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는 1.5~ 3.5호까지 사용하는데 강도 정말 좋고, 오래사용해도 강도가 약해지거나 보플이 이는등 단점도 거의 없습니다.
단점이라면 너무 강해서 붕어용으로는 위에 말씀하신것처럼 1호 미만 너무 얇은걸 써야합니다.
2호원줄이라면 0.6호 내외면 충분합니다.
제경우는 5호줄에 1.5~2호를 사용하고... 8호줄엔 3~3.5호를 사용합니다. 4호줄에는 1~1.5호를 사용하지만 4호 미만 원줄에는 이합사는 잘 쓰지 않고.. 강도가 좀 하고 좀 굵은 목줄을 주로 사용하고요
잘 아시겠지만, 목줄이 너무 얇으면 장점도있지만, 단점도있습니다. 초보의 경우 목줄이 너무 얇으면 힘들어 하는 경우를 자주 봐서요...
본봉동 채비에 길지 않은 목줄용으로쓴다면 매우 적합하지만... 스위벨 등등 용도로 초보가 사용하기엔 너무 얇아 쓰기 불편할수도 있겠네요
저가의 pe라인은 굵기가 일정치 않습니다.. 제원에 맞출려고 강도를 올리다보니 굵기가 상당히 굵은 제품도 많습니다.. 그래서 저가의 pe라인은 루어용으로 거의 쓰질 않습니다.. 또 쓸림과 물에 잘 부풀어 오는 단점도 있구요..
저도 루어용pe라인을 가지고 있는데 릴에 감겨 있고 또 100m짜리 구입해도 다 못씁니다. pe라인 자체가 잘 끊어지지 않고요.. 10m짜릴 구입하셔도 몇년을 쓰실겁니다.. 그리고 너무 얇으면 잘엉켜서 불편합니다. 인장강도때문에 많이들 얇게 쓰신는 편인데요.. 저는 1.5~2호 원줄 쓸때도 pe1.2~1.5호 이상씁니다. 고기잡아서 원줄 상한일은 없고 바닥걸림에서는 거의 바늘이 먼저 뻐드러지기때문이죠.. 인장강도를 따지실꺼면 2호원줄이면 0.6정도가 어울릴꺼 같습니다. 그런데 바늘묶기도 상당히 힘드실꺼에요...
저는 그것사용중입니다
제원상 0.6호면 인장강도 8kg정도 나오는것같습니다
한번 사용해보세요 ..^^
대물목줄로는 부드럽고 강해 좋습니다
저는 1.5~ 3.5호까지 사용하는데 강도 정말 좋고, 오래사용해도 강도가 약해지거나 보플이 이는등 단점도 거의 없습니다.
단점이라면 너무 강해서 붕어용으로는 위에 말씀하신것처럼 1호 미만 너무 얇은걸 써야합니다.
2호원줄이라면 0.6호 내외면 충분합니다.
제경우는 5호줄에 1.5~2호를 사용하고... 8호줄엔 3~3.5호를 사용합니다. 4호줄에는 1~1.5호를 사용하지만 4호 미만 원줄에는 이합사는 잘 쓰지 않고.. 강도가 좀 하고 좀 굵은 목줄을 주로 사용하고요
잘 아시겠지만, 목줄이 너무 얇으면 장점도있지만, 단점도있습니다. 초보의 경우 목줄이 너무 얇으면 힘들어 하는 경우를 자주 봐서요...
본봉동 채비에 길지 않은 목줄용으로쓴다면 매우 적합하지만... 스위벨 등등 용도로 초보가 사용하기엔 너무 얇아 쓰기 불편할수도 있겠네요
원줄5호 목줄PE 0.8~1호 15~20Cm정도하여 원봉돌채비로 월척까지 잘올라옵니다.
단점은 잘 엉킴 투척시에 매번 확인하고 투척하고 최대한 멀리 투척하여
봉돌이 자리잡기 직전에 살짝 당겨서 안착시켜 낚시 합니다.
생미끼엔 그다지 효과을 못봐서 케브러합사(조금 빠빳한것)사용하고 있니다.
저도 루어용pe라인을 가지고 있는데 릴에 감겨 있고 또 100m짜리 구입해도 다 못씁니다. pe라인 자체가 잘 끊어지지 않고요.. 10m짜릴 구입하셔도 몇년을 쓰실겁니다.. 그리고 너무 얇으면 잘엉켜서 불편합니다. 인장강도때문에 많이들 얇게 쓰신는 편인데요.. 저는 1.5~2호 원줄 쓸때도 pe1.2~1.5호 이상씁니다. 고기잡아서 원줄 상한일은 없고 바닥걸림에서는 거의 바늘이 먼저 뻐드러지기때문이죠.. 인장강도를 따지실꺼면 2호원줄이면 0.6정도가 어울릴꺼 같습니다. 그런데 바늘묶기도 상당히 힘드실꺼에요...
호수는 그냥 굵기랑 부드러움 때문에 사용 하는거지요
그냥 원줄 인장강도가 내 채비의 한계라고 생각하심 될거 같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