의 크기를 정해놓고 감성돔바늘이나 이세형바늘을 택해서 쓰심이 좋구요, 굵은 바늘에 붕어가 이물감을 느끼는것은 당연합니다. 그러나 떡밥낚시를 해볼때 흡입하는 과정에서 떡밥의 입자와 바늘이 거의 동시에 입으로 들어갑니다. 그러면 당연히 이물감을 느끼고 바늘을 밷어내겠지만 이미 찌는 수면위로 몇마디이상 오른상태일겁니다. 생미끼를 주로사용하는 대물낚시에서도 마찬가지로 새우를 미끼로했을때 붕어는 타액으로 새우를 녹이며 천천히 먹이을 취하면서 봉돌을 들어올립니다. 그과정에서 이물감을 과연얼마나 느끼느냐는 붕어말고는 모릅니다. 다만 붕어가 이물감을 느꼈을때는 찌부력보다 봉돌의 무게를 너무무겁게 했을경우나 양바늘 채비했을때 한쪽바늘이 밑걸려서 봉돌을 올리지 못하는경우 등의 외적인요소 가 있겠지만 , 한가지 분명한것은 지놈이 이물감을 느끼기 전에 이미 조사는 챔질에 들어간다는 것입니다. 찌맞춤이나 여러가지 테크닉에서 붕어보다 앞선다고 보아야 겠지요. 제생각이니 정답이라고 생각하지 마시기 바랍니다. 참고만 하세요. 추천 0 신고 초보님 안녕하세요. 조사님들이 대체적으로 쓰시는바늘에 대해서 몇가지만 말씀드리겠습니다. 우리가 일반적으로 붕어을 낚을때 쓰는바늘은 붕어바늘7호나 8호를 가장 많이 쓰는걸로 알고있습니다. 그러나 대물낚시의 기본은 튼튼한 채비에서 절반의 성공을 볼수있다고 보아야 합니다. 대물낚시를 하다보면 수초에 걸림이 하루에도 몇번씩 빈번하므로 바늘이 펴지거나 부러지지 않아야 합니다. 하여 붕어바늘 기준하여 13호정도의 크기를 정해놓고 감성돔바늘이나 이세형바늘을 택해서 쓰심이 좋구요, 굵은 바늘에 붕어가 이물감을 느끼는것은 당연합니다. 그러나 떡밥낚시를 해볼때 흡입하는 과정에서 떡밥의 입자와 바늘이 거의 동시에 입으로 들어갑니다. 그러면 당연히 이물감을 느끼고 바늘을 밷어내겠지만 이미 찌는 수면위로 몇마디이상 오른상태일겁니다. 생미끼를 주로사용하는 대물낚시에서도 마찬가지로 새우를 미끼로했을때 붕어는 타액으로 새우를 녹이며 천천히 먹이을 취하면서 봉돌을 들어올립니다. 그과정에서 이물감을 과연얼마나 느끼느냐는 붕어말고는 모릅니다. 다만 붕어가 이물감을 느꼈을때는 찌부력보다 봉돌의 무게를 너무무겁게 했을경우나 양바늘 채비했을때 한쪽바늘이 밑걸려서 봉돌을 올리지 못하는경우 등의 외적인요소 가 있겠지만 , 한가지 분명한것은 지놈이 이물감을 느끼기 전에 이미 조사는 챔질에 들어간다는 것입니다. 찌맞춤이나 여러가지 테크닉에서 붕어보다 앞선다고 보아야 겠지요. 제생각이니 정답이라고 생각하지 마시기 바랍니다. 참고만 하세요. 검색목록 목록 이전 다음 수정 삭제 하단에 목록보기
바람돌이백호 04-12-22 14:00 초보님 안녕하세요 저도 대물낚시를 본격적으로 시작한지는 얼마되지 않지만 이세바늘을 주로 사용하구요 강성돔바늘도 사용하는데 참붕어를 미끼로 사용할때는 강성돔 바늘을 사용하구요 새우를 사용할때는 이세바늘을 사용합니다 참고로 월척 쇼핑몰에 두바늘 다있구요 비교해보시고 사용하세요 이세형 바늘이 튼튼해서 애착이더가더군요 즐낚하세요
어우심공 04-12-22 14:51 초보님 안녕하세요. 조사님들이 대체적으로 쓰시는바늘에 대해서 몇가지만 말씀드리겠습니다. 우리가 일반적으로 붕어을 낚을때 쓰는바늘은 붕어바늘7호나 8호를 가장 많이 쓰는걸로 알고있습니다. 그러나 대물낚시의 기본은 튼튼한 채비에서 절반의 성공을 볼수있다고 보아야 합니다. 대물낚시를 하다보면 수초에 걸림이 하루에도 몇번씩 빈번하므로 바늘이 펴지거나 부러지지 않아야 합니다. 하여 붕어바늘 기준하여 13호정도의 크기를 정해놓고 감성돔바늘이나 이세형바늘을 택해서 쓰심이 좋구요, 굵은 바늘에 붕어가 이물감을 느끼는것은 당연합니다. 그러나 떡밥낚시를 해볼때 흡입하는 과정에서 떡밥의 입자와 바늘이 거의 동시에 입으로 들어갑니다. 그러면 당연히 이물감을 느끼고 바늘을 밷어내겠지만 이미 찌는 수면위로 몇마디이상 오른상태일겁니다. 생미끼를 주로사용하는 대물낚시에서도 마찬가지로 새우를 미끼로했을때 붕어는 타액으로 새우를 녹이며 천천히 먹이을 취하면서 봉돌을 들어올립니다. 그과정에서 이물감을 과연얼마나 느끼느냐는 붕어말고는 모릅니다. 다만 붕어가 이물감을 느꼈을때는 찌부력보다 봉돌의 무게를 너무무겁게 했을경우나 양바늘 채비했을때 한쪽바늘이 밑걸려서 봉돌을 올리지 못하는경우 등의 외적인요소 가 있겠지만 , 한가지 분명한것은 지놈이 이물감을 느끼기 전에 이미 조사는 챔질에 들어간다는 것입니다. 찌맞춤이나 여러가지 테크닉에서 붕어보다 앞선다고 보아야 겠지요. 제생각이니 정답이라고 생각하지 마시기 바랍니다. 참고만 하세요.
초보님 안녕하세요.
조사님들이 대체적으로 쓰시는바늘에 대해서
몇가지만 말씀드리겠습니다.
우리가 일반적으로 붕어을 낚을때 쓰는바늘은 붕어바늘7호나 8호를
가장 많이 쓰는걸로 알고있습니다.
그러나 대물낚시의 기본은 튼튼한 채비에서 절반의 성공을 볼수있다고 보아야 합니다.
대물낚시를 하다보면 수초에 걸림이 하루에도 몇번씩 빈번하므로 바늘이
펴지거나 부러지지 않아야 합니다.
하여 붕어바늘 기준하여 13호정도의 크기를 정해놓고
감성돔바늘이나 이세형바늘을 택해서 쓰심이 좋구요,
굵은 바늘에 붕어가 이물감을 느끼는것은 당연합니다.
그러나 떡밥낚시를 해볼때 흡입하는 과정에서 떡밥의 입자와 바늘이
거의 동시에 입으로 들어갑니다. 그러면 당연히 이물감을 느끼고
바늘을 밷어내겠지만 이미 찌는 수면위로 몇마디이상 오른상태일겁니다.
생미끼를 주로사용하는 대물낚시에서도 마찬가지로
새우를 미끼로했을때 붕어는 타액으로 새우를 녹이며 천천히
먹이을 취하면서 봉돌을 들어올립니다.
그과정에서 이물감을 과연얼마나 느끼느냐는 붕어말고는 모릅니다.
다만 붕어가 이물감을 느꼈을때는 찌부력보다 봉돌의 무게를 너무무겁게 했을경우나
양바늘 채비했을때 한쪽바늘이 밑걸려서 봉돌을 올리지 못하는경우 등의 외적인요소
가 있겠지만 , 한가지 분명한것은 지놈이 이물감을 느끼기 전에 이미 조사는
챔질에 들어간다는 것입니다. 찌맞춤이나 여러가지 테크닉에서 붕어보다 앞선다고
보아야 겠지요.
제생각이니 정답이라고 생각하지 마시기 바랍니다.
참고만 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