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물낚시

· 생미끼 붕어 대물낚시에 대한 문답, 또는 정보의 제공이 이루어지는 곳입니다,
· 게시물 성격에 따라 적합한 게시판으로 이동될 수 있습니다.

대물 바늘

  • Hit : 3765
  • 본문+댓글추천 : 0
  • 댓글 2
안녕하세요. 하루에 한가지씩 여러고수님들께 한수씩 배우다 보니 실력이 많이 나아졌습니다. 어제 습지에서 떡밥 낚시를 하는데 옆 조사님만 유난히 수초에서 1.5에서 20대 정도로 무려 월척을 네수나 하시는걸 보고 채비를 여쭤 보았더니 바늘을 3호나 4호를 쓴다고 하면서 사짜까지도 이 바늘로 무난히 제압한다고 합니다. 저같은 경우에는 대물낚시를 할때는 큰 바늘을 쓰지만 떡밥낚시 할때는 6호의 바늘을 쓰는데 고수님들의 고견을 듣고 싶습니다. 날씨 변동이 심하니 여러분들 건강 조심하시고 늘 행복하시길......

안녕하세요.

낚시 환경이나 상황에 따라 고기가 다니는 길 목이라는 것도 있을 테고

수초나 떡밥 등 몇가지 요인이 있을 수 있습니다.

저 수온기 떡밥 낚시를 할때 떡밥 낚시를 하는 사람들이 택하는 방법 중 몇가지는

호수가 낮은 가는 줄, 저부력찌, 민감한 찌맞춤, 작은 호수의 바늘 입니다.

'작은 호수의 바늘'이 도움이 되기는 합니다. 봄철 산란기가 다가오고 수초등

주변 환경에 따라 바늘과 원줄 목줄을 선택하시는 것이 좋겠습니다.

저의 경우 5호에서 8호까지 바늘을 주로 사용합니다.

그 아래 바늘들은 전층 낚시를 할 때에도 거의 사용하지 않습니다.

날씨와 그날의 일사량, 붕어의 활성도, 등에 따라 바늘의 호수가 크다 하더라도

떡밥을 작게 달아주면 풀리는 속도와 흡입에 도움이 되므로 바늘의 크기가

크게 지장을 주지는 않습니다. 양어장 처럼 걸림이 전혀 없는 곳의 낚시라면

적당한 중층대와 0.6호 원줄과 0.3호 목줄과 3호,4호 바늘을 사용하여도 상관없겠지만 수초대를 누비고 곳곳의 걸림이 예상되는 노지에서 5호 바늘 이하를

사용하고자 한다면 자신의 낚시 방법과 여러가지 스타일을 고려해야 한다고

생각됩니다.

바다 낚시를 할 경우 유독 옆에 사람이 입질을 잘 받는 경우 틀림없이 목줄을

타는 것이라 여기고 아주 가는 원줄을 사용하여 망상어를 잡을때 뜰채로

떠올리는 것을 보기도 했습니다.

바늘이 작다고 무조건 좋은 것은 아닙니다.

챔질시 물 속에서 바늘이 회전을 합니다. 너무 작은 크기의 바늘이 회전하다 보면

젖혀지는 각도와 회전 속도로 인하여 붕어가 뻐끔 하고 입을 열었을 아주 순간의

시간에 입 속을 깨끗하게 빠져나와버리기도 합니다. 작은 바늘의 단점이지요.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물어주는 것은 붕어 마음이 아닌가 하고 생각합니다..

자연에 겸허하게 순응 하는 것이 다시 한번 자연을 배우는 자세가 아닌가 하고

느끼는 요즈음 입니다...
꼭 바늘이 크다고 또는 작다고 어떤 영향을 주지는 않는듯 함니다
일단은미끼 선정이 우선 이겟지요 미끼에 따라 바늘의 호수 정도를 정하는 것이 순서이겟지요
대물 바늘은 생미끼나 콩 옥수수 등등 을 사용할시 바늘이 작을경우 미끼속에 바늘끝이 묻히기에 입질이 들어 왔을경우 쳄질시 미끼만떨어지고 바늘만 나오겟지요
떡밥같이 연한 미끼일경우에는 조금 다르다고 봄니다
일단 바늘끝에 달린 떡밥은 물속에 들어가면서 부터 부풀어 오르며 천천히 바늘을 이탈하겟지요
그때 입질이 들어 온다면.....쳄질시 후킹이 되는건 당연지사.
그때 바늘이 펴지는 현상은 쳄질이 늦거나 빠를경우 고기입의 연한 살조직에 걸렸을경우가 99%라 생각 함니다
너무 강한 바늘일(케블러바늘)경우는 부러지기 까지 하겟지요
자기가 사용하는 찌의 특성을 파악하고 입질시 정확한 쳄질 이 된다면 고기 입언저리 연골에 바늘이 박히게 되어 펴진다해도 아주 약간이며 부러지지도 않을검니다
사용하시는 바늘이나 찌에 신뢰를 하시고 정확한 입질파악과 쳄질을 하시기 바람니다
어복 만땅......^^



2025 Mobile Wolchuck