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물낚시

· 생미끼 붕어 대물낚시에 대한 문답, 또는 정보의 제공이 이루어지는 곳입니다,
· 게시물 성격에 따라 적합한 게시판으로 이동될 수 있습니다.

대물낚시?

얼마안된 초보인데요,예민하게 써야한다고해서,가볍게 했다가,잔챙이 성화에 밤새 시달리고 꽝 했어요. 찌맞춤에 문제가 있었던거 같아요.어떤 찌맞춤이 이상적인지 조언 부탁 드려요. 감사합니다.

정답없는 질문...

고수님들 만날때마다 드렸던 질문입니다...

삼나무는 통통 튀고,,오동은 어떻고....... 하다못해 봉돌대신에 볼트를 매달아 놔도 올릴놈은 올린다라는

이야기까지 들었지요...

소위 말하는 대물찌를 사용하신다면 수평맞춤 하시면 무난하다고 생각합니다..

낚시대도 그놈이 그놈이지만.....예민한 양어장 떡밥낚시가 아니고 노지낚시라면

대물찌분만 아니라 일반찌 맞춤 역시 수평맞춤이 가장 무난한다고 생각하는 일인입니다...

498 하세요
대물낚시 전형적인 무거운 맞춤을 기본 사향으로 깔고 가지요~~

저는 전에 재질에 따라 다르게 맞추곤 했습니다..

하지만 근래에 들어 와서는 캐미 빼고 수조에서 최대한 천천히 바닥에 안착하게 맞춤니다...

일반적인 교과서 적인 맞춤은

수조에서

삼나무 : 정말 최대한 천천히 내려가서 바닥에 안착하게....(행낚 물사랑님 맞추는거 보시면 바닥까지 안착되는데 대략 30초 소요

오동 : 바닥에 서 통통 2번 정도 튀게....

그외 발사 / 부들 / 수수 / 기타 등등 가벼운 소재 : 오동 보다 약간더 무겁게 ...

요렇게 하였을때 찌 놀림이 가장 좋다고 합니다....

하지만 어디 까지나 자기와 맞는 듯한 맞춤이 제일 이지요~

오로지 대물 낚시만을 추구 하신다면 다소 약간 무겁게 하시는것이 좋을듯합니다...
문제지요 .... ㅠ

저는 조금무겁게쓰고있습니다..ㅎ
전 수평맞춤합니다
내년엔 무거운 맞춤을 해볼까하네요
올려 줄넘은 다 올려줍니다....

대물낚시답게 좀 무거운 맞춤을 하시는게 정신건강에 좋을듯 합니다....

찌맞춤에 정석은 없지만 자기만의 채비에 믿을을 가지시길 바랍니다...

즐겁고 행복한 출조하십시요~~!!!
음.. 찌맞춤 보다는 미끼 선별이 더 중요 한것 같구요..상황에 따라서 가라 앉아서 안뜨면 거짐 대충 써도 무난 할듯여.. 요즘은 바닥이 지저분한곳이 많으니 봉돌도 한번 생각 해보시고 바꿔 보세요.. ㅎㅎ
찌맞춤 만큼 어려운 과제도 없습니다

한두번 테스트로 찌맞춤을 얘기하기는 어렵습니다

특히 하절기에는 잔챙이들의 성화가 심합니다

여러번 하다 보면 본인에게 맞는 맞춤이 나올 겁니다

행복하고 건강한 출조 되십시요
무겁게 맞추더라도 잔챙이 성화에는 당할수 없습니다.
미끼등을 바꾸어 보시거나 다른 방법을 쓰셔야 할것 같습니다.
저는 삼나무 무거운찌맞춤을 하는데요
작은붕애나 큰붕어나 올리는데는 지장없더라구요
그래서 입질빈도가 조금 적더라도
이렇게하고있읍니다
네, 결론은 늘 자연에 맞기는 거군요.감사합니다.아무리 잔재주 부려도 자연은 잔인 하다는거.....
대물낚씨 하는이유중에하나가
무거운 묵직한 찌올림 보려고합니다...

밤에 케미가 묵직하게 올라오는거 희열을느끼죠...

그런찌올림을 보기위해 생미끼 대물낚시할경우 천천히 가라앉게 맞춥니다 케미끼운상태서..

예민한찌맞춤은 베스터나 입질이 거의없을때 간혹 사용하는데 역시 씨알선별력도없고 찌올림이 무거운느낌이
없어서 그닥 선호하지는않습니다...

동절기때는 좀예민한게 좋겟쪄 ^^


저수지마다특색이있는데 평균적으로 천천히가라앉게맞춥니다 원줄무게생각해서 천천히입수후 천천히 올라오는찌맞춤도
하고요 ^^

붕어크기보단 밤에 찌올림보는맛으로 낚시댕깁니다 ^^
항상안출하시고

대물 기원합니다..^^
걍 지나가는 일인.

질문의 요지를 알수가 없기에 걍 주저리 주저리..

예민한 찌맞춤을 얘기하셨는데..

생미끼를 쓰시는지 떡밥을 쓰시는지 기술해 놓으셔야 답이 나올듯 합니다

떡치기 하시면 예민함이 맞고요..

생미끼를 하시면 약간은 무거운 채비가 좋을듯..

가까이에 거주하시는 월척 선배님과 인연을 만드셔서 조언과 현장 실습을 겸하심이 정답일것 같네요.

낚시로 행복만 낚으시길 기원합니다
저도 대물낚시 입문한지 이제 5개월정도 되는데요...
전 캐피꽂고 수평맞춤 한다음 줄 매듭할때 가지채비할수 있게 8자도레하나 추가하고요, 봉돌을 바로 달지 않고 도르레를 하나 달고
봉돌을 답니다. 거기에 바늘 무게까지 하니깐 약간 무겁게 되면서 잔챙이성화를 피할수 있구요.
예신은 좀 빨리 파악되는거 같습니다.
이건 순전히 제가 해보고 말씀드린겁니다.
위에 선배님들이 말씀하셨던것 처럼 찌 맞춤에는 정석이 없으며, 몇가지로 하신다음 출조후에 자신에게 맞는 맞춤이 좋습니다.
ㅎ찌맞춤엔 정답없구요 자신이 편하게 쓰심 됨니다

쿵 떨어지고 찌 안올라와도 붕어들 시원하게 찌 올려줍니다^^
정답은 없습니다.

나만의 채비가.........최고가 아닐런지요.
도움이 되실련지 모르겟습니다
제가 하는 방법을 적어 보겠습니다
찌 마춤은 현장 찌마춤을 원칙으로 한다
바늘까지 달고 케미만 빼고 수평 찌마춤을 한다
그리고 케미 꼿고 낚시를 한다
제가 사용하는 기본입니다
저도 처음에는 누가 이게 좋다 카드라 하면 그렇게
또 이게 좋다고 하더라 하면 이렇게
월척에만 해도 많은 고수들이 각기 다른 찌마춤을 하고 있는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금자님의 기준을 먼저 정해 놓구 지속적으로 사용하다 보시면
그 마춤에 도사 될때 있을 것으로 생각 됩니다.
조금 무거운 찌마춤도 작은 붕어도 들어 올립니다
그리고 잔챙이 성화는 대물꾼이 극복해야 될 상황중에 하나 라고 생각 합니다
위에 어느 분의 댓글에 사용하는 미끼를 알아야
체비에 대해 말할수 있다고 하셨는데 그말이 정답이라고 생각 합니다
찌 마춤만으로는 잔챙이를 글러 낼순 없습니다
미끼의 선택이 어는 정도는 잔챙이 성화를 글러 낼수 있다고 생강각 합니다.

이런 글쓰다 보니까 두서가 없네요
꼭 님에게 딱맞는 채비 만들어 내시길
님의 글을 읽어보면 가장 문제되는게 '밤새 잔챙이 성화에 시달렸다...'라는 건데요... 그럼 찌마춤때문에 그렇다는 말씀이시지요? 조금더 무겁게 하시면 되겠네요... '누가 이렇게 하라더라...'라는 말이나 글을 읽고 하시면 나중에 다시 원상복귀 됩니다. 경험이 가장 훌륭한 스승입니다. 지금의 찌마춤이 가볍다면 조금만 더 무겁게 해보시고 그래도 가볍다면 조금더 무겁게... 그렇게 하시다가 본인에 딱 맞는 찌올림과 본인이 원하는 낚시를 하시게 된다면 그게 가장 현명한 찌마춤 아닐까요?



2025 Mobile Wolchuck