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물낚시

· 생미끼 붕어 대물낚시에 대한 문답, 또는 정보의 제공이 이루어지는 곳입니다,
· 게시물 성격에 따라 적합한 게시판으로 이동될 수 있습니다.

생미끼 사용시 바늘이 보이게 하나요

안영하세요 ~ 떡밥 낚시를 주로 하지만 가끔 생미끼 할때가 있는데요 지렁이 새우 옥수수 등 사용시 바늘이 보이게 하시나요 아니믄 감추나요 ` 조사님들의 사용기좀 알려주세요 `~

지렁이는 여러마리 누벼꿰기를 하고요..

새우는 등꿰기를 주로 합니다.

옥수수는 그냥 편하게 달아 놓습니다..

전부 바늘끝이 보이는거 같습니다..
전 콩끼울때 이렇게 끼웁니다..





잔챙이도 걸러내고 대물은 바로 입질....

바늘이 좀 크군요 ㅎ
거의 대부분 바늘이 나오지 안나요~~

저역시 끝이 나오게 미끼를 달고 있습니다...
바늘이 튀어나와야 후킹이 잘 되겠지요~ 그렇다고 바늘을 너무 툭~~ 튀어 나오게 할 필요는 없다고 봅니다... 붕어 흡입이 좋게 적당히 바늘이 나오도록 하면서 후킹도 생각하고.... ^^
바늘....
1.미끼를 꿴다음 바늘의 끝이 약간만 보이게합니다.
미늘부분까지만 돌출시켜서 사용합니다
아마도 바늘돌출이 있어야
후킹이 잘되지 않을까요.../
바늘끝이 살짝 돌출되게 하는게
맞다고 알고 있습니다.



악동이 즐겨쓰는 새우꿰기 방법 입니다

미끼를 달때 가급적 미늘 있는 부분까지 나오도록 합니다

콩과 옥수수는 바늘이 어느정도 보이는 곳까지...

행복하고 건강한 출조 되십시요
오우! 저는 대그빡을 중심으로 끼우네요. 하도 대그빡에서 나오는 액을 괴기들이 좋아라 하길래요... 대그빡만 뜯어먹고 가는 아주 얍삽한 놈들을 자주 만나서요^^
대물을만나면 단숨에 삼켜 버리기때문에 바늘이 조금 나와도 무관합니다
밑걸림이있으면꼬리꿰기맹당이면등꿰기가보통하는방법같읍니다
제경우엔그냥등에서머리까지뀁니다
질문하신 내용에 관해선 전문가들도 다른 양상을 보이더군요.

새우의 등꿰기를 보더라도 일요낚시의 이창수님은 등에서 배를 관통해 다시 등으로 나와 바늘끝만 나오게끔 설명하시고 행낚의 물사랑님은 등에 살짝꿰어 바늘 전체가 보이도록 설명하십니다.

두방법 모두 장단점을 지니리라 생각되어지네요.

이창수님의 방법은 붕어가 미끼 흡입이 쉬울것이고 물사랑님의 방법은 최대한 새우를 살려서 잡어에 대항할수 있을것입니다.

두분 모두가 경험에 의해 나름대로 방식을 정했으리라 생각됩니다.

여러분들도 다양한 방법을사용해 보시고 본인의 방식을 만들어보시기 바랍니다.^^

이창수님 새우 등꿰기


물사랑님 새우 등꿰기
바늘끝이 나와야...
흡입할때 입걸림 확율 높습니다... ^^
새우 머리갑피에 바늘이 조금만 나오게 뀁니다
그런데 바늘이 두꺼우면 새우살을 헤집어
단단히 고정되지않습니다
바늘끝 나와있어야 입걸림 빠르고 잘됩니다
채비마다 장단점이 있듯이 바늘 꿰기에도
각각의 장단점이 있는듯 합니다.
저는 입질이 좋을때는 바늘을 미늘까지 노출시키고,
뜸할때는 바늘이 미끼밖으로 나오지 않게 하고 있습니다~^^
좋은 하루 되십시요.
생미끼는 모두 바늘끝이 나오게 낍니다.
오우 확실하게 보여주시네요 ^^
감사합니다~
관심가져주셔서 조사님들 감사합니다 ~
아이고... 댓글하나 달러왔더니 다른분들이 전부 대답을 해주셨네요...

새우의경우는 미늘까지 나오는것이 확실히 좋습니다.. 7~8치 이하것들은 저기 위엣님 말씀대로

머리만 쏙떼먹고 가는 녀석들이 있지만 준척에서 월척이상급은 제 새끼손가락만한 징거미새우도

한입에 꿀꺽 삼키는 입질을 많이 봅니다..
바늘이 나와도 붕어는 입질 먹이 활동을하니 걱정마시고 팍 끼여서 사용하시면됩니다 나오게~
저는 미늘부분까지 노출을 시킵니다만... 그리고 미끼의 이탈이나 입질 파악에 애로사항이 있어 바늘 깊숙히 끼우고 마무리를 미늘부분으로 끝맺음합니다.
바늘에 미늘 부위까지는 꿰야 미끼가 바늘에서 안빠지겠죠? 저역쉬 바늘이 미끼밖으로 나오게 하구요. 시각적으로
더 호기심?을 유발할려고 하얀색 바늘을 사용을 합니다.
미늘 안쪽부분까지 꿰어야 미끼가 이탈을 방지합니다, 저 또한 시각적으로 백색바늘을 가끔 사용합니다.
낚시에는 정답이 없다고 생각하는 1인 입니다.
모든 방법들이 경험치에서 나오니까 본인이
여러가지 현장에서 해보시고, 본인에게 가장 잘 맞는 방법이
해답 아닐까요.. 제 경험상 바늘끝이 보이는게 후킹이 잘 되는것 같습니다~~~
낚시는 정성입니다.... 미끼 꿰는것도 역시 정성입니다...

경기낚시에 떡밥 바늘에 걸어 손도 대지 안코 던지는거 봤습니다...

어떠케든 한바리 더 잡을려는 용도지만...


새우나...콩...참피리.. 등등 생미끼 낙수에는...

어느 정도 정성이 들어가야 한다고 봅니다...


바늘 역시 당연 나와야 되구요,,, 이것이 다들 정석이라고 합니다...

참고로 툭튀어 나오면,,흡입시 이물감으로,,,삼키기 곤란할지 모릅니다...


그렇지만...붕어의 주둥이 보셨습니다... 아랫입술보다 윗입술은 철갑입니다...

이 딱딱한 입술로,, 날카로운 가지마져,, 우격다짐... 꾸역꾸역 삼킨다고 합니다...

그러니까...옆가지가 있어야 맛을 더 느낀다고나 할까요~???



혹여 입질이 전혀 없는 외로운 낙수를 할때면...미끼 역시 감추어 던져 보십시오,,, 역시 곁가지 약간 쳐주고요,,머리투구까지,,살짝 벗겨주구요,,,,,그라마 유용한 입질 볼수 있습니다...


그러나 후킹(입걸림)이 잘 안될꺼란 생각에는 전 좀 이견이 있습니다...

정확한 챔질 타이밍만 맞추면,,, 챔질과 동시에... 바늘이 돌려세워지면서,,,미늘이 쪽이 윗입술을 정확하게 겁니다...

그러니까...챔질도 안할꺼면,,,

바늘을 살짝 혹은 툭 튀어 나오게 하면 되죠,,

정확한 입질과 타이밍 챔질이 잇을경우에는 당연,,,

바늘의 미늘이 영점 일미리...그러니 미끼이탈방지용 만큼만 나오게 하면 된다는 것입니다...


윗그림처럼,,, 했을시 붕어 활성도가 왕성할 경우에만 전 합니다..

그러나 요즘 갸(붕어)들 어떤지 잘 아신다면 정성껏 꿰어

던지시면,,, 좋은 결과를 볼수 있을리라 확신만 합니다......


그리고 중요한건 한번에 정확한 목표지점에 단 한번에 던져 늦는 기술이 가장 중요합니다...

지아무리 잘 꿰어 넣엇다 한들... 한번 던져 실패하구 두번 던질경우는 바늘 돌아갑니다...

그러면 헐거워 진다는 것이고,,, 바늘이끝이 혹은 귀부분이...덜렁 나오게 된다는것입니다...


그러니 한번에 정확하게 던지는 능력,, 고거이 필요합니다...

....
....

자기만의 정석을 자꾸 만들어 가시면 됩니다...
바늘 노출하구 새우 다리 절단합니다 전 ^^..
일반적으로 등꿰기랑 다리 수염 다 제거합니다.ㅎㅎㅎ
생미끼든 옥수수든 바늘이 무조건 노출되어야 됩니다.



2025 Mobile Wolchuck