언제나 실험정신으로 또는 경험으로 모르는것은 알려주시고 아는것도 다시 되집어 주는 방송 진행을 유익하게 봅니다
여기서 뵈니 반갑읍니다 (검나 반가부러라 잉~~~ㅎㅎㅎ)
참붕어 미끼를 사용할시 목줄을 휘감는 경우가 있는데요 찌맞춤에있어 재질에 따라 상당한 무게를 요한다고 봅니다
조금 큰 참붕어라도 찌를 올리지 못하고 케미불빛의 깜빡임정도만...
그리고 목줄의 선택인데요
혹 어떤님들은 모노줄을 원줄로도 사용을 함니다
저 같은 경우는 게블러 합사중 뻣뻣하다 싶은 정돌 사용 채비의 휘감킴을 방지함니다
참붕어를 미끼로 사용하실려면 우선 채비를 좀더 무겁게
맞추시는게 좋을 것 같습니다.
입질을 보는데 전혀 문제가 업습니다.
또 참붕어는 살아 있을 때 입질이 더 빠른것 같았습니다.
참붕어는 등궤기를 주로 하는데 살아있는 참붕어를 가급적
요동치지 않게 궤는 방법은 등지느르미 쪽을 살짝 궤지 마시고
등지느르미에서 시작하여 가급적 살 깊숙히(등뼈에 거의 닿을 정도로)
박은 후 머리쪽으로 길게 뽑아 올립니다.(바늘에 가급적이면 살을 많이
궤는 방법입니다.)
참붕어의 등근육을 바늘로 제압하여 참붕어의 요동을 제압하는 방법입니다.
등뼈를 살짝 다쳐도 잡고기가 건드리지 않으면 잘 죽지 않습니다.
주둥이를 뻐끔거리며 두어시간은 살아 있습니다.
또 꼬리지느르미 바로 앞을 관통하여 등지느르미 아래를 한번더
궤면 요동을 제압하는데 도움이 됩니다.
너무 크지(3센티전후) 않은 적당한 싸이즈도 도움이 됩니다.
참붕어가 요동쳐서 채비가 엉키면 입질이 잘 오지 않습니다.
이점은 아주 유의하셔야 합니다.
propos님의 지적처럼 모노필라멘드줄로 채비를 쓰시거나 뻣뻣한
목줄을 쓰는 것도 한 방법입니다.
저도 초보입니다. 제생각엔 참붕어가 좀크지 않나 생각됩니다.
보통3-4cm정도가 적당하다고 하는데. 초보의경우 5cm 이상을
사용하게 되더군요.크기를 집작하지 못해서요.사실 3cm라면
검기 손가락 한매듭 정도 밖에 안된답니다. 저도 실수를 많이해서
제가 사용한 참붕어를 재어보니 5-6cm군요.
처음엔 예신이라고 춤 꼴딱 꼴딱 많이 삼켰습니다.
무거운 찌맞춤으로 했더니 채비를 꺼내보면 목줄를 밸밸 꼬아 놓더군요.
참붕어입질은 아직 못받아봤습니다.
이상 대물훈련병의 경험이었습니다.
송귀섭선생님 깜짝놀랐습니다...
좋은 정보 고맙고요, 자주자주 뵙게 되길 바라겠습니다.
조만간 함 찾아뵙겠습니다.
사족) 그런데 선생님 언제부터 스기목찌를 사용하셨나요?
여기서 뵈니 반갑읍니다 (검나 반가부러라 잉~~~ㅎㅎㅎ)
참붕어 미끼를 사용할시 목줄을 휘감는 경우가 있는데요 찌맞춤에있어 재질에 따라 상당한 무게를 요한다고 봅니다
조금 큰 참붕어라도 찌를 올리지 못하고 케미불빛의 깜빡임정도만...
그리고 목줄의 선택인데요
혹 어떤님들은 모노줄을 원줄로도 사용을 함니다
저 같은 경우는 게블러 합사중 뻣뻣하다 싶은 정돌 사용 채비의 휘감킴을 방지함니다
맞추시는게 좋을 것 같습니다.
입질을 보는데 전혀 문제가 업습니다.
또 참붕어는 살아 있을 때 입질이 더 빠른것 같았습니다.
참붕어는 등궤기를 주로 하는데 살아있는 참붕어를 가급적
요동치지 않게 궤는 방법은 등지느르미 쪽을 살짝 궤지 마시고
등지느르미에서 시작하여 가급적 살 깊숙히(등뼈에 거의 닿을 정도로)
박은 후 머리쪽으로 길게 뽑아 올립니다.(바늘에 가급적이면 살을 많이
궤는 방법입니다.)
참붕어의 등근육을 바늘로 제압하여 참붕어의 요동을 제압하는 방법입니다.
등뼈를 살짝 다쳐도 잡고기가 건드리지 않으면 잘 죽지 않습니다.
주둥이를 뻐끔거리며 두어시간은 살아 있습니다.
또 꼬리지느르미 바로 앞을 관통하여 등지느르미 아래를 한번더
궤면 요동을 제압하는데 도움이 됩니다.
너무 크지(3센티전후) 않은 적당한 싸이즈도 도움이 됩니다.
참붕어가 요동쳐서 채비가 엉키면 입질이 잘 오지 않습니다.
이점은 아주 유의하셔야 합니다.
propos님의 지적처럼 모노필라멘드줄로 채비를 쓰시거나 뻣뻣한
목줄을 쓰는 것도 한 방법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