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물낚시

· 생미끼 붕어 대물낚시에 대한 문답, 또는 정보의 제공이 이루어지는 곳입니다,
· 게시물 성격에 따라 적합한 게시판으로 이동될 수 있습니다.

저수지에 따른 대물의 입질시기는?

세상일에 따라서 노력으로 안되는 것이 많습니다. 특히 낚시에 있어서 오직 오랜 세월을 통하여 스스로의 경험을 바탕으로 터득하는 수 밖에 없는..... 도자기의 도공이 불색깔을 보고도 적절한 온도를 찾듯이... 제가 낚시하면서 채비.미끼.기법.노력.집중......등은 얼마든지 구사.변경.시도해보고 나름데로 열심히 하고 그런 만큼 어느 정도는 이루어 지는듯 합니다만, 가장 어려운 부분이 저수지별로 대물이 입질하는 시기(時期)가 있다고 알고는 있어도 도대체 그 시기를 알기란 쉬운일이 아닙니다. 몇년을 수없이 도전해도 잔챙이만 입질하는데 10년전에 잔챙이는 지금 대물이 되어 득실 거릴걸로 예상되는데 그 저수지는 왜 항상 그럴까요? 오랜 기간 낚시를 접해 오신 경험을 쉽게 알려고 질문드리게 됨을 용서하시고 고수님들의 가르침을 받고 싶습니다. 항상 안전하고 즐기는 낚시와 함께 하시길...

저도 잘은 모르지만..

저수지마다 해빙이 되자마자 대물이 붙는곳, 산란기때 입질이 붙는곳, 배수가 되어 포인트가 드러나고 물이 졸아들어야 대물이 붙는곳 등 다양하지만..

10~11월달에는 거의 공통적으로 대물이 연안으로 잘 붙었습니다..

개인적으로 산란기 찬스보다 10~11월에 날이 추워질때의 황금기를 더욱 좋아합니다
희나리 님 말씀에 추천 한방 쏩니다...
추수 끝나면 보통 대물 물가로 붙지않나요....
수심 깊은 계곡지 는 예외지만요....
가을이 젤로 좋치요~~ 다른 계절은 산란기를 제외하곤 공격적인 낚시를 해야만 쩜 낚을 수 있습니다.
안녕하십니까 소쩍새우는님...

정말로 어려운 우리꾼"에 영원한 숙제이지요...

27년동안 물 마름이 없었고 3000여평 소류지 초 봄부터 여름까지 연달아서 포인트를 옮겨 가면서 56번을 한 곳으로만 출조한

저수지가 있습니다...대형급에 붕어는 확인이 된 저수지이고 7~9치는 많이 잡았어나 56회 동안 꽝 이였습니다...

허나 전을 펼때마다 분위기는 좋습니다...기온 수온 바람에 영향 등 많은 기대를 무시하고 아침이 밝아오면 내일을 기약하며

낚시대를 접고 돌아오기를 반복 대부분 내 주위에 꾼들에게 의논을 하면 꾼"들이 장 하는 말로는 터가세다~~~

터가세다는 뜻은 붕어가 나오는 시기가 정해져 있다고 생각하면 맞을것 같습니다...

여름에 지쳐서 출조를 포기하고 늦은 가을에 집중적으로 공격을 해보자 였습니다...겨울로 접어드는 첫 서리가 내리는 날을

꼽고 있었지요...유별시리 추운1995년 11월초 3개월만에 다시 출조를 해 보았지요...

부엽수초는 싹아 내려 앉아고 수온은 얼음장 같았고 이상황에서 새우낚시가 먹혀줄까 였습니다...악조건...

초 저역부터 물안개 이상하다...저녁9시에 덜커덕 연달아 덩어리급...완전한 냉수대에 현상에서 세끼손가락 만한 새우에 연타석

으로 그날밤에 말그대로 타작했습니다...도져히 이해가 가지않는 일들이 일어납니다...

위대한 자연은 우리에 꾼들은 알수가 없는 것입니다...그이후 일주일간 계속 출조하여 갈때마다 묵찍한 손맛을 봤지요...

알수가 없는것이 물속입니다...말 그대로 터가 센곳은...늦은 가을과 초겨울 첫 서리가 내릴쯤에 저는 항상 웃고 있습니다..

대구리 하이소~
대체적으로 이른봄과 늦은가을에

대물들이 연안으로 많이 나오는것 같더군요.
빼빼로님 말을듣고 올해는 늦가을이나 초겨울첫 서리가 내릴때쯤

도전한번 해봐야겠습니다 좋은정보 감사합니다 *^^*
이제 뭔가 보일듯합니다.
가을을 기다리는 희망이 있습니다.
답글 주심에 감사드리며 겨울 초입에는 한층 자연에 가까워진 나를 발견하게 되면 다시 인사 올리겠습니다.
소쩍새 우는밤님 반가버용^^

채반 허접이라 답은 고수님들께 묻어가구 안부만 전합니다

새물에 악양수로 덩어리마이 들었겠죠^^

언제나 행복한 조행 하시길 빕니다
주야장천 들이 대 보는 길 밖엔....
감사합니다.
좋은 말씀 ..저도 배우고 갑니다.

개인적인 생각입니다만...

보통 수초의 유무..( 수심과 바닥의 관계)

수온의 영향에 따라..

계절별 대물터가 구분되지 않나 합니다.

영원한 숙제입니다.



2025 Mobile Wolchuck