예전(3년전쯤)에 어느 사이트 조항글을 보았는데 경북 건천쪽 소류지에서... 글쓴이는 메주콩과 새우로만 승부를 하고 있었는데
반대편에서는 밤새도록 고기가 올라오더랍니다. 그래서 아침에 미끼를 확인 하니 현지 동네 분 이였는데 오징어 몸통을 채썰어서 미끼로 활용하더랍니다. 이저수지는 오징어가 최고라면서요...^^;;
한번 도전 해 보세요...
노지는 아닙니다만 유료터(안성 산우물낚시터)에서 오징어로 대박친 적이 있었습니다.
무채 썰듯이 3cm 정도로 달아 놨더니만 지렁이 올리듯이 잘 올리더군요. 물론 활성도가 좋았던 날이었기에 그랬겠지만요.
지렁이는 한 마리 잡을때마다 갈아끼워줘야 하지만 오징어는 잘 떨어지지도 않고 두세번까지 쓰기도 했었습니다.
짜장은 물론이고 바닥에서 묵었던 토종붕어나 잉어까지... 한 마디로 환장들을 하더군요.
그 후론 그 낚시터에 갈 때는 가능하면 오징어 갖고 갑니다. 그 날처럼 대박은 아니지만 지렁이와 비교해서 차이가 별로 없지만 미끼교환 측면에서 편리성은 그만입니다.
일명 반건조 오징어 피대기는 사용해봤습니다.
노지보다는 유료터가 잘먹히는곳이 많더군요.
노지는 반응 없던데요...
아무래도 양식하는사람들이 사료보다는 가격이 싼 냉동오징어를 갈아서 사료와 먹여서 그런것 아닌가 싶은생각이 드네요...
대박친 낚시터는 파주에 양어장이고 이름을 대면 다 아실테니.
힌트 ㅏ하우수도있고, 1호지 ,2호지도 있고 대물낚시터 이렇게 커다란규모의양어장이라면 다 아실테니 거기까지만...ㅋㅋㅋ
새우, 참붕어, 콩, 콘 등을 써 본적은 있지만
생오징어를 쓴다는 애기는 첨이라...
당황스럽습니다. 조과가 있을런지...
저도 고수님들의 답변을 기다리고 있지요...
오징어의 하얀 살과 비릿한 냄새가 붕어를 유인할 수도 있겠는데요...
잘은 모르겠습니다...
혹시, 사용해보신 님이 계시다면 저도 조과가 궁금하네요...^^
저는 "우동, 거머리, 껌"까지는 사용해봤습니다..
ㅋㅋㅋ
대물하시길...
믿거나 말거나...........
이제 낚시갈땐 필수품입니다 뻔데기
주로 미끼용이라기 보다 안주로요....
딱 한번 잡아 봣습니다 .....
시도는 한 세번 햇나 그래요 .... 마땅한 미끼가 없엇을때
떡밥이나....생미끼 같은거 말고...인조미끼 같은거....계속 사용가능한걸로.......
붕어 좋아하는 맛과 향에......잔챙이에 견디면서.....먹지못하고....
바늘에서 이탈될걱정없는....
그리고 지저분한 바닥에 함몰될 걱정도 없고...뭐 그런 미끼 만들면......대물낚시 미끼값도 절약되고 좋을텐데....
빨리 누가 그런거 개발해보셔요~ ㅋㅋㅋ
1, 꼬추튀김 : 풋고추 잘라서 속을 파내고 지렁이를 글루텐 가루 입혀서 차곡차곡 넣고 삶은다음 적당 크기로 잘라사용.
(잡고기 달라들면 붉은고추 사용)
2,방울 토마토 : 이넘 달면 잡고기 얼씬 못할것 같아서
3,호박 : 적당크기로 잘라서, 호박씨도 가능할까
4,매실 : 매실 술담그고 꺼집어낸 쫀득쫀득한 것(술기운이 남아 있는것)
5, 풍선껌 : 풍선 쪼매 불어서 바늘에 달면 미끼 함몰하지 않을거 같아서
ㅋㅋ 미쳐따고요. 마자요 나 도라서요. 고기를 몬자바서요
기냥 한번 웃고 가세요 필 받어면 한번 사용해 보세요
붕어는 별로 인듯 않 먹던데요 ......
과연 대어낙시에 적용될수 있을지 기대가 됩니다..
자라 잡는다고 주낚에 닳아놓더만여..
오징어는 글세유~~~~~~~~~~~~
잡고기가 많이 설칠것같은돼요>>>
반대편에서는 밤새도록 고기가 올라오더랍니다. 그래서 아침에 미끼를 확인 하니 현지 동네 분 이였는데 오징어 몸통을 채썰어서 미끼로 활용하더랍니다. 이저수지는 오징어가 최고라면서요...^^;;
한번 도전 해 보세요...
무채 썰듯이 3cm 정도로 달아 놨더니만 지렁이 올리듯이 잘 올리더군요. 물론 활성도가 좋았던 날이었기에 그랬겠지만요.
지렁이는 한 마리 잡을때마다 갈아끼워줘야 하지만 오징어는 잘 떨어지지도 않고 두세번까지 쓰기도 했었습니다.
짜장은 물론이고 바닥에서 묵었던 토종붕어나 잉어까지... 한 마디로 환장들을 하더군요.
그 후론 그 낚시터에 갈 때는 가능하면 오징어 갖고 갑니다. 그 날처럼 대박은 아니지만 지렁이와 비교해서 차이가 별로 없지만 미끼교환 측면에서 편리성은 그만입니다.
즐낚하세요.
먹다가 반쯤 흘려서 주서 먹긴 그렇고.. 입질도 없는데 한번 달아보자 하고 엄지 손톱만한 크기로 달아서 던져봤는데
30분도 안되서 8치 낚은 경험이 있습니다 ^^
물론 폭발적 입질 이런거 아니구... 던저 놓구 버티다 보니 어쩌다 한 두수.... ㅎㅎ
특히 수박은 잉어 입질 잘 오더군요.
붕어보다는 메기나 자라가 잡힐듯요~
입맛대로 먹이을 먹을수있겟네요~~ㅎㅎ
덕분에 좋은정보 많이 얻었습니다.^^
붕어의 습성으로 본다면 가능하지 않을까 생각합니다.
개인적인 경험으로는 김밥 속에 있는 쇠고기로 7치 붕어를 만난 적이 있습니다.
준계곡형 아직 채 삮아내리지않은 말 사이로 8대편성
6대:오징어다리
2대:메주콩
자정쯤에 첫입질 콩-50다마 잉어
20분뒤에 다시 콩에50다마 잉어한수추가
오징어에는 계속되는 잔입질 옳은챔질 한번못했음
미끼손상은 없었습니다.
될때까지 믿음을가꼬 해볼랍니다.
노지보다는 유료터가 잘먹히는곳이 많더군요.
노지는 반응 없던데요...
아무래도 양식하는사람들이 사료보다는 가격이 싼 냉동오징어를 갈아서 사료와 먹여서 그런것 아닌가 싶은생각이 드네요...
대박친 낚시터는 파주에 양어장이고 이름을 대면 다 아실테니.
힌트 ㅏ하우수도있고, 1호지 ,2호지도 있고 대물낚시터 이렇게 커다란규모의양어장이라면 다 아실테니 거기까지만...ㅋㅋㅋ