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물낚시

· 생미끼 붕어 대물낚시에 대한 문답, 또는 정보의 제공이 이루어지는 곳입니다,
· 게시물 성격에 따라 적합한 게시판으로 이동될 수 있습니다.

대물낚시 이게 무슨낚시인가여?

내림 . 바닥. 중층. 등등...대충은 알겟는데.. 대물낚시..조금은 이해가 가기는함니다만... 다대피고 힘들지만 떡밥낚시하면...떡밥낚시..라칭하나요? 다대피고 미끼를 뭘쓰면 대물낚시라 칭하나요.? 큰것을 만나기위한 조건은 여러가지라 보여지는데...계절 날씨 미끼..등등... 새우에 잔챙이가 나올수도 있고...떡밥에 4짜가 올라올수도 있고...지렁이에 올수도 있는데....옥수수에 고구마에..다양하다보여지는데.. 대물낚시 선별력있게 해서 잡는다에서 대물낚시인가요? 한가지 질문좀 드림니다... 미끼가 달라서 대물낚시인가요? 낚시대 댓수가 많아서 대물낚시인가요? 요즘 낚수대 바꿀려는 맘에 눈만 돌아가고.ㅠㅠ 물낚시시즌이네요 행복한출조길 돼십시요~~^^*

황금가물치님께서 쓰신 글중에 답변이 있는걸로 보입니다.^^ 알고 계시는듯...

대물낚시 말 그대로 대물을 낚는 낚시 아닐까요? 감히 상상도 할수 없는 원줄에 목줄 그리고 바늘은 바늘같지도 않고

무슨 쇳덩이 달아놓은듯한 크기에 미끼도 큰새우에 메주콩 옥수수도 기본 3~5알은 껴주고 작은 씨알들은 먹고 싶어도

한번에 꿀꺽못하게끔...오로지 큰늠들만 꿀걱..그리고 수초들을 끼고 하는것은 기본이고..맹탕지역이면 바닥을 더듬어

고기가 타고 오를만한곳 등등 그렇다고 떡밥낚시를 한다고해서 대물낚시가 아니라고는 말을 못하겠네요..

떡밥으로도 대물을 낚기위해 낚시하시는분들을 봤기에..단 떡밥이 일반 떡밥의 물성을 가진게 아니고 완전 찰지고 딱딱하게해서

서서히 물속에서 오랫동안 있을수 있게 하시던데요. 그것또한 저는 대물낚시라고 생각합니다.

집어가 아닌 자연그대로의 상황에서 큰고기잡는 낚시 그게 대물낚시 아닐까요?
남들도 다 마찬가지 겠지만, 처음에는 낚시대 한대 두대로 시작 해서
차차 대물낚시 스타일로 바뀌어 갑니다.

틀린 것이 분명히 있습니다.

일단은 바늘 크기가 틀리죠 작은고기는 안잡겠다는 말입니다.
떡밥으로 밑밥질을 안합니다. 잔고기 안불르겠다는 소리 입니다.
다대편성을 합니다. 입질이 그만큼 없으니 확율을 높이겠다는 말입니다.

글쓰신분은 이미 대물낚시의 특이성을 잘 알고 계시니 여기까지만~~


미끼가 달라서 대물낚시인가요?
낚시대 댓수가 많아서 대물낚시인가요? ---> 이것에 대한 저의 답변은
미끼가 달라서 대물낚시 이고 낚시대 댓수가 많아서 대물낚시이고
밑밥질을 안해서 대물낚시이고 작은고기의 입질을 원천 봉쇄도 대물낚시 입니다.

즉 다시 말씀드리자면 작은붕어를 낚지 아니하고
큰붕어만 노리는것이 대물낚시 라고 말씀을 드리고 싶습니다.
말 그대로 대물낚시 입니다... ㅎㅎ

보다 큰 사이즈를 보기 위해서

잔씨알은 피하기 위해서

채비도 무겁게 바늘도 크게

미끼도 떡밥보다는 생미끼로

미끼를 생미끼로 하다보니

집어를하는 떡밥과 달리 붕어를 모으는 것이 아니라 붕어가 회유하는 길못에서 매복해야 되기에

점더 활률을 높이기 위해서 다대 편성은 불가피합니다...
중부권은 거의가 섬유질 떡밥으로 다대 편성하는 대물낚시가 대세 입니다
하루밤에 미끼교체 한번 아니면 그대루 죽 초저녘에 달아둔 글루텐에 아침에도
찌를 올려주네요 물론 배스와 블루길 땜에 그렇게 된거죠
좀 더.. 둔하고 느리게.. 잔챙이 입질이라도 받을려고 하지 않는

다분히 인위적인 한방불루스 낚시라고 할 수 있읍니다.

큰 바늘 큰미끼 튼튼한 채비..

모두 잦은 입질과는 떨어진 이야기이고요..

자기만족과 고집이 제일 심한 낙시가 대물낙시고..

그에 따른 귀차니즘도.. 묻혀가는 게으른 낙시이기도 합니다.

그냥 그런 생각입니다.

대구리 하이소.
대물낚시한수라도 대물을노리고 하는낚시가아닐까싶네요 기다리는낚시....
서로의 견해와 생각이 다른게 낚시의 무궁무진한 방법이고 배워도 문제로 남고 풀어 나가는게 낚시의 배움이라 보고 있구요
어찌 됬던간에 내가 준비한 낚시대로 잡고 즐기면 그게 대물이요 떡밥이요 여러 장르의 낚시가 아닐까 생각 됩니다.
대물을 노리니까 대물 낚시 아닌가요~~
미끼랑은 상관 없고 저는 그렇게 생각 하는데
대물낚시란 한방입니다
밤세워 1마리만을위해..
손맛이런가 잊은지 오래입니다
저의 소견은 고탄떡밥을 미끼로 이용하시는 떡밥대물낚시도 있고
낚시대 한대로 생미끼 달고 수초근처에 넣어 놓고 큰붕어 기다리면
이 또한 대물낚시 아니겠습니까!
단지 다대편성을 하시면 그만큼 확률은 높아지겠지요.
그래서 저는 떡밥이건 대물이건 그냥 바닥낚시한다고 합니다.
외대일침이나 다대편성이나 다른분들께 피해않주고 본인이 즐거우면 최고인것 같습니다.
월척하세요.
주위시선 생각하지마이소...
옥시시 한알달고해도 본인이 대물을 잡겠다고 마음먹으면 대물낚시입니다...
옥시시 한알달아도 목표는 대물이니까 대물낚시입니다...
이걸두고 다른사람들이 "그게 무슨 대물낚시야" 이렇게 이야기하는사람이 이상한겁니다...
대물하이소...
대물낚시는 마음이 바다와 같은 낚시입니다.

즉,자연을 소중하게 생각하는 낚시라 사료됩니다...^^
낚시의 장르가 중층 내림 떡밥 대물 등등이 있습니다.

낚시의 장르마다 각각의 특색이 있습니다 미끼 운영이나 채비 장비 포인트 공략 등등이 모든게 다 다르죠.

모든 장르의 낚시의 딱 하나 공통적인 특징은 어떤 장르든 큰 대어를 잡고 싶어하는 욕망은 다 똑같습니다만 그렇다고 모든 낚시가 대물 낚시는 아니죠.

중층대 내림대 떡밥대에 생미끼를 달고 다대 편성 한다고 다 대물 낚시 일까요?

반대로 대물대에 대물채비로 떡밥 중층 내림 낚시를 한다고 떡,중,내림 낚시일까요?

떡,중,내림의 공통점은 집어제 및 떡밥을 사용한다는겁니다.

즉 고기가 있을 만한 포인트에 집어를 시켜 치어 및 떡밥에 반응하는 모든 잡어의 고기들를 불러 들인다는거죠.

하지만 대물 낚시는 떡밥을 사용해도 집어의 계념도 없고 떡,중,내림같이 스윙질을 잘 하지도 않고 미끼 운영에서 고기의 선별력을 같고 있습니다.

대물이 있을만한 포인트(갈대 부들 뗏장 육초 마름 연밭 줄풀 등등) 대물이 다릴만한 회유로에 큰 대물들이 좋아 할 만한 미끼를 사용해 진을 치고 시간과의 싸움을 한다고 봅니다.

이렇듯 각각의 장르의 특색에 맞는 장비나 채비를 그 낚시 장르에 맞게 갖추고 운영 및 포인트 공략을 해야지 중,내,떡,대물낚시라 할 수 있겠습니다.
큰 붕어 잡을 확률이 높은 채비로 하는 낚시.
미끼보다는 큰거를 노리는 마음을 가지고 기다릴줄 알면 대물낚시 아닐까요

그러다보면 미끼 잘안갈고 다대편성은 필수가 되겠네요..
자기 쓰레기 잘치우는게 대물낚시입니다~
대물 낚시란...
1. 대물
2. 30.3cm 이상되는 붕어는 월척.
3. 35cm 가 넘는 붕어를 대물이라고 합니다.
4. 40cm 가 넘는 붕어는 4짜라고 합니다.
5. 50cm 60cm 5짜 6짜 라고합니다.
6. 대물 낚시를 한다는것은...
7. 35cm 가 넘는 붕어를 낚는다는 이야기입니다.
주딩이 덩치 큰넘만 잡는거시 대물낚시입니다.
원줄은 목줄은 로프 수준
봉돌은 닻 수준
바늘은 주낚 수준
미끼는 주먹 수준
이정돈 되어 줘야 "아 저늠 대물낚시 하는구나~"하죠
생미끼나 옥수수로 대물을 주대상어로 노리는 낚시입니다.
이미 여러차례 언급된 바 패스합니다...
잔챙이가 입질하는 것 자체를 못보도록 채비를 해서 그 무거운 채비를 유유히 끌어올리는 놈을 챔질해 내는 것~~~

제 주변분들은 4짜 이하는 월척이라는 말 자체를 쓰질 않는 분들이 계십니다.

36cm를 잡고 하신 말씀 ---> "눈만 붙어 있는 놈이 나왔다~~"



2025 Mobile Wolchuck