똑같은 저수지에 수초를 끼고있는 상류 포인트가 최 우선이라는
것에 조금 탈피 할려고 노력 하는 조사 입니다..
가끔 보면 상류 수초대에 자리가 없는것도 아닌데
못뚝에 포인트를 정하고 낚수를 하시는 분을 볼수가 있습니다.
바로 질문 드리겠습니다.
상류 수초대가 아닌 못뚝이나 중하류에 포인드를 정할땐 뭔가 이유가
있을것을 생각 됩니다..
조사님들께서는 어떤때에 상류포인트가 아닌 특히 못뚝에
포인트를 정하시게 되는지요?
상황에 따른 포인트 선정에 관한 질문 입니다.
-
- Hit : 3240
- 본문+댓글추천 : 0
- 댓글 7
얕은수심의 상류 물밑이 달빛에 환하게 비춰지는 보름즈음...
그림좋은 상류를 포기하게 만드는 몇가지 악재가 있습니다
낚시를하다보면 산란기 전이나 후에 맹탕에서 잘대는경우 많습니다
물색이나 위분에말처럼 배수나 흙물유입이라든가
낚시장르가 떡밥낚시를 한다든가 등등입니다.........
고수님이 오시긴 햇는데
상류에 고기가 않될 상황이 어떤것이 잇는지
좀 알려 주시고 가시지요 ~~
안출 하세요
그 전날 직접해보고 상류에서 입질을 못봤을때
하류쪽으로 내려갑니다
분위기 좋다고 입질 많이 받는거 아니더라고요
상류가 뻘물, 고수온, 연일 계속되는 흐린 날씰또는 강우로 인한 저수온 또는 물 속 플랑크톤 감소로 인한 물색, 일기의 불순으로 인한 회유
반경 감소, 수서곤충이나 어류들의 활동 미약등이 상류를 꺼리게되는 이유 중 하나가 아닐까 합니다
그런데 그것을 알면서도 풍광이나 습관을 못벗어나고 출조 중 90%는 상류를 좋아하는 1인입니다
먹이활동 시만 물가로 붙습니다.
릴꾼 많은 저수지 연안 낚시 잘 안되지요.
왜 깊은 곳에 까지 먹이를 넣어주니 배고프지 않습니다. 하지만 고향이 그리워 고향땅 돌아보러 회유 합니다.
뚝방도 포인터가 됩니다.
깊은 수심을 바로 접하고 있어니까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