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여 찌의 소재에 따라.어떤 특성을.가지고 있는지 궁금해서 선배님들께 여쭙고자 글을 올립니다 발사.오동.스기 기타등등.어떤 차이가 있고 어떤 장단점이 있나요?
목록 이전 다음 찌 소재에 따른 차이점?? 퓔라이존아이디로 검색12-04-24Hit : 3345 본문+댓글추천 : 0댓글 8 공유 인쇄 신고 네이버 밴드 트위터 페이스북 카카오톡 https://www.wolchuck.co.kr/월척지식/대물낚시/찌-소재에-따른-차이점 URL 복사 안녕하세여 찌의 소재에 따라.어떤 특성을.가지고 있는지 궁금해서 선배님들께 여쭙고자 글을 올립니다 발사.오동.스기 기타등등.어떤 차이가 있고 어떤 장단점이 있나요? 추천 0 봉돌9호아이디로 검색 12-04-24 23:34 저도 초보라.. 행낚에 들가시면 재료별 특성과 찌맞춤 법 동영상 이 있던걸루 기억되는데 함 가보심이 ..죄송^^ 추천 0 신고 저도 초보라.. 행낚에 들가시면 재료별 특성과 찌맞춤 법 동영상 이 있던걸루 기억되는데 함 가보심이 ..죄송^^ 소양강아이디로 검색 12-04-25 01:21 무게와 부력 차이 입니다~~~~~~~~^^0 추천 0 신고 무게와 부력 차이 입니다~~~~~~~~^^0 붕어와춤을아이디로 검색 12-04-25 09:02 대물낚시에 무거운 채비는 큰 차이가 없습니다. 찌가 무거울수록 중후한 찌올림을 볼수 있구요. 장대 투척시에는 가볍고 부력이 많이 나가는 찌가 좋습니다. 추천 0 신고 대물낚시에 무거운 채비는 큰 차이가 없습니다. 찌가 무거울수록 중후한 찌올림을 볼수 있구요. 장대 투척시에는 가볍고 부력이 많이 나가는 찌가 좋습니다. 꿈의6짜붕어아이디로 검색 12-04-25 10:09 대물낚시에 찌만 떠있으면 되지 않을까요? ㅎㅎ 전 싼지 사서 사용합니다 3000원정도 카슈로 3번 정도 칠하면 끝 비싸게 주고 살필요 있는지요? 추천 0 신고 대물낚시에 찌만 떠있으면 되지 않을까요? ㅎㅎ 전 싼지 사서 사용합니다 3000원정도 카슈로 3번 정도 칠하면 끝 비싸게 주고 살필요 있는지요? 터미박아이디로 검색 12-04-25 10:50 자중대비 부력순, 즉 예를들면 0.1g씩 봉돌을 컷팅했을 경우 찌솓음 폭이 큰것은 발사>오동>스기 순으로 나타 납니다 반대로 부력이 큰만큼 상대적으로 강도는 떨어 지는데 강도는 스기>오동>발사 로 나타 납니다 강도는 찌제작 과정에도 나타 나는데 스기가 단단해서 작업하기 까다롭고 불량률도 높게 나타납니다 반대로 발사의 경우 칼로 쉽게 잘라 지므로 작업하기 쉽고 불량률도 낮습니다 작업이 쉬워 학생들이 각종모델을 만들떄 많이 쓰이기도 합니다 가격순으로 보면 발사>스기>오동 순으로 낮아 지는데 발사는 오동에 비해 서너배 비싸고 스기는 오동에 비해 두배이상 비쌉니다 그 이외 선택의 요인으로 무늬결과 색감이 있는데 무늬결과 색감은 스기목이 멋지게 나타 납니다 재료의 특성으로 발사목은 내림이나 떡밥찌 같은 예민한 낚시에 주로 쓰이고 반대로 스기목은 대물낚시에 많이 쓰이고 있습니다 대물낚시의 경우 수초밭같은 필드의 열악한 환경이나 많은 낚시대나 장비에 찌가 눌리는 경우도 자주 발생 하는데 그러한 점도 참고 사항이 되고 잔입질이 덜 나타나고 중후한 입질을 보여 주는 특징도 있다고 하겠습니다 단점중에 하나는 스기목 고부력의 경우 무게가 많이 나가는 관계로 44부터의 장대 앞치기에는 애로사항이 생기게 됩니다 그런점에서 장대 앞치기 찌 재료는 스기 보다는 오동이나 발사가 더 낳고 발사의 경우 보관과 사용에 더 주의할 필요가 있습니다 결론적으로 부력과 강도가 각기 다르므로 `용도에 맞는 찌재료의 특성`을 이해 하면 되겠습니다 가끔 찌선전 하는것을 보면 자기들 찌는 더 솓는다고 과장하곤 하는데 찌 솓는것은 붕어의 역활이지 찌 떄문이라고 보지 않습니다 기타의 재로로는 부들이 많이 쓰이고 예전에는 공작깃털 재료도 많이 쓰였으나 현제는 수입통관도 까다롭고 인건비 상승같은 요인으로 제작업체에서 기피 하고 있습니다 추천 3 신고 자중대비 부력순, 즉 예를들면 0.1g씩 봉돌을 컷팅했을 경우 찌솓음 폭이 큰것은 발사>오동>스기 순으로 나타 납니다 반대로 부력이 큰만큼 상대적으로 강도는 떨어 지는데 강도는 스기>오동>발사 로 나타 납니다 강도는 찌제작 과정에도 나타 나는데 스기가 단단해서 작업하기 까다롭고 불량률도 높게 나타납니다 반대로 발사의 경우 칼로 쉽게 잘라 지므로 작업하기 쉽고 불량률도 낮습니다 작업이 쉬워 학생들이 각종모델을 만들떄 많이 쓰이기도 합니다 가격순으로 보면 발사>스기>오동 순으로 낮아 지는데 발사는 오동에 비해 서너배 비싸고 스기는 오동에 비해 두배이상 비쌉니다 그 이외 선택의 요인으로 무늬결과 색감이 있는데 무늬결과 색감은 스기목이 멋지게 나타 납니다 재료의 특성으로 발사목은 내림이나 떡밥찌 같은 예민한 낚시에 주로 쓰이고 반대로 스기목은 대물낚시에 많이 쓰이고 있습니다 대물낚시의 경우 수초밭같은 필드의 열악한 환경이나 많은 낚시대나 장비에 찌가 눌리는 경우도 자주 발생 하는데 그러한 점도 참고 사항이 되고 잔입질이 덜 나타나고 중후한 입질을 보여 주는 특징도 있다고 하겠습니다 단점중에 하나는 스기목 고부력의 경우 무게가 많이 나가는 관계로 44부터의 장대 앞치기에는 애로사항이 생기게 됩니다 그런점에서 장대 앞치기 찌 재료는 스기 보다는 오동이나 발사가 더 낳고 발사의 경우 보관과 사용에 더 주의할 필요가 있습니다 결론적으로 부력과 강도가 각기 다르므로 `용도에 맞는 찌재료의 특성`을 이해 하면 되겠습니다 가끔 찌선전 하는것을 보면 자기들 찌는 더 솓는다고 과장하곤 하는데 찌 솓는것은 붕어의 역활이지 찌 떄문이라고 보지 않습니다 기타의 재로로는 부들이 많이 쓰이고 예전에는 공작깃털 재료도 많이 쓰였으나 현제는 수입통관도 까다롭고 인건비 상승같은 요인으로 제작업체에서 기피 하고 있습니다 퓔라이존아이디로 검색 12-04-25 13:16 터미박님 답변 너무 감사합니다 추천 꾹 눌러여 ㅎ 추천 0 신고 터미박님 답변 너무 감사합니다 추천 꾹 눌러여 ㅎ 전북김제꾼아이디로 검색 12-04-25 15:22 좋은정보 잘보고 갑니다 !! 추천 0 신고 좋은정보 잘보고 갑니다 !! 강노을아이디로 검색 12-04-25 22:57 배우고 갑니다 추천 0 신고 배우고 갑니다 목록 이전 다음 하단에 목록보기
붕어와춤을아이디로 검색 12-04-25 09:02 대물낚시에 무거운 채비는 큰 차이가 없습니다. 찌가 무거울수록 중후한 찌올림을 볼수 있구요. 장대 투척시에는 가볍고 부력이 많이 나가는 찌가 좋습니다.
꿈의6짜붕어아이디로 검색 12-04-25 10:09 대물낚시에 찌만 떠있으면 되지 않을까요? ㅎㅎ 전 싼지 사서 사용합니다 3000원정도 카슈로 3번 정도 칠하면 끝 비싸게 주고 살필요 있는지요?
터미박아이디로 검색 12-04-25 10:50 자중대비 부력순, 즉 예를들면 0.1g씩 봉돌을 컷팅했을 경우 찌솓음 폭이 큰것은 발사>오동>스기 순으로 나타 납니다 반대로 부력이 큰만큼 상대적으로 강도는 떨어 지는데 강도는 스기>오동>발사 로 나타 납니다 강도는 찌제작 과정에도 나타 나는데 스기가 단단해서 작업하기 까다롭고 불량률도 높게 나타납니다 반대로 발사의 경우 칼로 쉽게 잘라 지므로 작업하기 쉽고 불량률도 낮습니다 작업이 쉬워 학생들이 각종모델을 만들떄 많이 쓰이기도 합니다 가격순으로 보면 발사>스기>오동 순으로 낮아 지는데 발사는 오동에 비해 서너배 비싸고 스기는 오동에 비해 두배이상 비쌉니다 그 이외 선택의 요인으로 무늬결과 색감이 있는데 무늬결과 색감은 스기목이 멋지게 나타 납니다 재료의 특성으로 발사목은 내림이나 떡밥찌 같은 예민한 낚시에 주로 쓰이고 반대로 스기목은 대물낚시에 많이 쓰이고 있습니다 대물낚시의 경우 수초밭같은 필드의 열악한 환경이나 많은 낚시대나 장비에 찌가 눌리는 경우도 자주 발생 하는데 그러한 점도 참고 사항이 되고 잔입질이 덜 나타나고 중후한 입질을 보여 주는 특징도 있다고 하겠습니다 단점중에 하나는 스기목 고부력의 경우 무게가 많이 나가는 관계로 44부터의 장대 앞치기에는 애로사항이 생기게 됩니다 그런점에서 장대 앞치기 찌 재료는 스기 보다는 오동이나 발사가 더 낳고 발사의 경우 보관과 사용에 더 주의할 필요가 있습니다 결론적으로 부력과 강도가 각기 다르므로 `용도에 맞는 찌재료의 특성`을 이해 하면 되겠습니다 가끔 찌선전 하는것을 보면 자기들 찌는 더 솓는다고 과장하곤 하는데 찌 솓는것은 붕어의 역활이지 찌 떄문이라고 보지 않습니다 기타의 재로로는 부들이 많이 쓰이고 예전에는 공작깃털 재료도 많이 쓰였으나 현제는 수입통관도 까다롭고 인건비 상승같은 요인으로 제작업체에서 기피 하고 있습니다
행낚에 들가시면 재료별 특성과 찌맞춤 법 동영상 이 있던걸루 기억되는데 함 가보심이 ..죄송^^
찌가 무거울수록 중후한 찌올림을 볼수 있구요. 장대 투척시에는 가볍고 부력이 많이 나가는 찌가 좋습니다.
전 싼지 사서 사용합니다 3000원정도
카슈로 3번 정도 칠하면 끝
비싸게 주고 살필요 있는지요?
예를들면 0.1g씩 봉돌을 컷팅했을 경우 찌솓음 폭이 큰것은
발사>오동>스기 순으로 나타 납니다
반대로 부력이 큰만큼 상대적으로 강도는 떨어 지는데
강도는
스기>오동>발사 로 나타 납니다
강도는 찌제작 과정에도 나타 나는데
스기가 단단해서 작업하기 까다롭고 불량률도 높게 나타납니다
반대로 발사의 경우 칼로 쉽게 잘라 지므로 작업하기 쉽고 불량률도 낮습니다
작업이 쉬워 학생들이 각종모델을 만들떄 많이 쓰이기도 합니다
가격순으로 보면
발사>스기>오동 순으로 낮아 지는데
발사는 오동에 비해 서너배 비싸고 스기는 오동에 비해 두배이상 비쌉니다
그 이외 선택의 요인으로 무늬결과 색감이 있는데
무늬결과 색감은 스기목이 멋지게 나타 납니다
재료의 특성으로
발사목은 내림이나 떡밥찌 같은 예민한 낚시에 주로 쓰이고
반대로 스기목은
대물낚시에 많이 쓰이고 있습니다
대물낚시의 경우
수초밭같은 필드의 열악한 환경이나
많은 낚시대나 장비에 찌가 눌리는 경우도 자주 발생 하는데
그러한 점도 참고 사항이 되고 잔입질이 덜 나타나고 중후한 입질을 보여 주는 특징도 있다고 하겠습니다
단점중에 하나는
스기목 고부력의 경우 무게가 많이 나가는 관계로
44부터의 장대 앞치기에는 애로사항이 생기게 됩니다
그런점에서 장대 앞치기 찌 재료는
스기 보다는 오동이나 발사가 더 낳고
발사의 경우 보관과 사용에 더 주의할 필요가 있습니다
결론적으로
부력과 강도가 각기 다르므로 `용도에 맞는 찌재료의 특성`을 이해 하면 되겠습니다
가끔 찌선전 하는것을 보면
자기들 찌는 더 솓는다고 과장하곤 하는데
찌 솓는것은 붕어의 역활이지 찌 떄문이라고 보지 않습니다
기타의 재로로는
부들이 많이 쓰이고 예전에는 공작깃털 재료도 많이 쓰였으나 현제는
수입통관도 까다롭고 인건비 상승같은 요인으로 제작업체에서 기피 하고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