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물낚시

· 생미끼 붕어 대물낚시에 대한 문답, 또는 정보의 제공이 이루어지는 곳입니다,
· 게시물 성격에 따라 적합한 게시판으로 이동될 수 있습니다.

채비에 대해 여쭤 봅니다

대물낚시 2년차로 접어든 초보입니다 수도권에 거주를 하고 있어 주로 출조하는 곳이 강화, 태안쪽입니다 (올해부터 멀리 가보려고 합니다) 외래어종 유입으로 떡밥낚시를 해야 하는 곳이 많더군여 찌가 거반 스기목이라 수조통에서 서서리 내려가는 찌맞춤을 하고 있는대여 떡밥낚시의 경우 0점 찌맞춤을 해야 할까여 아니면 그대로 사용해도 될까여? 여러 회원님들의 의견을 조심히 여쭈어 봅니다

저 같은 경우에는 대물찌는 수조통에서 찌가 서서히 내려가서 한번 정도 튕길 정도로 찌 맞춤을 합니다...

떡밥낚시라면 0점 맞춤이 유리 하지 않을까요??

떡밥찌는 캐미 끼우고 캐미 꽂이 상단이 수면과 동일하게 맞쳐서 사용합니다..
떡밥낚시라면 가벼운찌맞춤이 좋을듯합니다.^^
저는 찌를 바꾸렵니다..

대물찌는 대물찌고 떡밥찌는 떡밥찌이지요..

물론 그런다고 찌를 올리지 않는다는것은 아니랍니다.
떡밥은 가볍게..
대물낚시는 무겁게...ㅎㅎ~
그렇다면 생미끼 채비에서는 잔챙이의 입질을 걸러내려고 무겁게 마춘다고 하지만
떡밥 낚시에서 0점 맞춤하면 잔챙이의 입질 그대로 받아야 하나여?
한가지 스기목찌로 부력 조정 하시며 사용하는게 오히려 불편 하리라 봅니다
나중에 어떤게 부력 조정한건지 않한건지 헷갈리도 하고

그런 이유로 떡밥찌 몇점을 따로 가지고 다니시는 편이 좋지 않을까 합니다

대물 찌로 현장에서 부력 맞추는 시간보다 미리 맞춘 떡밥찌로 교체 하시는게
시간상으로 휠씬 유리 합니다

가볍게 마춘 스기대물찌 다시 원래의 부력 상태로 돌리기가 번거롭기도 합니다
버들지기님하고 물로간산적님께서 좋은 말씀 해주셨습니다.

찌는 그 용도가 맞게 사용하는것이 제일 좋습니다.

대물찌나 떡밥찌등으로 이름을 나눠놓은것부터 용도가 다르다는 말입니다.

그렇지 않다면 굳이 찌를 구분할 이유가 있을까요...

찌맞춤보다는 찌의 용도에 대해 관심을 가져보시길 바랍니다^^
쟈스민님 반갑습니다

행낚의 대선이로 찌맞춤은 현장에서 서서히 내려가는 찌맞춤

미끼는 글루텐 많이 사용합니다. 짬낚시에

미끼에 따라 찌맞춤 달리할거 없습니다

찌에 나타나는 반응은 붕어입질시 물리적인 현상에 의하여 나타납니다

미끼가 틀리다고 해서 찌오름이 높거나 낮거나 그러한 현상은 없습니다

꼭 찌맞춤을 바꾸고 싶다면 계절에 따라 바꾸시는것이 현명한 방법입니다

저수온기로 접어 들때부터 가벼운 찌맞춤으로,,,

활성도가 좋을땐 님의 채비 찌맞춤 그대로 사용하고

활성도가 떨어질땐 과감하게 가벼운 채비로 바꾸는것이 입질 받기 쉽습니다

즐낚 하세요
생미끼 찌 맞춤을 할때 찌에 봉돌만 달아서
가라앉았다가 수중에 멈추던가 서서히 상승해서 수면에 일치하게 찌맞춤을 합니다.
이렇게 찌를 맞추어 생미끼를 사용해도 되지만 좁쌀봉돌 하나를 목줄이나 봉돌 위에 덧 달아서 사용합니다.
베스나 외래어종 때문에 글루텐 등의 떡밥낚시를 할때는 좁쌀봉돌을 제거하고
바늘만 조금 작은것으로 교체해서 사용하면 무난합니다.
참고로 찌부력은 고리봉돌 6호 내외이고 생미끼용 바늘은 감성돔 7호를 사용합니다.

장점은 채비 전체를 교체하지 않고 좁쌀봉돌과 바늘만 바꾸면 떡밥낚시가 가능하다는 것이고
단점은 좁쌀봉돌을 덧달게되어 수초나 장애물에 걸리거나 했을때 좁쌀봉돌이 떨어질수 있으므로
같은 크기의 여분의 좁쌀봉돌이 필요합니다.
개인적으로 단점보다는 요즘 웬만한곳에서 외래어종으로 인해 생미끼 낚시가 어려운상황때문에
겸할수 있는 장점에 더 무게를 두게되서 이렇게 사용합니다.
개인적인 취향이므로 참고만 하세요..



2025 Mobile Wolchuck