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물낚시

· 생미끼 붕어 대물낚시에 대한 문답, 또는 정보의 제공이 이루어지는 곳입니다,
· 게시물 성격에 따라 적합한 게시판으로 이동될 수 있습니다.

붕어비늘의 피...

사진처럼 붕어 비늘속에서 피가 배어나오는것은 무슨이유인지요?

어디서 나온 놈인지 궁금하군요..
가끔 만덕호 등 해안 각지에서 나오는 토종붕어도 위와 같이 몸에서 피가 배어 나오기는 하지만 사진처럼 심하지는 않던데요....
제 생각인데 교잡종이 아닌가 싶습니다.
대물하심을 축하드립니다.

개인적인 생각입니다
소화기관의 이상으로 섭취물들이 그대로 쌓여있는것 아닌가요
너무 불러서 혈관들이 팽창되어 곧 터질듯한
손맛은 있었겠으나 조금 혐오스럽기까지 하네요
고금도 백운지에서 나온 4짜와 생김새는 비슷하네요
해부한번 해보는건 어떨까요? 원인을 발혀야 하지 않을까요?
워-어-메....
괘기가 왜 저러당가???/
혹부리 붕어 입니다....울나라 토종붕어의 일종이지요..
피가 저렇게 배어 나오는 이유는 ..경험상 말씀드리자면..
살림망이 거칠은걸 사용할경우 자주 발생되는것 같구요..(와이어살림망종류)
또한 고운 살림망을 썼음에두 불구하고 저주지마다 붕어의 특성상 살림망에 넣어두면 빨개지는 저수지도 있더군요..
참고하세요..
에이즈임다
교잡종은 아닌것같구 그냥 혹부리네요.
보통 강화권이나 전남권해안가쪽에서 잡은 붕어가 간혹 그런적이 있습니다.
잘은 모르겠지만 저수지 특성상 그런것 같습니다.
예컨데 급작스런 체구변화나 원활한 물의 유동이없는 해안가의
탁한 평지형 저수지등에서 피부조직이 약해진게 아닌가 생각해봅니다.
사진을 보니 지느러미등이 많이 손상된것을 보니 고기보관에도 문제가
있었던것 같구요.
그리고 저렇게 손상된 붕어는 어탁해도 보기가 좋지 못합니다.
물론 먹어도 맛이 없을듯....
참고로 언젠가 모낚시잡지에서 혹부리를 해부한 사진이 있었는데
지방이 과도하게 불어나 저렇게 체형이 변했더군요.
회원 여러분들 붕어를 소중히 대합시다.
떡붕어피가 좀 섞인게 아닐까요?
저의 경험으로는 간척지의 수심이 깊은곳 에서 나온 붕어는 그런것같습니다

일종의 수압차이 , 처음에는 깨끗했는데 약 20시간후에는 저런모습을 하구 있더군요
병이나 기타 이상있는것은 아닙니다.

특히 강화 하리지의 붕어가 그렇습니다 . 위의 붕어도 제가볼때는 하리지의
붕어가 아닌가 생각이 됩니다

비만이구먼
돌연변이야요... ,


비만으로 인한 고혈압으로 콜레스트롤로 인해 혈관이 막혀 급성출혈인가 보구려..^^
고기는 혹부리 붕어입니다.토종 물고기죠.
그리고 고기상태는 병을 앍고 있습니다.
솔방울 병이라는 것인데 갑작스런 기후변화에 적응을 못하여서
생기는 병입니다.
대게 이런병들은 수온이 낮은 계절에 많이 생깁니다.
초겨울과 이른봄에 많이 발생합니다.
또한 물벼룩이나 진듸물 같은 수생균에게서도 전이가 됩니다.
위에사진에 상태를보면 병이 상당히 진행이 된 상태입니다.
저기서 조금더 심해지면 비늘속에 물집이 생기게 됩니다.
(손으로 눌리면 톡톡 터짐)
이상태가 되면 열에 아홉은 죽게됩니다.
전염이 되는 병은 아니니 걱정 하실 필요는 없습니다.
음... 어설프게 알면 독이라고 했습니다. 윗분들 말씀은 이런저런 의견이니 참고만하십시오.
정확히 말씀드리면 수질변화로 인한 아가미 호흡곤란이 원인입니다.
제가 왜 아냐면 붕어잡아와서 집에서 해감해서 먹기 때문인데요.
오랫동안 천천히 수질변화에 적응한 붕어는 수질변화가 있더라도 피를 안토하고 잘사는반면
갖잡아서 해감통에 넣으면 처음에는 아무렇지 않다가 개체수가 많아서 물이 빠르게 오염되는경우 저런식으로 비늘에 붉은 피가 물들고
아가미에서 피를흘리고 죽습니다.
대처방법은 빠르게 염소가 제거된 물을 갈아주면 원래상태로 돌아오는데 사실 수돗물 염소빼는데 시간이 걸리기 때문에 저로선 이틀정도만
해감을 하고 바로 칼질들어가죠.
물론 아주 큰 해감통을 준비하면 10마리 까지는 물갈이를 잘안해 줘도 저렇게 비늘에 피가 안물들지만 집에선 힘듭니다.
작성자님이 사진찍으신 위치가 타올인걸보면 집으로 가지고 오셨는데 저렇게 변했지 않았나요? 처음부터 저렇게 붉게 물들진 않았을 겁니다.
만약 처음부터 물들어있었다면 해당 저수지나 수로는 엄청나게 오염이 된 지역이라고 보시면 될것 같습니다.
그리고 윗분이 작성하신 솔방울 병은 저렇게 온몸에 피가 물들지 않습니다. 우리가 모기한테 설물린 자국처럼 빨간 점이 생기고 그게 물집처럼 나중에 터지는 병인것이죠.



2025 Mobile Wolchuck