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 지금까지 고정으로 낚시를 배웠고 고정 외엔 전혀 다른 생각을 해보지 않았는데요
대물낚시하다 보면 연밭이라든가 찌를 세우기 힘든 수초군,수초가 있는 깊은 수심대에서
낚시하다 보면 너무나 고정이 힘이 들다 절감하며 유동으로 바꿔보까를 수십번 생각하고
있었습니다.그래서 결정했습니다.유동으로 전부 바꾸기로요..
그런데요 유동에 대해서는 전혀 모릅니다.일단 수심맞추는 찌멈춤고무와 찌고무가 있다는 것만
알뿐이죠..주위에서도 유동채비를 많이 하시는데요 찌멈춤고무를 잘 구입해야 한다고들 하더라구요.
저는 5호 시가 그랜드 맥스줄을 사용합니다.원줄에 손상을 줄이는 찌멈춤고무 추천 좀 해주시구요..
찌고무는 어느것이 좋은지 ..기타 유동채비에 대해서 좀 알려주십사 이렇게 몇자 적어 봅니다.
유동채비에 대해서 조언을 구합니다.
-
- Hit : 3012
- 본문+댓글추천 : 0
- 댓글 2
먼저 찌멈춤고무를 말씀드리자면 고무재질로 된 기성제품과 릴리안사(초릿대실)로 매듭하는방법 두가지가 있는데요..
나름대로 장단점이 있습니다..
제가 사용해본 결과만 말씀드리겠습니다.
고무로 된 제품들은 사용하기 편리하고 채비가 깔끔한 장점이 있지만 릴리안사보다는 원줄에 조금이나마 손상을 주는거 같았구요
그나마 일자형보다는 둥근형태의 멈춤고무가 원줄손상이 덜하다는 느낌이었습니다..
릴리안사를 사용하면 처음 채비할때 좀 번거롭지만 원줄손상은 좀 덜한것 같구요..단점은 가끔 좀 느슨해지는데 자투리를 좀 남겨뒀다가 느슨해졌다 싶을때 양쪽을 롱로즈등으로 조여주면 됩니다..
제가 생각하기에 찌멈춤고무도 중요하지만 유동찌고무가 상당히 중요하다고 보는데요..
기성제품들을 보면 찌고무에 도래를 합사줄로 연결해놓은것도 있고 그냥바로 찌고무에 도래를 접착해놓은것도 있습니다..
어느제품을 쓰시던지 처음 구입하신다음에 도래랑 찌고무를 연결해 주는 부분에 순간접착제를 살짝 발라주세요..
그부분이 아주 잘 떨어져 밤낚시시 챔질후에 찌는 물속에 있고 원줄만 날라오는 경우 허다합니다..
그럴경우 채비를 다시해야 하는 경우도 생기구요 원줄을 살리려고 합사줄등으로 수리한다해도 번거로운건 어쩔수 없지요..
행낚에서 판매하는 유동찌고무는 그런경우가 적다하는데 다섯개 2500원..좀 비싸서 ..ㅎㅎ
유동찌고무를 구입하실땐 꼭~유동이 잘되게 도래구멍이 큰놈을 구입하세요 ..
님 그랜드맥스5호 쓰신다 하셨는데요..그정도 굵기면 채비투척후에 찌가 물속에 잠겼다가 다시올라올 수도 있습니다..물론 찌고무의 유동이 원활하지 않아서지요..
전 원줄 그랜드맥스 4호나 포스 4호를 즐겨쓰는데요..
요즘은 그냥 기성제품 찌멈춤고무 사서 씁니다..
그랜드맥스나 포스등이 원줄손상에 가장 강하더군요..
그리고 팁 한가지..
초릿대서부터 말씀드리자면 찌멈춤고무하나(혹은두개)--유동찌고무--찌멈춤고무하나..
이렇게 하면 기본채비는 끝입니다만..
아랫부분에 찌멈춤고무 두개를 더 넣어주면요..
가끔 침수수초가 너무 빡빡해서 가지채비를 하고 싶을때..아래 넣어둔 찌멈춤고무 두개 사이에 바늘을 하나 덧달수가 있어 편리합니다..
바늘 다는 방법은 찌멈춤고무사이에다가 봉돌에 바늘 달듯이 그런식으로 원줄에 연결해 주시면 됩니다..
유동이 되다보니 원하는 위치까지 올릴수도 내릴수도 있습니다..
혹 고기가 걸리면 빠지지 않을까 싶으실수도 있습니다만..제가 해본 결과 아홉치까지는 아무이상없이 걸어냈습니다..
물론 고기무게등으로 덧바늘이 봉돌근처까지 내려올때도 있습니다만..아직까진 덧바늘이 원줄에서 이탈된적은 없었습니다..
한번 해보세요..
그럼 유동채비 잘 만드셔서 498 하세요..^^
많은 도움 되었구요 언제나 어복이 님과 함께 하기를 기원해 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