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부력찌로 수초대를 공략을 하여 보면 봉돌이 안착이 부자연스러워 여러번 찌높이를 맞추어도 정확히 입수가 되지 못함을 여러번 경험하였습니다 때때로 가지바늘채비를 부득이 사용할 지언정 밤낚시에 찌가 제대로 안착이 안되면 여러번 풍덩거리는 물소리로 여간 신경이 쓰이는게 아닙니다 그리고 찌불도 훤히 드러나게 되구요
저수온기에는 저도 50cm전후의 찌를 사용할때가 있습니다 낮은 수심에는 반드시 짧은 단찌를 사용하고 또 선호합니다 깊은수심 2~3m권에서는 그래도 장찌가 지놀음 자체가 믿어울때가 있어 가끔 시간이 허락되면 채비를 가끔 교체를 합니다
공략할 포인트 여건을 제외하고, 비중에 관해 추가로 말씀드린다면
무거운 봉돌이든 가벼운 봉돌이든 청풍님의 말씀대로 찌맞춤도 중요합니다
과장되게 예를 들어 하우스의 민감한 찌맞춤 또는 찌소재로 노지에 사용할 경우
한여름 활발한 시기에는 찌가 하루종일 춤을 춥니다 1치도 안되는 참붕어가 찌를 하루종일 드리블을 하고 다니지요.
겨울내 사용하던 장비를 귀찮아서 봄에 떡밥낚시로 잠시 물가에 담근적이 있는데...
정말 급하게 올라오지만 가히 환상적으로 움직이더군요 몇번의 헛챔질 끝에 신경을 곤두세워 잡아 채니 3~5cm정도의 참붕어가 순서대로 올라오더군요 ^^
상대적 개체수가 적은 대물을 노릴려고 할때 느긋한 시간적 여유와 집중할수 있는 거름막이 있어야 합니다 그래서 무거운봉돌로 수초대로 노리며 무거운 찌맞춤으로 참붕어 및 기타 잔챙이의 입질을 걸러 버리는 거지요 ^^
제가 하고 싶은 말씀은 이겁니다
대물을 자주 낚을수 있는 방법중 하나입니다
"집중입니다"
무거운 찌맞춤으로 잔챙이 입질을 걸르고, 고부력으로 채비안착을 안정시키고, 찌를 모두 물에 잠기어 한개의 깜빡이는 찌불에 고개가 휙~ 돌아갈정도로 찌불을 모두 물속에 잠기게 합니다
여름이든 겨울이든 계절에 관계없이 밤을 새워 찌불을 보기란 쉬운것이 아닙니다
얼마나 기회를 놓치지 않느냐가 관건이라고 생각합니다
이야기를 하다 보니 저의 낚시 방법을 조금 말씀드린듯 합니다
제 개인적인 경우이니 참고만 하시고 다른 분들의 말씀도 한번 들어봐주세요
낚시 정말 재밌는 놀이가 아닙니까? 님의 질문에 반가워서 잠시 오바했습니다
아무쪼록 재밌는 낚시생활 즐기시길 바라겠습니다
이야기 주제가 한참 벗어나 각성하고 다시 적습니다
마지막 부분 "새우나 참붕어 미끼를 사용해도 괞찮을까요?"
얼마나 예민할지 모르겠습니다 단 너무 필요이상 예민할 경우
새우는 바닥을 기구요 참붕어는 생명이 다 하기 전까지 까불겁니다
보기에는 조그마한 생명체이지만, 찌와 봉돌이 맞춰진 상태에서 참붕어는 찌를 들었다 놨다 할수도 있습니다 새우는 바닥을 기면서 옆으로 조금씩 깜빡깜빡 쨀수도 있습니다 ^^
물사랑님의 대물찌맞춤 동영상 보시면
삼나무소재의 찌는 서서히 내려가게 맞추시고,
부들, 오돌 소재는 빠르게 내려가는 맞춤을 하시는데요.
떡밥찌는 너무 저부력 말고, 4호이상의 떡밥찌를 사용하시면서 B 또는 2B봉돌을
원줄에 추가하시면 새우의 움직임이나 참붕어의 입질, 3~4치 붕어의 입질은 어느정도 견뎌내지 않을까요?
물사랑님의 동영상을 보면 대물찌로 떡밥낚시할때 영점 맞춤을 한 뒤 떡밥낚시하다가 대물낚시로 전환할시는 B나 2B봉돌을 물려주라는 동영상을 본듯하군요.
떡밥낚시의 찌맞춤은 찌와 봉돌이 수직을 이루는 것이 포인트이며, 대물낚시의 찌 맞춤 포인트는 수직이 아니라 채비의 안착이라고 말하고 싶네요.
바닥이 감탕지역이라 봉돌이 자꾸 가라 앉는다면...긴 목줄이나 가지바늘 채비, 또는 봉돌과 원줄이 연결된 부분에 바늘을 연결하거나 봉돌위쪽의 원줄 부붙에 직접 연결하는 방법도 있습니다.
대물 낚시할 때 왜 고부력의 찌를 사용할까요?
제 생각으론 캐스팅때문이 아닐지 생각됩니다.
가령 4호 정도의 부력을 먹는 떡밥찌에 좁살 봉돌을 달아서 사용하나
7호 정도의 부력을 먹는 새우찌를 조금 무겁게 사용하나 채비가 내려가는
속도는 별반 차이가 없을 겁니다.
다만 고부력의 찌를 사용하는 이유는 밤낚시 하실때 원하는 포인트에 얼마나 안착률을 높이느냐 하는 문제인거 같습니다. 바람이 조금 불때면 저부력의 찌는 원하는 포인트에 넣기가 어렵습니다만 고부력의 찌를 사용하면 상대적으로 봉돌의 무게가 무겁기 때문에
바람의 영향을 어느 정도 줄일 수 있어서 사용하는데 편리하다고 봅니다.그러나 너무 무거운 봉돌을 사용하시면 초릿대가 지나치게 쳐지는 현상이 발생하기때문에 오히려 더 부자연 스러운 캐스팅이 돼지 않을까요? 그래서 대물찌가 6~8호 정도의 부력을 선호하지 않을까 생각해봅니다
단,찌맞춤은 수평보단 약간무겁게해서 서서히 바닥에가라앉는 찌맞춤이면
좋을듯합니다.많은조사님들이 붕어대물낚시에서 고부력수초찌를 사용하시는이유는
수초를뚫고 바닥권에 안착하기위함이지 꼭 대물낚시는고부력찌여야한다는
고정관념을 버리시면 대물낚시를 이해하는데 도움이될듯합니다.
저부력찌로 수초대를 공략을 하여 보면 봉돌이 안착이 부자연스러워 여러번 찌높이를 맞추어도 정확히 입수가 되지 못함을 여러번 경험하였습니다 때때로 가지바늘채비를 부득이 사용할 지언정 밤낚시에 찌가 제대로 안착이 안되면 여러번 풍덩거리는 물소리로 여간 신경이 쓰이는게 아닙니다 그리고 찌불도 훤히 드러나게 되구요
저수온기에는 저도 50cm전후의 찌를 사용할때가 있습니다 낮은 수심에는 반드시 짧은 단찌를 사용하고 또 선호합니다 깊은수심 2~3m권에서는 그래도 장찌가 지놀음 자체가 믿어울때가 있어 가끔 시간이 허락되면 채비를 가끔 교체를 합니다
공략할 포인트 여건을 제외하고, 비중에 관해 추가로 말씀드린다면
무거운 봉돌이든 가벼운 봉돌이든 청풍님의 말씀대로 찌맞춤도 중요합니다
과장되게 예를 들어 하우스의 민감한 찌맞춤 또는 찌소재로 노지에 사용할 경우
한여름 활발한 시기에는 찌가 하루종일 춤을 춥니다 1치도 안되는 참붕어가 찌를 하루종일 드리블을 하고 다니지요.
겨울내 사용하던 장비를 귀찮아서 봄에 떡밥낚시로 잠시 물가에 담근적이 있는데...
정말 급하게 올라오지만 가히 환상적으로 움직이더군요 몇번의 헛챔질 끝에 신경을 곤두세워 잡아 채니 3~5cm정도의 참붕어가 순서대로 올라오더군요 ^^
상대적 개체수가 적은 대물을 노릴려고 할때 느긋한 시간적 여유와 집중할수 있는 거름막이 있어야 합니다 그래서 무거운봉돌로 수초대로 노리며 무거운 찌맞춤으로 참붕어 및 기타 잔챙이의 입질을 걸러 버리는 거지요 ^^
제가 하고 싶은 말씀은 이겁니다
대물을 자주 낚을수 있는 방법중 하나입니다
"집중입니다"
무거운 찌맞춤으로 잔챙이 입질을 걸르고, 고부력으로 채비안착을 안정시키고, 찌를 모두 물에 잠기어 한개의 깜빡이는 찌불에 고개가 휙~ 돌아갈정도로 찌불을 모두 물속에 잠기게 합니다
여름이든 겨울이든 계절에 관계없이 밤을 새워 찌불을 보기란 쉬운것이 아닙니다
얼마나 기회를 놓치지 않느냐가 관건이라고 생각합니다
이야기를 하다 보니 저의 낚시 방법을 조금 말씀드린듯 합니다
제 개인적인 경우이니 참고만 하시고 다른 분들의 말씀도 한번 들어봐주세요
낚시 정말 재밌는 놀이가 아닙니까? 님의 질문에 반가워서 잠시 오바했습니다
아무쪼록 재밌는 낚시생활 즐기시길 바라겠습니다
마지막 부분 "새우나 참붕어 미끼를 사용해도 괞찮을까요?"
얼마나 예민할지 모르겠습니다 단 너무 필요이상 예민할 경우
새우는 바닥을 기구요 참붕어는 생명이 다 하기 전까지 까불겁니다
보기에는 조그마한 생명체이지만, 찌와 봉돌이 맞춰진 상태에서 참붕어는 찌를 들었다 놨다 할수도 있습니다 새우는 바닥을 기면서 옆으로 조금씩 깜빡깜빡 쨀수도 있습니다 ^^
삼나무소재의 찌는 서서히 내려가게 맞추시고,
부들, 오돌 소재는 빠르게 내려가는 맞춤을 하시는데요.
떡밥찌는 너무 저부력 말고, 4호이상의 떡밥찌를 사용하시면서 B 또는 2B봉돌을
원줄에 추가하시면 새우의 움직임이나 참붕어의 입질, 3~4치 붕어의 입질은 어느정도 견뎌내지 않을까요?
물사랑님의 동영상을 보면 대물찌로 떡밥낚시할때 영점 맞춤을 한 뒤 떡밥낚시하다가 대물낚시로 전환할시는 B나 2B봉돌을 물려주라는 동영상을 본듯하군요.
떡밥낚시의 찌맞춤은 찌와 봉돌이 수직을 이루는 것이 포인트이며, 대물낚시의 찌 맞춤 포인트는 수직이 아니라 채비의 안착이라고 말하고 싶네요.
바닥이 감탕지역이라 봉돌이 자꾸 가라 앉는다면...긴 목줄이나 가지바늘 채비, 또는 봉돌과 원줄이 연결된 부분에 바늘을 연결하거나 봉돌위쪽의 원줄 부붙에 직접 연결하는 방법도 있습니다.
제 생각으론 캐스팅때문이 아닐지 생각됩니다.
가령 4호 정도의 부력을 먹는 떡밥찌에 좁살 봉돌을 달아서 사용하나
7호 정도의 부력을 먹는 새우찌를 조금 무겁게 사용하나 채비가 내려가는
속도는 별반 차이가 없을 겁니다.
다만 고부력의 찌를 사용하는 이유는 밤낚시 하실때 원하는 포인트에 얼마나 안착률을 높이느냐 하는 문제인거 같습니다. 바람이 조금 불때면 저부력의 찌는 원하는 포인트에 넣기가 어렵습니다만 고부력의 찌를 사용하면 상대적으로 봉돌의 무게가 무겁기 때문에
바람의 영향을 어느 정도 줄일 수 있어서 사용하는데 편리하다고 봅니다.그러나 너무 무거운 봉돌을 사용하시면 초릿대가 지나치게 쳐지는 현상이 발생하기때문에 오히려 더 부자연 스러운 캐스팅이 돼지 않을까요? 그래서 대물찌가 6~8호 정도의 부력을 선호하지 않을까 생각해봅니다
님말씀대로 큰봉돌이 캐스팅할때 많이 유리하다고 저도 생각합니다
특히, 바람부는날 더 유리한 상황도 맞구요. 제 경우 고리봉돌 기준 7~9호까지 보통 선호하는 편입니다
수초대 바닥이 고르지 않을 경우 고리봉돌 4호이하 저부력찌를 사용해보면 투척때마다 찌높이가 틀린것을 알수 있습니다 바닥에 닿지 않고 그저 풀위에 살짝 걸쳐져 있는 경우가 아닌가 생각해봅니다
낚시란 정답이 없다는 말씀 자주하시는데... 그말은 정답인듯 합니다
님들의 축척된 노하우, 자기방식대로, 편하신대로 하시면 되지않을까요??
그게 정답일꺼라 생각합니다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