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물낚시

· 생미끼 붕어 대물낚시에 대한 문답, 또는 정보의 제공이 이루어지는 곳입니다,
· 게시물 성격에 따라 적합한 게시판으로 이동될 수 있습니다.

덧바늘채비의 노하우

남다른 덧바늘 운용으로 재미를 많이 보신 경험담을 들어봅니다 특별한 경험이나 채비운용술과 찌맞춤에 관한 지혜를 찾습니다

덧바늘 효과는

침전물(삭은 수초,청태,심한 뻘바닥)을 극복하고 미끼를 노출시키는
이유가 가장 크고

붕어가 사냥층을 바닥이 아닌 중층이나 상층부를
회유함을 노리기 위함도 있습니다

먹이 사냥이 아닌
적정수온대나 적정 산소층을 해맬떄는 띄워도 안먹는다고 봅니다
즉,떠다니는 고기무리를 말하는 겁니다

대부분 편하게 쉽게 현장에 즉시 활용하는 운용술은

3호이상의 뻣뻣한원줄 (원줄과 꼬임이나 근접방지)로
팔자 묶음으로 고리를 만듭니다

원줄 채비를 하실떄
찌와 봉돌사이에 멈춤고무 두개를 예초부터 해가지고 다닙니다

덧바늘의 필요성이 발생하면

멈춤고무사이에 고리로 만든 덧바늘 채비를
봉돌에 바늘채비 다는 식으로 끼워서 뺴면 되겠습니다

부력은

이론적으로는
봉돌위에 자리 하므로 추가 무게가 발생합니다

하지만 우려와 달리
6호 이상의 일반 대물찌에는 무게감이 작용하지 않습니다

예민한 떡밥 찌라면 조금 가볍게 맞출 필요가 있으나
보통의 대물 낚시에는 시간 낭비 일 뿐입니다

찌와 봉돌의 매커니즘은 제글을 참고 하셔도 됩니다

특별한 경험은

고흥 봉암지에서

수심 2M권에서 바닥에서 1m 50을 띠우고
월척을 다수 잡은적이 있는데 일반 바닥층 낚시에는 꽝수준 이었습니다

참붕어 산란기 였는데, 찌에 알을 범벅칠 떄였습니다

표층 가까이자란 말풀 끝자락에 산란을 하더군요..

즉, 상층부에 알을낳는 참붕어의 산란 습관을 알고
이를 노린 대형붕어의 상승이 원인인것 같 습니다

기타

일반적 바닥이 지저분한 연밭에서
바닥에 살짝띄운 지렁이 채비에 입질이 좋더군요...

그럼, 즐거운 봄 맞이 하시길...
"터미박"님 정보감사합니다.

우선 "붕어오르가즘"님 실례가 안된다면 "터미박"님께 저도 몇까지 추가 질문좀 드리겠습니다.

1.입질은 어떤 패턴인가요??

2.덧바늘에는 주로 어떤 미끼를 사용하시는지요??

3.산란철이외에 덧바늘의 위치및 운용술은??(예:노지형 유료터,수로)

※저는 원줄과의 꼬임방지를위해 도래와 목줄(5호모노&4호카본)사이에 오색파이프로 고정하였는데(릴지렁이 채비와 흡사)

입질에 문제가 있을련지요??
이장군님, 안녕하세요?

아는 상식이내에서 답변 드립니다

1번의 입질형태는

떠있는 미끼가 불안정한 상태이므로
초기 입질은 바닥낚시보다 지저분하게 나타나다가
빨리는 입질, 뜨는 입질 고루 나타 납니다

특히 50cm이상 띄울 경우 거의 빨리는 입질이고
바닥에 가까울수록 상승하는 입질도 많이 나타 납니다

내림낚시의 윗바늘의 빨리는 입질,아랬바늘의 상승하는 입질과
같은 맥락으로 이해하심 될것 같습니다

빨리는 힘,상승속도로 씨알도 대충 판가름 됩니다

큰놈일수록 점잖다고 할까요...

어찌됬든 큰폭의 입질에서 챔질타이밍을 잡으시면 될겁니다

2번미끼의 종류는

일반 대물낚시와 같은 방식으로 운용하면 된다고 봅니다

떡밥도 바닥상황에 따라 띄울수있는 문제 입니다

다만 옥수수나,떡밥은 8호정도의 작은 바늘 권합니다

생미끼도,10호 정도의 덧바늘 추천 합니다

한마디로 흡입하기 편한 사이즈가 좋다고 봅니다
지렁이도 두세마리정도,새우도 조금 작다 싶은것...

3,시기별현장 응용술은

낮에는덧바늘 위치가 높아도 입질받기 용이 할수 있으나,

밤에는 바닥에 가깝게 쓰는게 일반적 활용법이라 하겠습니다

참붕어 산란기,저기압,고기가 자주 뒤집힐떄, 고기들의 표층활동이 느껴질떄에는
포인트구명 두곳에 중층이나 상층, 또는 하층에 입질여부를 파악한후
거기에 맞는 높이로 띄워보길 ...

기타

일반적 덧바늘 높이는 덧바늘에 미끼를 끼웠을떄 늘어진목줄의 바늘의 높이가
봉돌에서 1~3cm정도 입니다
바닥에서 살짝 띄워진정도라 하겠습니다

연밭,뻘바닥,이나
미끼가 바닥삭은수초를 뒤집어 씌우고 나올떄 효과 좋다고 봅니다

갈대나 부들밭, 바닥이 꺠끗한 떗장밭,마사토나 돌바닥 등에선
쓸필요 없다고 봅니다
덧바늘의 궁극적목표인 미끼노출이 되기 떄문 입니다

마지막 파이프채비는
만들기 번거롭고,철사편대같은 확실한 벌림이 용이 하지도 않을것 같습니다
3호의 뻣뻣한원줄과 활용성은 같다고 봅니다

마지막으로

바닥이 매우 지저분 하거나 고흥 봉암지의 경우 처럼
특이한 경우가 아니라면 바닥의 믿음을 가지시길 권합니다

야생의 붕어는
뻘속의먹이도 훝어가며 찾아 먹고
수초를뒤집어쓰고 몸을 숨긴 새우도,귀신같이 찾아 먹으니까요...
"터미박"님 정말 감사드립니다(_ _;)

제가 생각하기에는 이게 바로 정보라 생각합니다^^
선배조사님 좋은정보에 감사 함니다........



2025 Mobile Wolchuck