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미끼를 제외 한 옥수수 및 떡밥낚시의 모든 채비에 원줄 1.2호. 목줄 0.8호. 무미늘 6호 바늘을 사용하는데 전혀 불편을
못 느끼고. 특히 밤낚시 때 옷에 걸리거나 손가락에 박혔을 때도 쉽게 뺄 수 있어 좋고....등 등 여러모로 편하던 데요?
대물낚시가 아니라면 굳이 미늘 있는 바늘을 고집할 필요가 있을까요?
무미늘 사용시 랜딩시는 절대 대를 늦춰 주지 말고 세운 채로 끌어 내면 대물도 절대 빠지는 일 없지만.
만약 랜딩시 대를 늦춰주면 거의 빠진다고 보시면 됩니다.
크기가 비슷하고 좀더 강한 이두 7호전후도 가능하고요..
2. 0.8 ~ 1.2호 사이를 사용합니다.
3. 아무래도 미늘있는것이 미끼유지, 붕어의 바늘털이 등에서 유리합니다.
2. 원줄 2호 목줄 1.5호
3. 낚시를 하다보면 미늘바늘을 써야한다고 느낄때가 많습니다
2. 원줄 1.7호(도레이사 소고부나 1.7호) 목줄 1.2호
3.미늘있는 바늘....아라미스님 말씀대로 유리하긴한데...무비늘 바늘도 생각중...
2.원줄1.2-1.5호 목줄0.5,0.6,0.8호
3.반반씩 사용
바늘만큼은 미늘이 있어야 될듯 합니다.
찌가 쑤-욱 빨려 들어간 후,
여유있게 챔질하니 후킹이 안될때가 많고
랜딩도중 떨어질때가 많습디다....
잘 못해서 그런가?????
랜딩시 가끔 인사하고가지만 그럼 다른놈이루 고르면되고
목줄은 가급적 영팔 이내
본줄은 일~일점이정도
바늘은 다나고 육이면 적당
못 느끼고. 특히 밤낚시 때 옷에 걸리거나 손가락에 박혔을 때도 쉽게 뺄 수 있어 좋고....등 등 여러모로 편하던 데요?
대물낚시가 아니라면 굳이 미늘 있는 바늘을 고집할 필요가 있을까요?
무미늘 사용시 랜딩시는 절대 대를 늦춰 주지 말고 세운 채로 끌어 내면 대물도 절대 빠지는 일 없지만.
만약 랜딩시 대를 늦춰주면 거의 빠진다고 보시면 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