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애물에 걸렸을때 자꾸 원줄이 터지는데 목줄이 터지게 하는 방법이 없나요..;; 50% 로 확률인듯 목줄 1.5호 원줄은 2호 사용하고 있습니다. 유동 채비로 하고 목줄 부분에 금색에 고무 끼어서하는 도래 사용하고 있습니다.
전 아직 원줄이 터져본적이 한번도 없습니다
원줄이 터진다면 매듭한 부분인 초릿대부분과 도래부분일텐데요....
혹시 8자매듭법으로 하신다면 그럴수도 있습니다
무매듭법을 추천드립니다
원줄과 목줄의 강도가 같다고 하더라도... 목줄이 먼저 나가는게 맞을겁니다.
문제는... 어디에서 터지던가요?
원줄의 매듭입니까?... 중간 부분입니까?.. 초리대 부분입니까?
저는 늘...목줄의 바늘귀나.. 고무링 부분 둘중 하나가 터집니다..
원줄의 이음부분이면 매듭법을 고쳐야 하고 줄자체가 터지면 줄을 좀 더 실한 것으로 바꾸셔야 합니다.
대구리 하이소
예를들어 원줄0.8 목줄0.4 ///원줄 1호면 목줄 0.6정도죠.
님의 경우엔 2호원줄에 1.5목줄이지나요.
대채로 한쪽바늘만 걸림발생하는게 많지만..
예를들어서
바닥에 양바늘이 걸렸다고 보시면. (2 x 1.5= 3호)정도의 목줄 파워를 가지게 됩니다.
이런상황이면 원줄 매듭부위가 가장 취약해서 잘터집니다.
한바늘만 결렸다면. 목줄1.5호랑 원줄 2호의 차이는 목줄이나. 원줄의 손상정도. 매듭의 취약부분에서
50대50정도의 터짐확률이 발생합니다.
차라리 원줄보다 목줄 터짐발생이 꾼들에겐 덜 손해보실듯합니다.
목줄을 1호로가면 대채로 안전빵이지만. 약해보일수있기에 . 목줄 1.2호로 바꾸시는걸 살짝 권해봅니다 *^^*
초봄에는 원줄0.8호~1.0호에. 목줄 0.4~0.6호.무미늘 3호 바늘을 사용하고 있는데 아직까지 원줄이 터진 경우는 없었습니다.
아마도 위에서 지적하신 대로 무매듭이 필요하다고 생각되는 군요.
원줄은 1.5 루어줄을 쓰고요 무매듭으로 다하고요 8짜도래에는 우술 카바를 쓰고요
고기걸어서는 아직터진적은 업고요 일년에 한번줄가리를함니다
바닦에 바늘이 오지개 걸리면 답이업더군요 ㅠㅠㅠㅠ
그래서 제일 약한부분이 어딜까 생각해보니 고무링 이더군요
모노 목줄을 쓸때도 고무링이 제일 약하더군요
고무링에 묵거놓은 목줄 무매듭 부위가 다음약하더군요
낚시대의 탄성을 이용하여 연속적으로 짧게 줄을 치듯이 당겨주면 고무링과 무매듭 목줄 부분이 게속 쪼이게되어
그부분이 90%로는 나가더군요 저의짧은 지식입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