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동채비를 한번도 해보지 않았지만 올해부터 유동채비로 전환해서 낚시를
시작할려고 합니다.
궁금한점은 대선이나 뉴대선이 처럼 삼나무 찌들은 무거운 찌맞춤을 하라고 하시던데요, 그렇게 찌맞춤을 하고 멈춤고무의 위치가 의문스럽습니다.
찌가 현장에서 너무 무겁게 되면 물속으로 가라않을려구 하겠지요,,그럼 아래쪽
멈춤고무가 찌가 못내려가도록 버티고 있는것이 대물낚시 유동채비법인가요?
만약 그렇다면 수초사이나 밤낚시에 유동채비로 사용하는 장점이 없어질것 같구요,,
왜냐하면 투척시 고정채비와 찌의 위치가 똑같으니까요,
아니면 찌 부력으로 맞춤을 해서 상단 멈춤고무가 상승하는 찌를 잡고 있고 하단 멈춤고무가 봉돌 가까이 있는 위치 인데요 이렇게 되면 제가 위에 서술했듯이
유동채비의 장점을 그대로 살리는 것이 되는데 대물낚시의 무거운 찌솟음은 구경하기 힘들것 같고 아주 헷갈리는 부분입니다.
여러선배님들의 많은 조언 부탁드립니다.
조석으로 기온차가 크고 눈도 많이 오고 합니다. 안전운전하시고 건강하십시요.
유동채비에 궁금한점 좀 있어서리 여러선배님께 조언구합니다.
-
- Hit : 3670
- 본문+댓글추천 : 0
- 댓글 4
던질때 찌와 바늘이 가까워 구멍에 넣기 쉽습니다. 찌오름은 고정채비와 동일 혹은 채비가 일직선상에 놓이게 되므로 더 유리합니다.
상단 멈춤고무의 위치는 수심에 따라 달라지고, 하단멈춤고무는 적당히 ...좁은 수초지대역이면 장애물에 걸리지 않을 정도로....
무거운 찌맞춤이라고 해서 찌가 물속으로 들어가는 것은 아닙니다 (찌=3호봉돌이면 0점 맞춤이 된다면 쉽게 얘기해서 4호를 사용해서 찌맞춤을 무겁다 합니다,)
모든찌는 부력(물에 뜨려는 힘)이 존재하기 때문에(부력이 없으면 찌가아님) 물위에 항상 뜹니다 그래서 찌를 가라앉히기 위해 봉돌을 사용합니다
2m의 수심이라면==> 고정찌고무의 위치에 유동윗멈춤고무를 사용하고 그바로밑에 유동찌고무를 달고(찌를 꽂는곳) 봉돌에서 찌의 길이만큼 위로 올려서 아랫멈춤고무를 장착합니다 이렇게 설명하는 것보다 수조통에 한번 실험을 해 보시면 10초안에 이해가 될것입니다
고정보다 유동이 장점이 아주 많습니다 (고난이도 투척시,밤낚시시 봉돌잡기,낚시대 접어 낚시줄감을때...)
주의:채비를 하실때 낚시대에 원줄을 달고 윗멈춤끼우고 유동찌고무 끼우고 아랫멈춤고무 순서로 하고나서 아랫쪽에 8자묶음 하셔야 합니다 혹시 아랫쪽에 먼저 하셨다면 다른 방법이 있으니 원줄을 잘라내지 마세요.참조(대물낚시 Q&A에 1893번 답글을 참조하시면 됩니다 이또한 장점이 많은 방법입니다.)
즐낚하시고 항상 좋은일 가득하시길...
물가에서 열심히 해 보겠습니다.
건강하십시요..
맞춤시 0점에서 좀 더 무겁게 서서히 가라앉게 맞춘다 가정하고
바늘/목줄/봉돌/원줄매듭/원줄/찌길이만큼의멈춤고무/유동찌/수심측정멈춤고무/원줄/초릿대매듭..
이렇게 셋팅합니다
현장에서 사용시 투척하면 갈대나 부들사이로 잘 파고듭니다.찌는 부력이있어 상승하는 작용
봉돌은 침력이있어 하강하는작용을하기에 찌는 안가라앉다가.봉돌의 침력이 물밑에서 끝나면
찌위의 수심측정 멈춤고무로인해 더이상 안떠오르고 찌는 서게되죠..
글로써는 저의 표현력이서툴러 기회가된다면 현장에서 유동찌의 장단점늘 설명해드릴수는있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