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내병봉돌을 제외한 찌맞춤후 목줄길이 + 찌탑높이의 목줄길이를 사용한다면....
이채비는 내림에 가까운건가요? 입질형태도 빠는입질이 많은가요??
찌가 올림으로 표현된다면.....안내병의 봉돌이 무게로 작용하므로 찌올림이 안좋을거같은데...안내병봉돌은 왜 찌맞춤에서 제외가 되는지요??
또한 목줄길이가 그렇게 긴경우엔 입질시 사각지대가 생겨 불리하게 작용하지않을런지요??
올림입질이라면 붕어가 반드시 안내병봉돌까지 들어줘야 입질표현이 되는거 아닌가요??
그림으로만 봐서는 잘 모르겠네요.....
안내병채비 이해가 안가네요....
-
- Hit : 3427
- 본문+댓글추천 : 0
- 댓글 6
안내병 봉돌은 그저 대류나 바람 유속 등에 의해서 채비가 떠내려가는걸 방지하기 위함, 투척시 편하기 위함뿐입니다.
올리는 입질도 내리는 입질도 안내병 봉돌은 그대로 있는 상태에서 챔질이 진행되어야 합니다.
정도여야 합니다. 완전 슬로프 져서 추욱 쳐져 있는 상태..
그림상에서는 본봉돌과 안내병봉돌의 텐션(낚시줄의 구부러짐)이 없는거같은데.....본봉돌은 올라가 찌올림으로 표현이될때
안내병봉돌은 위치를 고수한다는 부분이 저는 이해가 잘안되서요..... ㅠㅜ
혹시 본봉돌과 안내병봉돌사이의 줄이 제가본 그림과는 다르게 슬로프져있는 상황인가요?
블로그에서 본 그림엔 설명이 부족해 슬로프진 줄이 목줄로 착각했어요...
밑에 옆집붕어님의 그림을 보니 미끼와 안내병봉돌을 확실히 구분해 그려놔서 이해했습니다.
저는 목줄과 안내병줄을 바꿔서 생각했습니다....답변감사드립니다!!! ^^
미끼바늘이 바닥에 살짝닿아있는 상태 그리고 그 목줄은 텐션이 있는 일직선 상태
그리고 안내병 봉돌은 미끼바늘과 어느정도 떨어진 곳에 완전 안착 되어있는 상태 그리고 그목줄은
추욱 쳐져서 슬로프 져있는 상태입니다. 그리고 찌는 빈바늘 맞춤목만큼 내놓은 상태입니다.
이때 입질이 들어오면 고기가 들어올리면 찌가 드러누울정도로 올라와도 안내병 봉돌이 달린 목줄은
여전히 슬로프 지거나 아니면 그제서야 텐션이 생길정도여야 되고 내리는 입질이어도 어느정도 고기가 끌고
갈때까지는 안내병 봉돌에 힘이 안가해질 정도...그정도로 안내병 봉돌 목줄이 길어야 합니다.
그렇게 되면 안내병은 사선입수 싱태이거나 사선을 막았다면 미끼 옆에 약간 슬러프진 상태로 있는겁니다.
붕어가 미끼를 먹고 찌톱을 다 올릴때까지 안내병 목줄의 조개봉돌 무게를 못 느끼죠.
안내병은 미끼가 떠내려가는 것을 방지하기 워한 용도입니다.
웟분이 잘 살명해 주셨네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