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물낚시

· 생미끼 붕어 대물낚시에 대한 문답, 또는 정보의 제공이 이루어지는 곳입니다,
· 게시물 성격에 따라 적합한 게시판으로 이동될 수 있습니다.

5년전 준설한 소류지는...

일제시대에 만들어진 약 천여평되는 평지형에 가까운 소류지가 있는데 5년전 물을 완전히 빼고 준설 공사를 한곳입니다 준설공사할때 붕어4짜를 비롯 대형가물치까지 어마어마하게 나왔는데 5년이 지난 현재 이소류지의 붕어 최대어는 몇cm일까요? 회원님들의 경험 듣고 싶습니다 항상 건출하시고 행복하세여.

1. 신생 저수지는 2년 정도되면 20cm 전후되는 붕어가 마릿수로 낚입니다.
5년전에 준설로인해 바닥을 본 소류지라면 많은 붕어가 서식하고 있을거라 생각됩니다.
35cm 전후되는 씨알이 마릿수로 서식하고 있을것으로 생각됩니다.
1천여평 소류지 수초는 잘 분포되어 있을것으로 봅니다.
수초 여건의 따라 붕어의 성장속도가 달라질수도 있습니다.
그곳에 서식하고있는
새우. 참붕어. 납자루의 서식 여건에따라 달라질수도 있습니다.
이렇게 수초 여건과 먹이 사슬이 넉넉한 곳이라면
최대어는 4짜급 붕어도 기대할수 있습니다.
준설을 했더라도 4짜는있다고 믿어요....제가아는 못두 해마다 말라서 물이거이없는데 재개발 한다고... 매몰할당시4짜가무척나온걸로알고있읍니다...(우리토종들의힘 )그생명력에찬사을 보냅니다^^* 주저하지마시고 함도전해 보세요~
붕어가 월척이 될려면 5~7년 걸립니다

월척이상은 불가능합니다

월척캠페인: 오분만 청소합시다
제생각에는 1년후아니면

5```6개월지나면 입질들어 온다고봅니다....

새물이유입이되면 박혀있는고기들이 움직있다고 생각하고싶네요

흔히 새물찬스 라고하죠......

큰고기는 그못에 있지않나 생각이드네요 .

한번쯤 도전해보고싶네요......
5짜도 있겠죠 ㅋㅋ 준설했다고 고기 때 죽거나 빼지는 못합니다.
제 작년에 완전히 바닥나고 남은물이 가로세로 1미터 수심 10센치미터 근데요 이저수지에서 올봄 월이가 마리수로 나왔어요
어케된걸까요 ,,,,,,,,,,,,,,,,,,,,,,,,,,,,,,,,,,,,,,,,,,,,,,,,,, 붕순이 뻘속에서 월동했나보쥬 만 1년만에 월이가 될 순없쟎아요
제가 아는곳 3년전에 물 바닦까지 빼고 고기 긁어냈는데..그 뒤로 매년 4자 여러마리 나옵니다.
물뺄때 뻘로 숨어든 붕어들이 많이 있겠죠.
또 한곳은 2년전 바닦까지 빼고 긁어냈지만 월이랑 4자 자주 출몰한답니다^^
5년전 준설한 곳이라...
바닥 토양이 무엇인지에 따라 다르긴 하지만,
청석 바닥이 아닌, 마사나 뻘 바닥인 경우에는 바닥층을 뚫고 들어간 녀석들이 물 차면 나옵니다. ^^
월척, 아니 그 이상의 녀석들도 분명히 존재하고 있습니다.
믿음을 가지시고 끈기 있게 들이대보시길...ㅎㅎ
5년전 완전 바닥을 준설한 저수지라면 참붕어 월척은 좀 그렇네요 떡붕어를 방생하면 몰랐어도....
참붕어 월척이 나왔다면 아마 종교행사시 방생한 놈일 가능성이 많습니다. 토종붕어 무지 안큽니다.
그래서 너도나도 월척타령 입니다. ㅎ ㅎ..
제가 알기로는 ..음~ 우선 바닥이 문제겠죠..? 마사나 뻘일경우 생존을 하기위하여 숨어있다가 준설이끝나고 물이차면 나오겠죠...? 그리고 젤 중요한것은 준설하면서 그저수지에 고기있고 없고는 마을주민에게 달려있다고 봅니다.....준설할때 물빼고 마을주민들이 뜻을같이하여 고기잔치라도 할려고하면 거물치고 크레인으로 파뒤비면 거의 없다고 봐야되지 않겠습니까..? 제가아는 계곡지 마을에서도 준설을하는데 그마을에서는 회의를 거쳐서 준설은하되 고기는 한쪽으로 몰아놓고 하는걸 봤습니다만......그런 마을이 잘있을까요..?ㅎ
답글주신 모든 회원님들께 감사 드립니다
사실은 제 고향에 있는 소류지입니다

이번 휴가때 가서 쪼아 볼랍니다
그래서 조행기 한번 올리겠읍니다

참 이소류지에서 차량으로 10분거리에 약3만5천평 되는
준계곡형 저수지가 있는데 터가 센 대물터로
나왔다하면 월척이상 4짜까지...(근데 불루길 천국입니다)
작년 ftv월척특급 나광진 사장님이 도전하여 꽝치고
한달전쯤 동행출조 송귀섭선생님께서 출조하여
일행과함께 34~5cm 2수 잉어60~5cm 2수 햇던곳
불루길 천국인 이런 저수지 한여름에 도전 해도 괜찮을까요? 힘들겠죠?
4짜도 상당수 있으리라 생각합니다.
붕어나 물고기는 물이 빠지기 시작하면 수심깊은 곳으로 이동하는데
물이 바닥을 들어내기 직전에 이미 뻘속으로 본능적으로 몸을 숨깁니다.
심지어 1미터까지도 들어 간다고 하니 상당수의 개체수가 있다고 판단되며
5짜도 있지않나 하는 생각마저 듭니다.

오분만 청소합시다.
저수지 환경이 어떤지안봤으니 잘모르겠지만.

분명히 월이상은 있습니다.

와촌에 있는소월지가 그런경우 인데요..

분명히 제가 못에 물이마를때 그곳에 가봤거든요?

골진자리에 물이흘러내릴정도로 완전히 다빠졌는데...

3년후부터 고기나오기 시작했습니다.

보통 준설하고 3년째가 입질이 제일잘들어 온다고 알고있습니다.

준척에서 월까지 마리수로 낚을수있습니다.
해묽은저수지는 신생2~4년차보단입질받기가어려운데 물빼구다시 좋은조건이네요 큰넘은있습니다...
##만구 제생가##
5분청소했습니다
무명탑님..그 저수지 몇달전에..f-tv에서 송귀섭 선생님께서..어떤..머리긴분하고 동행출조하는거..봤습니다...블루길 천국인거..ㅎㅎ..근데..3만5천평이..소류지인가요..ㅎㅎ..여기 대구 경북쪽에는 대형 저수지 인데...ㅠㅜ
3만 5천평이 소류지라뇨~~ 설마요~ㅎ 무명탑님이 말씀하신건 소류지 옆 준계곡지를 말씀하시는것 같아요^0^

"참 이 소류지에서 차량으로 10분거리에 약3만5천평 되는 준계곡형 저수지가 있는데"
<= 무명탑님 리플
저수지 준설은 중상류에 많이 합니다.
왜냐하면 비가 많이 올때 상류계곡에서 토사가 흘러 내려오면 상류에 가장 많이 퇴적되죠
그리고 중간쯤으로 가면 갈수록 낮게 토사가 퇴적되겠지요
하류부분(제당 가까운곳)은 준설을 하지 않습니다.
제당에 보면 농번기때 물빼는 구조물(못종, 스핀들)이 있어요
물을 빼더라도 다 빼지는 못합니다.
이유는 중상류 부분을 준설하므로 물을 다 뺄 필요가 없겠지요
바닥 못종까지 물을 뺐다 하더라도 저수지에는 물이 어느정도 고여 있습니다(저수지마다 고인물량은 다르겠지요)
이유는 땅종이라는 곳이 있는데 땅종을 배지 않으면 바닥에 고인물은 빠지지 않으며,
다른어종과 달리 토종붕어는 저수지 수위가 낮아지면 본능적으로 바닥 뻘을 차고 들어가기 때문에 땅종을 뺐다 하더라도 토종붕어는 고갈되진 않습니다.(물이차면 다시 나오겠지요)
사람들이 고인물에세 고기를 어마어마하게 잡았다하니 상당히 봉어수가 감소될수 있으며,
그러나 개체수가 줄어든만큼 생존하는 붕어들은 더욱 빨리 먹이를 먹고 몸집을 키울수가 있겠지요
그리고 5년전 준설후 부화한 고기들도 손맛을 보일 정도로 커져있겠죠



2025 Mobile Wolchuck