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필라이존임니당 ㅎ
다름이아니고 저수지 나이 일 수 있는 방법이 궁금해서요 뭐 수중수초의 분포여부나 주변 지형지믈을 단서로 추론 한다거나 ㅎ
현지인한테 묻는거 빼고요 ㅎㅎ 낚시꾼들을 안좋아 하는거 같아서 ㅎㅎ 글구 딱히 현지인이랄 것도 없는것이 산속에 있어서 ㅎㅎ 주변 낚시점 사장님들도 잘 몰라요 ㅎ 붕어 개체수는 많은데 월척이 있을 것인가 궁금해서 저수지 나이를 추론 할수 있는 선배님들의 고견을 여쭙니다^^
저수지 나이를 알수 있는방법?
-
- Hit : 5876
- 본문+댓글추천 : 0
- 댓글 17
적지않아 5년은 차이 나지싶습니다.ㅎ
깊은 골자기 아담한 못일수록 그분들이 다녀갔을 확률이 높다고 생각합니다.
제일쉬운이론 : 월척을 잡을렴 월척이 있는못에 가야합니다. ㅎ
저는 뚝방을 보면 대충 짐작해봅니다.
제방안쪽의 석축의 각도와 짜임새인데
오래되면 완만하고 엉성하고 토사에 묻히게 됩니다.
그 보다도 최근에 저수지 막는 일은 드문일이니
적어도 월척이 성장하는 년수는(7~10년) 지났죠.
개체수가 많은곳 이라면 월척을 잡을때까지 열심히 쪼아보세요...ㅎ
늘 안출하세요.^^
소형 못池일 수도...
제방에 칡덩굴이 있다면 칡덩굴과 흙이 만나는 부분의 굵기로 저수지 나이를 짐작 가능한 경우도 가끔은 있습니다.
제방에 그라우팅(기계로 제방에 수직으로 구멍을 뚫고 시멘트와 황토를 채워넣은 흔적이 있다면 최소 20~30년은 넘은 池겠지요.
제방이 흙으로 된 제방인지 돌로 쌓은 제방인지 확인하는 방법이 있겠지요.
흙으로 쌓은 제방이 더 오래된 것이니까요.
더 있겠지만, 꼭 뭔가 생각할려면 떠오르지 않는 병통이 있습니다. ^^;
눈에 띄는 붕어사체크기, 물색(간장색)...
제일 편한 방법은 전화를 이용하거나 담당기관 게시판에 글을 남기는 건데요.
그 못이나 저수지 인근에 땅을 사려고 하는데, 저수지 축조년도가 대충 얼마나 되냐고 전화를 하거나 글을 올리시면 좀 도움이 될 수도 있습니다.
다른 핑계도 몇가지 더 준비하시면... ^^
아무도 없는 곳이라면
저수지 이곳 저곳 둘러 보며 판단을 해야 합니다
행복하고 건강한 출조 되십시요
아예 흙 제방인 경우도 많습니다.(주변에서 돌을 구하기 힘든 경우겠죠.)
현대식 저수지(70년대 이후)는 대부분 중장비로 축조하므로, 석축의 돌 크기가 크고, 석축의 각도 또한 가파르고, 제방 최상단 천단의 폭이 15톤 덤프 정도는 왔다갔다 가능할 정도로 폭이 넓습니다. (깊은 계곡지라도 제방귀퉁이 부분에 저수지 깊은 곳에서 제방 귀퉁이 방향으로 중장비가 지나다녔던 공사용 길이 수중에 들어있습니다.-제방권에서 좋은 포인트죠.)
여러가지가 있습니다만. 여기서 정리하고요.
물 마른지 얼마쯤 된지를 알고 싶으시면, 머리아프죠 ㅋㅋ 물어본다고 해서 진실만을 이야기 해줄지..
일단 바닥에 뻘이 많으면 고기(작은 고기든 큰고기든) 들어있다고 생각하셔도 됩니다.
좋아보이면, 직접 하룻밤 정도는 담궈보는게 답이겠죠 ^^
자갈이나 마사바닥으로 된 소류지들은 물이 빠지지 않았다해도 하루아침에 고기가 전멸하는 경우가 생각보다 많습니다.(어로행위...)
아무리 백년 묵은 저수지인들 작년에 못털이했으면 꽝아닌가요?
따라서, 차라리 동네주민들한테 물어보는게 제일 정확할듯 하네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