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물낚시

· 생미끼 붕어 대물낚시에 대한 문답, 또는 정보의 제공이 이루어지는 곳입니다,
· 게시물 성격에 따라 적합한 게시판으로 이동될 수 있습니다.

찌맞춤통(수조) 찌 맞춤과 현장 찌 맞춤

안녕하십니까. 봄 초입을 지났는데 많이 추워 졋습니다. 감기 조심하고요. 다름이 아니라. 찌맞춤통(수조) 1m 짜리를 구매했습니다. 지금 까지 현장에서 대충 찌 맞추고 결전을 벌였습니다. 좀 무거운 찌마춤이었습니다. 캐스팅하면 그냥 쭉 내리가는 정도. 이제 찌맞춤통에서 다소 예민하게(천천히 갈아않는) 하고나서 현장에 가려고 합니다만. 이럴경우 찌맞춤통의 부력과 현장의 부력이 일부 차이가 있을거 같은데. 선배님들은 찌맞춤통에서 조정 후 현장에서 어떻게 하시는지요? 찌맟춤 통에서 미끼없이 케미끼우고 아주 천천히 내려가는 정도로 마추어야 하는지. 아니면 다소 빠르게 내려가게 맞추시는지..... 궁금합니다. 어떻게 마추어야 할까요? (참고로 봉돌은 고리 6-7호 정도, 유동채비, 원줄 5호, 지누 4호 외바늘 사용합니다.)

글쎄요...

정말 예민하게 맞춘 떡밥채비는 현장에서 조금의 차이가 나는것을 느낄 수 있었지만..

무겁게 맞춘 대물채비는 현장찌맞춤이 큰 의미가 없을거라 생각합니다..
대물낚시라면 찌맞춤은 필요 없습니다.
7호봉돌이 맞는 찌에 10호봉돌을 달아도 4치 5치 짜리 찌 몸통까지 올립니다.
물론 대물도 다 올리구요

그래도 굳이 찌맞춤을 하신다면 그냥 수조통에서 툭툭 떨어지게 맞추세요

찌몸통 소재가 부들,스기목 오동 수수깡 다 필요 없습니다.

붕어가 먹이를 취하고자 한다면 2~3호의 부력을 더 가지고도 찌는 몸통까지 다 올라옵니다.
믿음을 가지세요
가장 중요한건 믿음 입니다.
답변 감사함다.

네 저도 대물낚시에 찌맞춤은 중요치 않다고 생각하고 지금까지 임했습니다만,
조력오래 되신 같이 동출하신 형님들이나 현장에서 만난 다른분들이 모두들 " 너무 무거운거 아닌가요?"
라고 항상 하시어.......^^;

그리고 눈으로 확인해도 저보다 더빨리 내려가는 찌는 잘 못봣습니다...ㅋㅋ
생미끼대물낚시라면 수조통에서빠르게입수하는맞춤도 가능할것입니다 우리토종붕순이들 쬐그메도 아주쭉쭉잘올려줍니다 언제나 안출하세요
저두 대물찌라면 수조통에 맞춘후

그대로 씁니다.

별반차이는 없는것같더라구요~~^^;
토종붕어낚시라면 찌맞춤통이면 충분합니다.

찌맞춤통에서 맞춰 현장에서 그대로쓰셔도 쭈우욱~~올려줍니다.

단지 대상어종이 국적불명이라면 틀려지겠지요.
대물찌 맞춤은 수조통에서 서서히 내려가서
바닥에 안착하는 정도로 맞추시고 현장 가서도
그대로 사용하시면 되고요
일반찌라면 수조통에서 대충 맞추시고
현장 가서 원하시는 맞춤 하시면 됩니다.
대물찌의 부력은 많은 사람들이
무겁게 쓰시더군요.

저역시도 몇대를 제외 하고는 모두 던지면 쭈욱
내려가는 맞춤을 하고 있었는데

요즘 원체 붕순이의 얼굴을 접하기가 힘들다보니
수조에서 봉돌만 단체로 정부력을 맞추어서

사용을 해보구 있습니다.
역시 입질은 못받구 있지만요.

요즘같은 약간 저수온일때는
부력을 맞추어 사용하는것이 맞을것 같다는 생각입니다.
키노시티님 반가버요.

고기를 잡지 못하면 별생각이 다들죠.

아무리 예민하게 맞추어도 입질 없어면 또 후회되죠.

전 서서히 가라 앉도록 맞추고 그대로 다닙니다.

수초가 많으면 좁살 추가하구요
대물낚시라도 현장 찌마춤 하세요

너무 무겁게 하면 붕어가 가려서 입질 합니다

아직 까지는 무거움 보다는 가벼운 채비에 입질이 많습니다

너무 무거우면 덩치급이라도 돌아갑니다
제가 알기로는 수조찌맞춤을 하고 난뒤에도
현장에 가서는 새로 맞추는것이 맞다고 생각 합니다.
수조에 얼마 되지도 않은 물의 부력으로 노지에서 사용하기는 다소 무리가 있습니다.
허지만 대물낚시라면 무시해도 괜찮을거라고 조심스레 예측해봅니다.
떡밥낚시 예미한 찌맞춤이라면 현장가서 다시 맞추는게 맞다고 생각 합니다.
대물낚시 저는봉돌달구 천천히입수 탁치면수평ㅎㅎㅎ

떡밥은 케미한마디정도...

근데 대충해도 올려줄놈은 다올려줍니다.
키노시티님 반갑습니다...

저도 조력은 얼마되질 않습니다만..

한말씀 올립니다..

저또한 첨에 대물낚시에 접할때 주위의 형님들께서 찌맞춤의 중요성을 많이들 간과하라고들 해서....ㅎㅎㅎ..

몇년동안 쭈~~~욱 꽝친날이 많았죠...

그리고 몇해전 우연찮게 반평생 대물낚시하신분을 만나며.... 새로이 정립을 해가고 있습니다...

참고로 찌 맞춤이란..."붕어가 미끼를 물었을때, 낚시인들이 그 과정을 볼수있는 유일한 과정"이라 들었습니다.

그럼 대충 감이 오죠?? 물론 무겁게 맞추든, 가볍게 맞추든, 그분말씀은 "쳐먹으면 다민다" 입니다...

아~~참... 말이 빗나간듯 하네요...

찌맞춤은 수조에서 케미빼고, 바늘빼고... 서서히 가라앉게 맞춥니다... 마치 밀어올릴때 속도처럼...

물론 오동은 좀 빠르게, 스기목은 아주 천천히, 수수깡은 더빠르게 등....차이가 있을순 있네요^^

그럼, 현장에 가서 던지면 약간 빠르게 입수가 되죠.... 이유는 물론 케미무게+바늘무게+원줄무게+부력...

정말 덩어리를 만난다면... 2~3마디를 아주 천천히 밀어올린후 가만히 있게 됩니다.

그때~~~~ 아시죠???

항상 안출하시고....즐낚하시길.... 청소도 깔끔히....

마지막으로 저의 스승님의 말씀...

"아니다녀간듯 다녀가시옵소서...."
저의 짧은 생각에는 아주 천천히 내려가서 봉돌이 "반드시 바닥에 닫게"내려가는 것이 가장좋은거 같습니다
그런데 한15년 전쯤에 대내실지 상류 수로에서 "원줄 500원짜리 20호줄 바늘 릴낚시용 지렁이3단바늘(추가30호 엄청큼)"
낚시대는 "3미터짜리 대나무" 찌는 200원짜리 "빨때찌"
이런 개차반같은채비로 다들 못믿으실만한 대물붕어가 나온적있습니다
입질은 그냥 들썩 들썩 피래미 입질치고는 좀 소심하고 붕어치고는 너무 못올리고(당연하겟지만)
그러다가 줄줄끌고가기에 올리니까 무시무시한 싸이즈..;;
바늘은 목구멍 깊게 지렁이 3마리 이상 꿰놓은것을 한입에~
이런경우로봐서 봉돌무게는 별로 큰 영향을 주지는 못할거같습니다
그러나 찌맞춤을 할려면 현장찌마춤을 추천합니다
행복한낚시 들어가면 대물찌를 클릭하면 대물찌 맞춤법이 나옵니다. 참고하세요. ^^
대물낚시는 그렇게 예민한 찌맞춤 필요없습니다.굳이 정 그렇게 하실려면 수조통에 봉돌만 달아서 수평찌맞춤하시면 현장에서는 원줄의 무게(수심에 따라 틀림),바늘의 무게,케미무게로 수조통에서 한 찌맞춤보다 약간 무거운찌맞춤이 됩니다.
수조통에서 캐미,바늘빼고 아주 천천히 내려가도록 맟추면된고, 현장에서의 채비안착이 잘되는지만

확인하시면 됩니다.

몸통소재에따라 다르다. 또는 몸통형태에 따라다르다는 말들이 많지만, 중요한건 채비안착이라고 봅니다.

위의 찌맞춤은 채비연결후 투척해보면 다소 무거운 채비가됩니다.

그리고 찌올림은 붕어가 만들어 낸다는걸...



2025 Mobile Wolchuck