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까운 곳에 저수지가 몇 군데 있습니다 그러나 붕어 자원이 씨가 마른것 같습니다
작년 봄에만 해도 붕어 구경하기 무척 쉬었습니다
소문으로 인해 완전 초전박살 4짜넘는 붕어도 쉽게 붕어찜으로 들어 가더군요 ㅠㅠ
그래서 생각한게 가끔가는 토종붕어 유료터에서 붕어 잡아 집근처 저수지에다 살려주면 안되는 걸까요???
짱깨붕어 말고 토종으로만 혹시 이게 위법행위 인가요?-__-?
유료터에서 잡은고기 노지로 이송한다면?
-
- Hit : 4632
- 본문+댓글추천 : 0
- 댓글 27
유료터에 있는 토종붕어?
순수한 토종이 아닌 여러가지 섞여 있는 잡종일 확률이 굉장이 높습니다
꼭 옮기실려면 유료터가 아닌 노지에 있는 토종으로 옮겨 주시는 것이
좋지 않을까 생각합니다
행복하고 건강한 출조 되십시요
즐기는 낚시하세요..
대호만이니 평택호에서 잡은 것을 선별하여 방류한다고 해서 철썩같이 그렇게 믿고 있었는데
아니란 말씀....??? ㅠㅠ
혹 토종유료터 방류 붕어의 실상을 알고 있으신 분은 없으신가요?
잡종붕어에 대한 염려는 큰 문제 없지 않을까 싶습니다.
중국붕어와의 잡종... 그걸 막을수 있는 방법이 있을까요?
다만 그 시간을 좀 연장할수 있는 정도가 아닐까 싶네요...
아마 이미 자연지에도 상당부분 중국붕어가 유입되어 살고 있을거라 생각합니다.
짜장 방류하는 죽산지는 삽교호로가고
봉제지는 아산호로 가요 봉제지는 요즘은 아산만에서 잡은 토종 발류한다는데
장마철에 저수지 물넘치면 예전에 방류한 짜장은 어디로 갔을까 ?
하지만 생존력이 적을 것 같습니다. 전에 비슷한 경우를 겪어봐서 아는 건데요 오히려 붕애들은 적응을 잘 하고 겨울을 넘기던데 일곱, 열덟치급은 많이 죽습니다......^^
토종터에서 잡은 붕어의 측선을 세어 보면 역시 27~29개입니다.
그럼 요즈음은 측선수가 27~29개인 잡종도 양식이 되는 건가요?
지도 노지에서 잡탱이 붕애 잡으면 엄청 열받드라구요
참아주세요~~
토종얼굴보러 잠않자고 노지갔는데..짜장,떡나오면 무지열받아요..
참고로 잡으면 사진찍고 방생합니다..
모델버립니다..
질문과 내용이 다르지만 한번 올려봅니다
강이나 수로에 치어방류하면 거의 교잡종이라고 하더라구요.
토종붕어와 짜장이 육안으로 얼른 구별하기가 어려우실 겁니다
정말로 힘이 더는 일이기도 합니다.
나름돼로 조금만한 소류지에 붕어를 다른 큰 노지에서 잡아가지고 방생을 많이 하고 있습니다.
하지만 유로터에 붕어를 노지로 옴기는것을 극구 말립니다...
잘못하면 잡종을 이씩을 할수있다는것입니다...요즘 생태게 이상과 교잡종으로 이상한 붕어가 탄생합니다.
님에 애틋한 마음은 잘 알겠습니다만...저는 만류를 해봅니다.
행운을 기원 합니다.
본인생각에는 잡종은 유료터를 벗어나면 안될것같네요.
건강하시기 바람니다.
유료터 사장님께서 거짓으로 말할분은 아니고 올 토종 이라고 하기에 이런 생각을 해보았습니다
답변 주신분들 감사드립니다
참고로 토종이 맞다면 방류해도 합법적입니다.
하지만 떡붕어는 유해어종으로 등록되었기 때문에 떡붕어를 방류하면 벌금형에 처해집니다.
그리고 붕어 잡아먹는 저수지에 붕어 풀면 그게 몇달이나 갈까요 ㅜㅜ
옮기면 고기도 스트레스 받을거 같아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