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는 생각이 다릅니다. 안착이 되어야겠지만요... 중요한 것은 그렇게 안착 되는 것보다 물 속 상황이 어떤지도 모르는 상태에서 무거운 채비를 했다가 미끼가 함몰되어 버린다면 말짱 꽝이 되어 버릴 듯 합니다. 그런 것을 먼저 알아 본 후 채비를 그에 맞춰 쓰심이 좋을 듯 합니다.
낚시 동호회 선배님이 말씀하시더군요... 부지런해야 한다고요... 그리고 상황에 맞추어 낚시를 해야 한다고요. 꼭 그렇게 해야 하는 건 없는 듯 합니다. 상황에 맞추어 바뀌어야 겠지요
좁은 수초구멍으로 찌를 세우기 위함이죠
저는 조금 다른생각인데요 그런 형태의 낚시를 하는 시기는 활성도가 많이 떨어진 저수온기에 주로 하기때문에
현장에서 표준찌맞춤을 하여 나름 예민하게 하고 있습니다
요즘 트렌드는 뽕치기도 영점맞춤으로 하더군요..
바닥상황이안좋으면 무거운 봉돌을달아야 미끼가 제대로 안착이됩니다
무작정 가벼운채비쓰심 낭패보십니다..
자기 취향대로 가는것 같습니다
옥내림을 수초에 붙여서 하면서 조과가 좋은 걸 알고 생각이 그리 흐르더군요
그리고 찌맞춤은 야간무거운바닥찌맞춤으로하시고 현장가서그때그때 조정해서쓰시면되고요 가벼운찌맞춤은반대합니다
동절기에는 중저부력 찌 영점마춤이 용이하지안을까요
낚시 동호회 선배님이 말씀하시더군요... 부지런해야 한다고요... 그리고 상황에 맞추어 낚시를 해야 한다고요. 꼭 그렇게 해야 하는 건 없는 듯 합니다. 상황에 맞추어 바뀌어야 겠지요
또한 수초구멍이나 연안수초에 가깝게 붙여야합니다..물론 채비가 바닥에 빨리 안착되어야하고 수심측정이 빨라야합니다//
찌맞춤 또한 영점 보단 무거워야 편하더군요...(다만, 제 경험이고 생각입니다..)ㅎㅎ
우선 제 찌는 머털에서 개당 천원하는 그 무식한 찌입니다.
영점 맞춤으로 하고 있구요...
살얼음이 있을때도 그걸루 입질 본적 있지만...점잖지는 못합니다.
입질 표현보다는 내구성이 중요하다고 생각이 됩니다.
뽕채비 강한챔질에 모가지 부러집니다.
입질할때 천천히 들어올리시는 습관들이시면 저부력찌도 문제없이 사용하실거라 생각 됩니다.
이번 시즌도 이제 막바지로 수추구녕 팔려면 이제 뽕치기로 해야겠군요...
오늘도 남양만서 꽝치고 왔으니 낼은 뽕치기로 손맛좀 보고 싶네요...
실제로 얼음낚시에서 예민한 찌맞춤에 적은 바늘이 유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