충주댐 내사리권 매니아 입니다.
일단 위에서 말씀하신 것처럼 사용하심이 가장 평균적으로 쓰시는 떡밥 운용입니다.
전 일단 신장 : 건탄 : 곰표 를 5 : 3 : 2 의 비율로 사용합니다.
위 비율은 밑밥용이지요. 일단 좀 풍성하게 만드신 후에 대당 한 15회 ~ 20회 정도 밤톨만한 크기로 밑밥질을 합니다.
주로 밑밥질은 낮에 해놓구요.
밤에는 외바늘 혹은 쌍바늘로 사용하는데 외바늘 시에는 지렁이 8~15마리 꿰기 혹은 산지렁이 를 사용하며
쌍바늘 시에는 신장 : 곰표 7 : 3 정도의 비율로 좀 찰지게 해서 달고 한쪽에는 지렁이 3~5마리 꿰기 로 사용합니다.
뭐 남들 다 잡는다는 4짜 한번 못잡아봤지만 위 같이 해서 다른분들 못잡으실때에도 월척급 한두마리는 빼먹어본 경험이 있습니다
양어장이나 관리형에서 중국붕어를 풀기시작하면서 어분계열의 떡밥을 공식처럼 사용하다보니 노지에서도 어분류를 사용하시는 조사님이 많아져서 약간의 어분류를 첨가하시는것도 좋습니다만...어분은 모든 수생생물들이 다들 좋아하다보니 과한어분배합은 잡어가 많이 끼는 단점도 있습니다.
모든조사님들이 어분 + 신장 + 곰표 나 신장 + 곰표의 배합을 가장 선호하시는거 같습니다. 둘중 하나를 선택하시는것이 보편적이라 할수있습니다.
바닥낚시에서의 짝밥으로는 떡밥 + 지렁이 / 떡밥 + 글루텐 을 많이 사용하시지만 개인적으론 댐낚시에서 떡밥 + 지렁이를 추천해드리고싶네요....
이상 두루 즐겨사용하시는 방법을 일러드린거고 조과가 확실히 좋다라고는 감히 말씀을 못드리겠네요....당찬 손맛보고 오세요~~~
거의 유일하게 지렁이나 일반 곡물떡밥으로 낚시 할수 있는곳입니다
충주호까지 글루텐터가 되어지지 않기를 바랍니다
일단 위에서 말씀하신 것처럼 사용하심이 가장 평균적으로 쓰시는 떡밥 운용입니다.
전 일단 신장 : 건탄 : 곰표 를 5 : 3 : 2 의 비율로 사용합니다.
위 비율은 밑밥용이지요. 일단 좀 풍성하게 만드신 후에 대당 한 15회 ~ 20회 정도 밤톨만한 크기로 밑밥질을 합니다.
주로 밑밥질은 낮에 해놓구요.
밤에는 외바늘 혹은 쌍바늘로 사용하는데 외바늘 시에는 지렁이 8~15마리 꿰기 혹은 산지렁이 를 사용하며
쌍바늘 시에는 신장 : 곰표 7 : 3 정도의 비율로 좀 찰지게 해서 달고 한쪽에는 지렁이 3~5마리 꿰기 로 사용합니다.
뭐 남들 다 잡는다는 4짜 한번 못잡아봤지만 위 같이 해서 다른분들 못잡으실때에도 월척급 한두마리는 빼먹어본 경험이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