옥내림 변형채비에는 여러가지가 있습니다.
1 옥내림채비에서 긴목줄 바늘에 편납을 돌돌감으면 안내병채비
2 긴목줄에 짧은목줄길이정도에 좁쌀을 하나 물리면 방랑자채비
3 찌맞춤을 바늘없이 하고나서 목줄을 달면 백초 채비
4 기본 옥내림채비에 편납을 좀 많이 감고 찌다리에 편납한바퀴 감아주면 중통채비가 되겠습니다.
강계등 유속이 있는곳에서는 4번을 하면 좋구요 대류현상이 있거나 바람이 심하게 부는 저수지의 경우 1 2 3번으로
하면 좋습니다. 바늘을 큰것으로해서 생미끼 낚시를 하기에는 1번이 좋구요..
각 채비마다 장 단점이 있습니다. 그리고 가장 기본적인 조건 즉 바람 초속 3m안쪽 수심 적당 맹탕 대류없는 상황에서는
기본 채비 옥내림채비가 가장 좋습니다. 이상은 제 개인적인 생각입니다.
어떤사람의 말을 듣거나 어떤 글에서 어떤채비로 잡았다더라 하는것을 보고 맹신하시면 안됩니다.
기본채비운용을 알고 여러 변형채비를 상황에 맞게 사용하시면 더 재밌는 낚시가 되지 않을까요?
1 옥내림채비에서 긴목줄 바늘에 편납을 돌돌감으면 안내병채비
2 긴목줄에 짧은목줄길이정도에 좁쌀을 하나 물리면 방랑자채비
3 찌맞춤을 바늘없이 하고나서 목줄을 달면 백초 채비
4 기본 옥내림채비에 편납을 좀 많이 감고 찌다리에 편납한바퀴 감아주면 중통채비가 되겠습니다.
강계등 유속이 있는곳에서는 4번을 하면 좋구요 대류현상이 있거나 바람이 심하게 부는 저수지의 경우 1 2 3번으로
하면 좋습니다. 바늘을 큰것으로해서 생미끼 낚시를 하기에는 1번이 좋구요..
각 채비마다 장 단점이 있습니다. 그리고 가장 기본적인 조건 즉 바람 초속 3m안쪽 수심 적당 맹탕 대류없는 상황에서는
기본 채비 옥내림채비가 가장 좋습니다. 이상은 제 개인적인 생각입니다.
어떤사람의 말을 듣거나 어떤 글에서 어떤채비로 잡았다더라 하는것을 보고 맹신하시면 안됩니다.
기본채비운용을 알고 여러 변형채비를 상황에 맞게 사용하시면 더 재밌는 낚시가 되지 않을까요?
도움이 마니 됩니다
잘 배우고 갑니다
유동편납홀더를 찌방향으로 10센티정도 올려 고정하고
목줄과 바늘을 달지 않은 상태에서 찌맟춤하고 수심측정하여
나중에 목줄과 바늘을 달고 하심 ..스위벨채비가 됩니다...
저는 원줄과 목줄 연결스위벨도래대신...
일학스위벨을 달아서 옥수수내림과 스위벨낙시를 겸하고 있읍니다...
기본 채비는 옥내림채비와 동일하고
외바늘에 목줄 길이 15~20으로 하고 있습니다
찌 맞춤은 바늘만 달고 유동봉돌이 바닥에서 살짝 뜨는 형태로 찌맞춤을 합니다
작년에 재미 많이 봤습니다
새해 복 많이 받으십시요
변형은 낚시꾼 마음입니다.
지는 둔한 사람이라 언뜩 감이 안오네요 ㅋ
앞으로 차차 배우도록 해 보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