진짜사나이님! 안녕하세요.
지렁이의 입질은 간파가 조금 어렵습니다. 떡밥의 대가들도 지렁이의
어신을 잘 못잡아내는 분들도 있습니다. 정점에서 채셨는데 걸림이
안되었다면 챔질의 시기를 조정해 봐야 합니다. 저수지마다
입질의 형태가 틀립니다. 어떤 고수님은 첫번째 올림은 그냥
관찰만 한답니다. 찌올림에 대한 연구를 하여 그다음의 입질은
놓치지 않는답니다. 수시로 찌올림에 대한 생각과 연구를 하셔야 합니다.
각종 미끼에 대한 찌올림이 다 다릅니다. 항상 ?을 생각하세요.
내려가는 찌를 보면 급하게 채지 마시고 여유롭게 한번 당겨도 보세요.
늘 즐낚과 안전이 함께 하기를 바랍니다...
제가 월선이로 잡아 봤는데요 정점에 올라서 찌톱이 껌벅 꺼리면 채면 걸리더군요
끝까지 올라 올때까지 기다리셨다가 깜빡 거리면 채셔도 될껍니다.
하나 원래 지렁이 차체가 미끼가 입질 타이밍이 마추기가 힘듭니다.
대물급들은 새우처럼 자연스럽게 올려줍니다. 9치급만 되어서 쭉빨아 올려서 정점에 치면 되는데 잔챙이일경우엔 챔질 마추기가 쉽지 않죠^^
도움이 되셨는지요.. 그럼 즐낙하세요
안냐세여 사나이님?
우선 ,님께서 찌를 세운 수심과 포인트가 궁금하군요. 그리고 찌의 길이와 형태도 궁금하구요. 찌맞춤법도 궁금함니다. 다만 짐작으로 보아 지렁이 5마리면 대물낙시인데 찌가 짧고 조금 무겁게 맞췃으리라는 생각이 듭니다. 수심도 그리 좋은곳은 아니라는 생각도 들구요.
이런 상황에서 붕어가 입질 햇을때의 속도로 찌가 올랏는데도 없다면 묘한 일이군요. 찌올림의 속도는 억술로 중요한 부분입니다. 큰줄기로 보아 씨알이 작을수록 찌올림은 빠릅니다. 찌의 형태에 따라서도 찌올림은 다르게 나타납니다. 떡밥의 경우에 유선형이나 막대형은 처음은 섬세하나 뒷심은 미흡하구요,오뚜기는 그 반대입니다. 봉돌을 먹는 찌부력의 크기에 따라서도 다르다고 봐야합니다.
젤 궁금 한 것은 찌올림의 속도이네요. 여느때와도 똑같은 속도 엿다면 잔챙이 붕어가 힘겹게 지렁이 꼬리를 물고 늘어 졋으리라는 짐작이 갑니다. 여하튼 속도가 젤 궁금합니다.
지렁이의 입질은 간파가 조금 어렵습니다. 떡밥의 대가들도 지렁이의
어신을 잘 못잡아내는 분들도 있습니다. 정점에서 채셨는데 걸림이
안되었다면 챔질의 시기를 조정해 봐야 합니다. 저수지마다
입질의 형태가 틀립니다. 어떤 고수님은 첫번째 올림은 그냥
관찰만 한답니다. 찌올림에 대한 연구를 하여 그다음의 입질은
놓치지 않는답니다. 수시로 찌올림에 대한 생각과 연구를 하셔야 합니다.
각종 미끼에 대한 찌올림이 다 다릅니다. 항상 ?을 생각하세요.
내려가는 찌를 보면 급하게 채지 마시고 여유롭게 한번 당겨도 보세요.
늘 즐낚과 안전이 함께 하기를 바랍니다...
차라리 옥수수, 토막난 참붕어, 머리뗀 새우를 쓰렵니다. ㅠ.ㅠ
시원 스럽게 올려서 챔질해보아도 후킹이 안돼는 경우가 허다하더군요.
토막난 지렁이, 적은 바늘...별짓 다 해봤습니다.
찾아가는 저수지마다 입질 형태 파악하기도 귀찮아지고...ㅠ.ㅠ
끝까지 올라 올때까지 기다리셨다가 깜빡 거리면 채셔도 될껍니다.
하나 원래 지렁이 차체가 미끼가 입질 타이밍이 마추기가 힘듭니다.
대물급들은 새우처럼 자연스럽게 올려줍니다. 9치급만 되어서 쭉빨아 올려서 정점에 치면 되는데 잔챙이일경우엔 챔질 마추기가 쉽지 않죠^^
도움이 되셨는지요.. 그럼 즐낙하세요
지렁이미끼에 아주 가끔은 정확한 챔질타이밍을 주는 입질이
있기도 하지만 보통 지렁이낚시에서는 찌놀음이 복잡하여
챔질타이밍을 잡기가 어려운 특성이 있습니다.
앞으로 어떤 낚시를 하시다가 맞다는 생각으로 챔질을 했는데
걸림이 되지 않는 경우를 겪으시게 되면
챔질을 그보다 한박자 늦추어 보십시오.
그것이 정확한 챔질타이밍이 되는 경험을 자주 하시게 될것 입니다.
항상 안전조행 하시고 좋은밤 낚으십시오~~
우선 ,님께서 찌를 세운 수심과 포인트가 궁금하군요. 그리고 찌의 길이와 형태도 궁금하구요. 찌맞춤법도 궁금함니다. 다만 짐작으로 보아 지렁이 5마리면 대물낙시인데 찌가 짧고 조금 무겁게 맞췃으리라는 생각이 듭니다. 수심도 그리 좋은곳은 아니라는 생각도 들구요.
이런 상황에서 붕어가 입질 햇을때의 속도로 찌가 올랏는데도 없다면 묘한 일이군요. 찌올림의 속도는 억술로 중요한 부분입니다. 큰줄기로 보아 씨알이 작을수록 찌올림은 빠릅니다. 찌의 형태에 따라서도 찌올림은 다르게 나타납니다. 떡밥의 경우에 유선형이나 막대형은 처음은 섬세하나 뒷심은 미흡하구요,오뚜기는 그 반대입니다. 봉돌을 먹는 찌부력의 크기에 따라서도 다르다고 봐야합니다.
젤 궁금 한 것은 찌올림의 속도이네요. 여느때와도 똑같은 속도 엿다면 잔챙이 붕어가 힘겹게 지렁이 꼬리를 물고 늘어 졋으리라는 짐작이 갑니다. 여하튼 속도가 젤 궁금합니다.
수심은 80정도구여
여하튼 님들모두 감사드리구여 계속해서 만은 지도편달 부탁드려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