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수의 입장에서는,,,,
찌의 재질과 찌맞춤 및 찌모양에 따라 틀리지만, 일반적으로 역다루마형이 무게 및 부력 중심이 하부에 있다보니 찌솟음폭이나 찌올림이 조금 둔하고 중후하다고 생각합니다.
찌 모양의 각진 부분에 따라서도 조금의 차이도 있구요. 물론, 다루마형의 윗부분이 찌올림시 물의 저항을 더 많이 받으니 중후할수도 있겠네요.
개인적으로는 찌 입수와 올림폭이 커서 역다루마형 찌를 좋아합니다.
싸그리님의 댓글에 공부 많이 하고 갑니다.
한가지만 추가하자면, 찌의 움직임은 찌 자체의 부력이나 자중 찌맞춤 등에 따라서도 입질 형태의 차이가 있지만, 싸그리님 말씀대로 붕어의 미끼 흡입이나 지형, 지물,,, 기타 상황에 따라 찌 움직임이 다르게 나타납니다.
그리고, 찌의 모형에 따라서도 움직임이 분명히 달라집니다. 물속에서의 움직임에 대한 물의 저항 때문이지요.
그중에 가장 무난한게 막대형찌이구요.
마지막으로 옥내림에서 사용하는 친수성 찌도 찌와 물의 마찰저항이랄까요? 암튼 그러한 이유로 물먹는 찌를 사용하는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찌의 재질과 찌맞춤 및 찌모양에 따라 틀리지만, 일반적으로 역다루마형이 무게 및 부력 중심이 하부에 있다보니 찌솟음폭이나 찌올림이 조금 둔하고 중후하다고 생각합니다.
찌 모양의 각진 부분에 따라서도 조금의 차이도 있구요. 물론, 다루마형의 윗부분이 찌올림시 물의 저항을 더 많이 받으니 중후할수도 있겠네요.
개인적으로는 찌 입수와 올림폭이 커서 역다루마형 찌를 좋아합니다.
고기가 중후하게 올려줘야 중후하지 않을까요?
제 아무리 좋은 찌라도 고기가 깐족댄다면야...
찌 중심이 잘 잡히고, 일정 부력을 가진 찌는 찌 표현이 깔끔하죠.
이런걸 '중후하다'라고 표현하나요?
저부력찌로 바닥낚시를 하게되면, 봉돌에서 찌까지 슬로프(Slope)가 생겨서 찌올림이 이쁘질 않습니다.
슬로프가 많을수록 찌가 올라올때 찌가 전후좌우로 이동하는 양이 많아집니다.
일반적으로 막대찌라 하는 것들(찌몸통이 긴 형태)이 표현이 깔끔하죠.
근데 좋은 우리나라말 놔두고, 섬나라말을....
소재,형태,찌길이,무게 등등....
제 짧은 경험으로는 막대형 찌를 추천하고 싶습니다.
맨바닥과 수초지대를 골고루 쓸 경우를 고려하면 더욱 그렇습니다.
점잖고 가장 정직하게 올라오는 것 같습니다.
스모그님 말씀이 맞네요^^ 고추형이라 표현해도 되는데~~
근데 스모그님 닉네임도 섬나라 말은 아니어도 물건너 온 말이 아닌가요
동우아빠님 저도 지금 막대형 찌를 오래동안 사용하다보니 몸통 형태가 다른 찌를 써보고 싶어 문의드린겁니다
동산님 댓글 감사합니다^^
저부력이냐 고부력이냐 고기 크기와 물괴기 식성에 따라 틀리겠지용..
붕어가 올리는 힘이 1
찌톱의 부력이 0.5 이물감이 줄어 편하게 상승시키겠죠..
단 너무 작은 고기들은 바늘을 삼키지 못하는 경우가있지요..
결론.. 그냥 제 개인이 생각하는 잡소리..
때에따라 채비의 무게와 목줄의 단차 등등만 생각할뿐.. 찌의 모양새는 신경안씁니다.. 저부력 고부력..
한가지만 추가하자면, 찌의 움직임은 찌 자체의 부력이나 자중 찌맞춤 등에 따라서도 입질 형태의 차이가 있지만, 싸그리님 말씀대로 붕어의 미끼 흡입이나 지형, 지물,,, 기타 상황에 따라 찌 움직임이 다르게 나타납니다.
그리고, 찌의 모형에 따라서도 움직임이 분명히 달라집니다. 물속에서의 움직임에 대한 물의 저항 때문이지요.
그중에 가장 무난한게 막대형찌이구요.
마지막으로 옥내림에서 사용하는 친수성 찌도 찌와 물의 마찰저항이랄까요? 암튼 그러한 이유로 물먹는 찌를 사용하는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