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찬수씨의 안내병 채비를 고부력의 찌에도 쓸수 있게 변형 해본다고 한건데 요거이 입질을 받을랑가염?
이 채비가 입질을 받을까염?
-
- Hit : 10145
- 본문+댓글추천 : 0
- 댓글 18
그리고 저건 방채비랑 틀려도 너무틀린건데요ㅠㅠ
입질 당연 잘 옵니다..
방 채비두 윗바늘에 주로 입질을 하더라구요
아랫걸림이 심하거나 할때 아랫바늘 제거하고
윗바늘만 단 상테에서 낚시 하거든요..
채비에 익숙해지면 풍덩보다는 채비를 많이 보실겁니다
분할채비라서 민감하긴 하겠지만. . .
곁가지 입질은 원봉돌이랑 같을 것 같아서..
저라면 분할 봉돌에서 불리되는 응용 해결사 채비는 어떠실런지..
초보가 쓸데없는 생각해 봅니다.
제생각은 이렇습니다. 어떠한 상태든간에,
미끼던진곳에 붕어가 있으면 어떤 형태로든 입질은하고 또 먹습니다.
그리고 그채비는 아주 예민한 채비인데요.
채비가 밑에봉돌(스위벨)만 바닥에 닫고, 먹이는 살짝 띄운는 방식입니다.
바닥이 지저분한곳에서는 유용하겠지요.
바늘 있는 부분에 마카(연주찌)를 집어 넣은 것 같네요
방랑자 채비에 연주찌(물트림 채비)를 물린 획기적인 아이디어라고 생각합니다.
방랑자 뜬바늘 채비에 연주찌를 물려 미끼의 무게까지 상쇄하고자 하는 챔질님의 아이디어가 돋보이네요.
중요한 것은 뜬 바늘의 길이와 연주찌의 무게 그리고 찌맞춤에 있다고 봅니다.
목줄 길이를 좀 더 길게 하시고(슬로프 지게) 미끼에 따라 연주찌의 크기와 위치를 변경해 보세요.
방랑자 채비보다 훨씬 예민한 입질을 감지할 수 있을 겁니다.
획기적인 아이디어 입니다.
바닥이 지저분한 곳에서는 아주 유용한 찌맞춤이라 사료됩니다.
하지만 일반 바닥이 깨끗한 곳에서는 굳이 이런채비를 사용하기보다는 일반적인 채비를 사용하심이 좋을듯 합니다.
왜냐하면, 끌고 들어가는 입질도 챔질을 해야하기 때문에 좀 피곤한 낚시가 될듯합니다.
또한 사각지대가 많을것 같아 활성도가 좋지 않을때는 물고기 낚기가 어려울것 같다고 생각됩니다.
덧붙이자면 목줄길이가 어느정도 긴만큼 매듭부분을 좀더 줄여보시면 어떨지 궁금하긴 합니다...ㅎㅎ
즐낚하세요...^^
여러가지 채비 연구해봤지만 결국은 외봉이나 기본 2봉 채비 돌아오게 되더라구요.
채비걸림이나. 엉킴이 몇번하다보면 짜증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