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물낚시

· 생미끼 붕어 대물낚시에 대한 문답, 또는 정보의 제공이 이루어지는 곳입니다,
· 게시물 성격에 따라 적합한 게시판으로 이동될 수 있습니다.

어제밤도 꽝 이었습니다.(잡어 입질 성화가 심할때 어떤 미끼를 써야 하는지..)

안녕하십니까 ? 처음 문을 두드려 봅니다. 어제도 퇴근후 곧장 애마를 몰고 혼자만의 그림속 궁전으로 잠입했습니다. 결과는 . . . 꽝~ 대물낚시는 꽝을 두려워 하지 말라는 선배 조사님의 말처럼~ 애써 위안을 삼아 보고 있습니다. 작년여름에 개척하여 작년 12월 초겨울 하루 5수의 덩어리를 뽑아 그곳에 미쳐버린 초짜입니다.. 요즘 사항은 거의 최악입니다. 4월 1일 준 월척 1수 4월 4일 준월척 1수 어제는 꽝~ 물이 많이 빠져 포인트가 변화된 상태이고 상류 뗏장은 수심이 50정도 인데 그곳은 아직 도전을 못했습니다. 수심이 1미터 전후인 제방 바로 옆 뗏장에서만 계속 하고 있습니다. 어제 밤낚시에 이어지는 근무로 눈이 시뻘게져 오늘 또 출조를 해볼까 마눌을 어떻게 달래 볼까 하는 고심을 하고 있습니다. 문제는 ... 찌마춤 무겁게 하여 감성돔 5호바늘에 새우달아 넣어두면 찌가 깔작거리다가 20분이 지나서 꺼내보면 꼬리 부분만 남아있고 참붕어 굵은넘으로 끼워 넣고 있으면 30분쯤~ 미치것습니다. 어느넘들이 그러는지~ 미끼 갈다가 주 입질 시간때인 새벽엔 졸아 버리니~ 대 끌고 가는 소리에 놀라 깨어보면 사황은 끝. 수초 위에 올려 놓다 끝. 도데체 선배님들 어떤 철 고무 새우를 달아야 될련지 어떤 미끼를 써야 되는지 궁금합니다. 선배 조사님 부디 많은 조언 부탁 드립니다. 뗏장 바로 옆에 붙이면 극성이 더 심하고 좀 떨어 뜨려 놓으면 덜 그라고~ 이럴때는 포인트를 바꿔야 하는건지 아니면 ~멀리서는 푸더덕 물장구 치고 난리이고 더 깊은곳으로 포인트를 옮겨야 되는지 아니면 상류 50센티 미만 포인트에 도전을 해야 하는지 갈챠 주세요 선배님 ... 부디 꼬~~오~옥~

추가로~ 그 저수지 자생 새우는 크기는 좋은데 너무 연약한것 같더라구요 참붕어도 그렇고~ 어제도 입질 다운 입질을 제대로 받은것 같은데~ 참붕어에 그냥 맨바닥 수심 얕은 50정도에 던져놓은 대에서 찌가 정말 환상적으로 몸통까지 오르락 내리락 하더라구요 그래서 두손 낚시대 꽉 움켜쥐고 찌가 확사라지는 순간 아조아조 죽을 힘을 다해 챘는데 글쎄~ 허망~ 하더라구요 다른때 같으면 월 미만은 그냥 날라 오던지 아니면 덩어리는 바로 약간의 저항과 함께 끌려 왔었는데~ 어찌 하오리까 배워야 할 길이 너무도 먼 초짜의 마음을...
콩이나 옥시시 함써보세요 혹시 알아요
동물성 미끼에 집착이 강할지..
그 저수지에 특정을 먼져 파악하심이 어떨런지 감히 말해봅니다. ^^
다름이 아니옵고 채집망으러 한번 테스트 해보심이 좋을듯합니다.
붕어잔챙이 짓으러 보기엔 좀 의아한 현상입니다. 또한 굵은 새우나 참붕어 미끼는
잔챙이 붕어가 그림에 떡으러만 여기고 한두번 건들다 말고 포기합니다.
저의 경험담 한번 읊어 보겠습니다.
산속깊이 자리한 아담한 소류지입니다. 발견당시 9치, 그날오후~저녁까지 확인 월척 몇수...
정말 머찌지요. 그리곤 몇일후 다시간 그소류지에서 기이한 현상이...
새우를 미끼로 했으나 엄청나게 입질이 마니 옵니다. 전 그곳이 물반 고기반인줄 착각했지요.
그러나 ... 너무도 만은 입질에 월척 2수, 놀라고 다음날 또 찻아갑니다. 그날도 입질 만땅...
붕어 몇수한후 잡은것은 가재였습니다. 계곡지인지라 가재가 새우를 못살게 구는걸 4번출조만에 아랐답니다. 그만은 입질들이 붕어가 아니였꾸 가재였단 말입니다. ㅡ,.ㅡ
이처럼 그 저수지에 징거미나 물방게 기타 미생물들이 있을시 그런 경우가 생깁니다.
채집망으러 확인했을시 밝혀지면 미끼를 달리 할수 있으나...
이 방법으러도 확인 못했을땐 다른자리로 옴기심이 좋을듯합니다.
감사합니다.
채집망으로 채집한 그곳 현지미끼를 사용하고 있습니다. 밤에 먼곳에 채집망을 던져놓고 들어오는 새우와 참붕어로 미끼를 쓰고 있습니다. 간호 황소개구리 올챙이가 몇마리 들어오곤 하는데 징거미는 지금까지 보질 못했습니다. 오늘은 다른 자리로 이동하여 옥수및 새우 참붕어 다양한 미끼로 구사를 해보겠습니다. 비올듯한 날씨와 바람이 다소 강하게 불지만~ 이런날은 어느정도 수심대를 공략해야 하는지~ 상류 수초포인트도(수심50센티) 가능할까요?
잠자리 되기전 유충으로 보입니다.....ㅋㅋ 저도 몇번을 당했습니다.
이럴때는 어떤 먹이를 써도 금방 먹이가 없어집니다.
이때 콩이 그나마 조금 오래 버티더군요 ㅋㅋ 콩으로 해보십시요
징거미도 가능성 70%입니다. 잡히지 않을뿐입니다.
징거미 아님 잠자리 벌래 둘중 하나일것입니다....혹시 계곡지나 반계곡지 아닌가요
그럼 70%이상 정답일것입니다.
왕잠자리 유충을 말합니다....콩콩콩을 쓰세염^^



2025 Mobile Wolchuck