옥수수내림낚시

· 옥수수 미끼를 이용한 내림낚시에 대한 문답 또는 정보의 제공이 이루어지는 곳입니다.
· 게시물 성격에 따라 적합한 게시판으로 이동될 수 있습니다.

정상적인 옥내림찌맞춤에 좁쌀을물렸습니다

빈바늘 3목 맞춤을하였습니다 평상시 낮은수심에서는 잘되었으나 수심이 현재 3미터이상나와서 그런지 옥수수달고 4목에 맞추려고 수심맞추려하니 찌가 몸통까지 동동띄네요 아무리 맞추려고해도 힘들어 긴바늘에 3센티정도 거리두고좁싸봉돌 하나물렸습니다 그러니 찌맞춤은 되었는데 지금좁쌀하나물린걸로 정상적인 방랑자채비처럼 입질을 받을수있을까요? 아니면 좁쌀물린 상태에서 다시 찌맞춤을 해야할까요 제 생각으로는 워낙 가벼운상태니 아무리 무거운좁쌀을 물려도 긴바늘을 먹으면 찌올림이 나올꺼라 생각이드는데 맞나요??낚시하는도중 급히 핸드폰으로 글을 작성하여 부족한게 많아도 이해해주시고 답변좀 부탁드립니다 ㅠ

이왕이면 찌맞춤을 새로 하시는게

채비에 대한 자신도 생기고 기다림에 대한 믿음도 배가 되겠죠..

찌맞춤은 채비를 투척해서 찌가 천천히 내려와 수면에 케미가 살짝 노출되게 하세요..

그리고 낚시할때는 대충 2~3목 정도 노출하시면..

챔질은 올리는 입질시에는 찌몸통이 다 보일때까지 기다렸다가 좀 천천히 하시고..

빠는입질은 찌가 사라지면 살짤 드시면 되겠죠..

이상요... ㅎㅎ
지나가다 제 경험을 몆자적고 갑니다. 제가 "1750번호 빈바늘이 입질받아 보신분?"

제 체비 입니다. 부천명성님의 채비가 제가 좀 이해를 못하였는데 3~4목 맞춤에서 옥시시 달고 수심을 찾지못한였는지

수심측정이 어려워 아래바늘에 좁쌀봉돌을 채우셨는지요?

제경우에는 대류현상이 심한곳에서 아래바늘에 좁쌀봉돌을 채움니다. 찌맟춤수조통에서 채비하고 보면 아래바늘은 슬로프이며

윗바늘은 약간 떠 있는상태죠 (되도록이면 좁쌀봉돌과 윗바늘이 평행으로 하시면 좋을듯)

그상태로 옥시시 달고 해도 입질은 다 합니다. 다만 입질의 형태가 올리기도 하고 빨기도 하던데 10에 일곱은 올리더군요


수심 측정시 4목에 맟추신다고 힘들어 하지 마십시요 조금 올려 놔도 입질은 다 하는것 같네요
물리는 좁쌀봉돌의 크기가 문제가 되겠습니다.
정상적인 찌맞춤을 한 상태에서 어느정도크기의 좁쌀봉돌은 케미를 수면 밑으로 내리지못합니다..
본인의 찌가 부력이 얼마정도냐에따라 좁쌀봉돌의 크기를 결정해야 합니다.
따로 부력조절은 할 필요성은 없구요. 단지 입질은 깨끗한편은 아닙니다....
평소에 3목 맞춤으로 낚시하셨는데 이번에 찌 몸통까지 올라 갔다면 수심때문이 아닌것 같습니다.
이전에 사용했던 것과 다른 케미를 사용한것 아닌가요? 주,야간케미 당연히 같은 무게 사용해야 하고요.
그리고 좁쌀을 물려서 맞추셨다는데 이때 3목에 맞추셨다는건지? 케미가 살짝 보이게 맞추셨다는건지?
1.좁쌀물린 상태에서 3목이면 어중간한 상태, 옥내림인데 중간에 좁쌀만 물린상태... 좁쌀은 떠 있겠지요.
이 경우는 옥내림과 조과차이는 크지는 않을듯 하네요.. 글쎄요?? ㅎㅎ
2.케미 살짝 보이게 맞추셨다면, 방랑자 채비가 되겠네요.
부천명성님!! 제가 아는대로..현재 상태가 짐작 되는대로 적었는데 이렇게 되는게 맞는겁니까? 큰거 잡으세요.ㅎㅎ
현장찌맞춤 빈바늘 3목에 옥수수 위에하나 아래하나껴서 물에담궈서 수면이랑 일치하는거보고 수면에던졌습니다 평상시 낮은수면에 하던방식그대로입니다 하지만 찌를위로올리다보니 찌가바닥에 안다았는데 몸통까지동동뜹니다 그래서 이상하다싶어 조개봉돌 밑에달아던져보니 바닥을찾아서 봉돌빼고 더시던지니 찌가다시 동동뜹니다...여기서 제가궁금한건 긴줄에 조개봉돌 아무거나 달아도 바닥에만다은다면 아무리무거운 조개봉돌을 달아도 밑에바늘에 입질이 올 경우 찌가 상승하냐가 궁금합니다 제 생각에는 결국 위에 편납이 가벼워 아무리 밑에 무거운걸 물려도 찌가 상승할꺼같은데 제 생각이 틀리나요??방랑자채비로 다시 찌맞춤을 해야하나 말아야하나 현재 채비에대해 엄청나게 불신중입니다ㅠ
지금 급히 한대를 방랑자채비로 바꾸어봤습니다 현재 문제점임입니다
긴줄 바늘위 3센티 부근에 좁쌀물리고 캐미끝이 살짝보이게 정상적인 방랑자채비 찌맞춤후 2마디 나오게 수심찾은후 위에바늘에 수심맞았나알아볼겸 편납을 둘둘감아 다시던져보니 찌가수면으로 잠깁니다...
수심이너무깊어 수심문제인지 정말 답답하고 무엇이문제인지 감이안잡힙니다 ㅠ
찌를못맞추는 초보도아닌데 이게 도통무슨문제인지 방랑자채비도 찌맞춤이안돼니 답답합니다 제가사용하는찌는 옥내림전용찌 어리연입니다
찌가 잠긴다는건 밑에 조개봉돌물린게 바닥에안착을못히고 떠있다는소리인데 너무깊어서그런건가요??ㅠㅠㅠ
윗바늘과 조개봉돌 사이의 단차는 없는건가요?
그리고 궁금하게 생각 하신다는것....
아래좁쌀로 찌를 끌어 내렸을때 아랫바늘 물면 올리는 입질이 나오는것 맞습니다.
그런데 위에있는 메인봉돌 대비해서 좁쌀봉돌이 너무 작으면 빨려 내려가는 입질이 나올수 있습니다.
좁쌀봉돌이 메인봉돌 대비 10%이상은 되어야 올리는 입질이 많다는걸 어디서 본적이 있습니다.
찌 맞춤 범위에서라면 큰 건 관계 없겠죠.
안녕하세요...
방랑자채비로 바닥을 찍고 2목을 맞춰서
다시 바닥안착이 궁금하여 윗바늘 목줄에다 편납을 감아서 던지니 또 찌가 잠기더란 말씀이죠...?
제가 알기론 그건 당연한겁니다....
그건 찌마춤의 잘못도 아니고 대류는 더욱더 아니며,,,처음 2목이 나오게 수심 찍을때 바닥을 찍지 못한것 또한 아닙니다...
윗바늘 목줄에 편납을 감기전 수심을 찾아 2목이 나왔다면 분명 바닥을 제대로 찾은것이며,,,편납을 감은 후에는 당연
채비 전체가 편납의 무게로 인해 처음보다 더 무거워 졌을거란 말입니다...그렇다면 당연 처음보다 채비 정렬에 있어 분명
사선이 생겼을것이고 그렇다면 당연 찌는 처음보다 가라앉았을 것입니다...
여기서 해결방법은 첫째, 수심측정용 찌스토퍼를 좀더 올려 수심을 더 주어 2목을 찾는다...
둘째, 채비 투척 후 손잡이대를 20-30센티 뒷쪽(본인 몸쪽)으로 당겨놨다가 모든 채비정렬이 끝이났다고 판단될때
다시 손잡이대를 정상위치로 가져다 놓읍니다...그러면 2목이든 3목이든 아님 1목이든 케미가 수면위로 나올겁니다...이때 2목이
나왔다면 채비투척시 계속 그런식으로 하면 될것이며, 한 두목 적게나 마니 나왔다면 손자이대를 조금 더 빼거나 좀더 적게 뺏다가
원위치 시키면 될겁니다...이러한 경우는 대물낚시에서처럼 원래부터 무거운 맞춤이었거나 아님 수심이 얕은곳에서는 잘 일어나지
않을것이며, 가볍고 아주 예민한 찌맞춤에서 현제 사용중인 찌부력에 어느정도 작용하는 침력의 가감이 있을시나, 수심이 찌맞춤 대비하여 깊을경우 이런현상이 잘 일어날것입니다....
님이 궁금해하신 점이 맞는지는 잘 모르겠으나 제판단으로는 이런 문제점으로 님께서 궁금해하신듯 하여 몇마디 남겨봅니다...^^
혹 육초나 다른 초가 있는건 아닌 지요.. 한번은 저도 4미터 권 수심에서 옥수수 끼고 투척시 높 낮이가 들쑥 날쑥 조개 봉돌

달았더니 쑥 들어가고 좀 답이 없더군요.. 계속 자리 잡다가 신경질나서 자리 바꿈,,, 조개 하나에도 수심이 왔다 갔다 하던

군요..
수심이 깊어서 몸통까지 둥둥 뜨는건 아닙니다.
다만,
입질의 표현은 깊은수심(3m이상)일 경우에
수압의 영향?으로 늦게 또는 미약하게 나타나므로 헛챔질이 일어날 수 있습니다.
저는 옥내림 막 시작한 초보조사입니다.
저도 이런 현상을 간혹 경험을 합니다.
수심이 너무 낮아서 그런가? 하고 이상해서 아랫목줄에 좁쌀봉돌이나 수심측정용 고무를 달아 투척하면 찌는 급히 잠기는 것을 보았습니다.제 상식으로는 너무 저부력의 찌를 사용할때 생기는 현상으로 보입니다.
30대 이상의 낚시대에서는 5~6푼정도의 찌를 사용하는데 이ㅣ런현상이 없다가 2칸대의 짧은 낚시대의 4푼이하에서 이런 현상을 보이더군!!
제 결론은 이렇습니다.
요즘처럼 더운날씨에 대류현상및 표면장력에 의해 낮은 푼수의 봉돌무게는 대류와 표면장력보다 낮다는 결론입니다.
또 옥내림찌의 형태를 보면 찌다리보다 찌탑의 길이가 긴것을 볼수있고 몸통도 길다는 것!
이상 고수님들 앞에서 초보의 알량한 상식으로 몇짜 적어 봅니다.



2025 Mobile Wolchuck